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 버스 810, 811

최근 수정 시각: ()

1. 노선 정보
1.1. 한시운행 노선
2. 개요3. 역사4. 특징

1. 노선 정보 [편집]

연천군 좌석형버스 810번
기점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사창리터미널)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07:00
막차
20:30
막차
21:50
평일배차
30~40분
주말배차
50~75분
운수사명
인가대수
12대(예비 1대)
노선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세집레입구 - 은대3리 - 농협사거리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중고등학교입구 - 장탄1리 - 장탄2리 - 동서로 - 주원5리.군자동 - 주원4리.옥병 - 오가1리 - 영평3~1리 - 영송리 - 성동5리 - 성동4리.파주골 - 수입4리.와룡교 - 노곡2리.새동네아파트 - 노곡초교 - 노곡리 - 장암2리.매바위 - 이동 - 도평4리.풍차가든 - 도평리 - 도평삼거리 - 백운계곡입구 - 백운계곡관광지앞 - 백운동(백운계곡) - 백운종점 - 선유담계곡 - 광덕산 - 윤나리휴게소 - 광덕계곡 - 번암산휴게소 - 광덕2리 - 광덕초교 - 수밀리입구 - 사내중고등학교 - 사창리터미널
연천군 좌석형버스 811번
기점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종점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 (광덕2리)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7:30
막차
19:30
막차
21:00
평일배차
60~80분
주말배차
100~160
운수사명
인가대수
4대(예비 1대)
노선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세집레입구 - 은대3리 - 농협사거리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중고등학교입구 - 장탄1리 - 장탄2리 - 동서로 - 주원5리.군자동 - 주원4리.옥병 - 오가1리 - 영평3~1리 - 영송리 - 성동5리 - 성동4리.파주골 - 수입4리.와룡교 - 노곡2리.새동네아파트 - 노곡초교 - 노곡리 - 장암2리.매바위 - 이동 - 도평4리.풍차가든 - 도평리 - 도평삼거리 - 백운계곡입구 - 백운계곡관광지앞 - 백운동(백운계곡) - 백운종점 - 선유담계곡 - 광덕산 - 윤나리휴게소 - 광덕계곡 - 번암산휴게소 - 광덕2리

1.1. 한시운행 노선 [편집]

연천군 좌석형버스 812번
광덕산고개 결빙·통행불가시에만 운행
기점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종점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백운종점)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07:00
막차
20:30
막차
21:50
평일배차
30~40분
주말배차
50~75분
운수사명
인가대수
-대[1]
노선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세집레입구 - 은대3리 - 농협사거리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중고등학교입구 - 장탄1리 - 장탄2리 - 동서로 - 주원5리.군자동 - 주원4리.옥병 - 오가1리 - 영평3~1리 - 영송리 - 성동5리 - 성동4리.파주골 - 수입4리.와룡교 - 노곡2리.새동네아파트 - 노곡초교 - 노곡리 - 장암2리.매바위 - 이동 - 도평4리.풍차가든 - 도평리 - 도평삼거리 - 백운계곡입구 - 백운계곡관광지앞 - 백운동(백운계곡) - 백운종점
연천군 좌석형버스 813번
광덕산고개 결빙·통행불가시에만 운행
기점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종점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도평리)
종점행
첫차
06:00
기점행
첫차
07:30
막차
19:30
막차
21:00
평일배차
60~80분
주말배차
100~160
운수사명
인가대수
-대[2]
노선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세집레입구 - 은대3리 - 농협사거리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중고등학교입구 - 장탄1리 - 장탄2리 - 동서로 - 주원5리.군자동 - 주원4리.옥병 - 오가1리 - 영평3~1리 - 영송리 - 성동5리 - 성동4리.파주골 - 수입4리.와룡교 - 노곡2리.새동네아파트 - 노곡초교 - 노곡리 - 장암2리.매바위 - 이동 - 도평4리.풍차가든 - 도평리

2. 개요 [편집]

연천군 연천터미널을 출발하여 전곡터미널과 포천 일동을 거쳐 강원 화천군 사창리터미널이나 광덕2리를 잇는 좌석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10번 134.8km, 811번 125.7km이다.

3. 역사 [편집]

  • 2015년 12월 14일에 신설되었다. 이때 당시에는 810번만 운행하였으며, 도평리까지만 운행했다.
  • 2016년 1월 28일에 무려 화천군 사창리까지 연장되었으며, 배차간격 효율화를 위해 광덕2리까지만 운행하는 811번이 신설되었다.
  • 그러나 2017년 4월 23일에 관인교통의 버스영업 중단으로 해당노선의 운행도 중단되었다.
  • 2024년 10월 1일에 두 노선 모두 운행을 재개하였다. 다만 810번의 인가댓수가 24대에서 12대로 대폭 감차되었으며, 811번도 8대에서 4대로 절반이 감차되었다. 또한 810번의 막차가 광덕고개 안전문제로 연천 출발 0시에서 20시 30분으로 크게 앞당겨졌다.

4. 특징 [편집]

  • 두 노선 모두 무려 강원특별자치도로 유출입하는 노선으로, 운행거리가 상당히 길지만, 직행좌석버스가 아닌 좌석형버스로 운행되고 있다.
  • 본래 810번과 811번을 통합하여 사창리에서 나아가 화천터미널까지 연장운행하려고 했으나 시계외제한으로 무산되었다.
  • 폭우나 결빙 등으로 광덕산고개에 차량통행이 불가능할 경우, 810번은 백운종점, 811번은 도평리에서 중간타절하는데, 이때는 각각 812번과 813번으로 번호를 부여받아 본선과의 차이를 두고 운행한다.
[1] 810번 차량으로 운행.[2] 811번 차량으로 운행.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