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9 건 / 처리 시간 0.172초
모래위키:수도권 전철 1호선
…천안~구로, 구로~인천, 구로~남영, 회기~연천 구간은 지상구간이다.[14] 2023년 1월 1일 폐지.[15] 2012년 장항선 전철로 편입.[16] 동아시아에서 대한민국 서울보다 먼저 지하철이 들어선 도시는 완공 순으로 일본 도쿄(1927), 오사카(1933), 나고야(1957), 중국 베이징(1969), 일본 삿포로(1971), 요코하마(1972), 북한 평양…
모래위키:스크린도어
…[32] 또한 베이징 버스의 BRT 노선들의 BRT 전용 정류장들은 전부 난간형으로 시공했고, 일부 노면전차 역 역시 난간형으로 시공했다.10.4. 홍콩
[편집]
홍콩의 경우 이미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승강장 스크린도어를 도입했다. 홍콩 지하철 대부분의 지하역에는 밀폐형 스크린도어…
모래위키:대림역
…시흥시, 안산시 일대에서 강남 지역으로 갈 때는 대림역에서 2호선이나 7호선을 타는 것보다 김포공항역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 급행열차를 타는 것이 압도적으로 유리하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 특성 상 역이 거의 없어서 7호선 2~3개역 간 거리를 서해선…
모래위키: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바 없다는 의견이 있지만 최고속도가 그닥 높지 않다.1991년, 대한민국도 3기 지하철 계획 세울 당시 수도권 간선전철 계획을 구상했으나 무산되었다.2009년 4월 14일,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재선에 도전하는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위 계획을…
모래위키:기후동행카드
…여담10. 둘러보기1. 개요
[편집]
티머니 기후동행카드 출시 홍보 영상1회 요금 충전으로 선택한 사용기간동안 대중교통(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이다.오세훈 서울특별시장 주도로 개발되어 서울특별시가 2023년 9월 11일에 발표한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
모래위키:대한민국 철도청
…으로 부르는 명칭이 양분되는 경향이 있다.[6] 비슷한 사례로 서울지하철공사 말기인 2000년대 극초반이나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설립된 초창기인 1990년대 중후반 이후부터 근무한 현재 통합 이후의 서울교통공사에서 최고참을 이루는 직원들도 가끔씩 사…
모래위키:대동철도
…대동강에서 따왔다고는 하지만 대동맥이라는 뜻 또한 있다. 대한민국의 관문 역할을 하는 회사로 평양역을 기점으로 베이징과 모스크바 등지로 향하는 열차가 운행한다.[1] 사리원 이북 지역[2] 동국철도의 법인을 이어받았다.[3] 강원철도 채권단 소유[4] 남서울철도 채권단 소유
모래위키:군포역
…병원을 찾는 방문객 안내를 위해 군포역장의 제안에 따라 시행된 것이라고 한다. 병원은 큰 길 건너 북쪽으로 500m 정도 떨어져 있어 걸어갈 만한 거리이지만 출구에서 바로 보이지는 않는다. 문제는 역이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지고 있고 군포시를 대표하는 의미를 가지…
모래위키:가좌역
…을 통해 오가고 있다. 지하로 사라진 역사와 철길. 그러나 보이지는 않아도 가좌역은 현재 그 어느 곳보다 핫 플레이스 역사이다. 경의선이 지하화 되면서 만들어진 서울 경의선 숲길(가좌역~효창공원역)의 출발점으로 가좌역과 홍대입구역 사이 ‘연남동 구간’이 한국의 센트럴파크, 연트럴파크로 불리며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