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82 건 / 처리 시간 0.126초
모래위키:상월곡역
…이 영상을 볼 때 독립문역/도곡역같이 신내차량사업소에서 상월곡으로 회송한 후 운행을 시작하는 듯하다. 신내차량사업소에는 중검수 시설이 없어서 7호선 도봉차량기지에서 6호선 열차의 중검수도 맡고 있는데, 현재 가운데 선로는 중검수를 위한 열차 회차…
모래위키:홍제역
弘濟驛Hongje Station서울교통공사홍제역지축 방면녹 번← 1.6 ㎞3호선324오금 방면무악재0.9 km →◀ 일산선 직통송파하남선 직통 ▶주소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경평로 지하440-1 (홍제동 161-1)역 운영기관3호선개업일3호선1985년 7월…
모래위키:올림픽공원역
…나란히 붙어있다. 승강장 형태는 섬식이다.9호선은 올림픽공원 ~ 중앙보훈병원 구간에만 80도 드리프트가 2개나 나온다. 본래는 몽촌토성 지하를 관통해 올림픽공원역과 십자 모양으로 만나고 올림픽선수기자촌 한가운데 지하를 지날 예정이었으나, 올림픽선수기자촌…
모래위키:계양역
…용유, 인천국제공항을 찾는 사람들의 교통편의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런 역사성을 바탕으로 인천 지하철 역사 가운데 처음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으며 타는 곳은 계양산성을 형상화한 도예 벽화로 처리하여 그 아름다움을 강조하였다. 경인 아라뱃길과 계양대교…
모래위키:선바위역
…원래 인근 양재천 시냇가 한가운데 서 있던 선바위가 없어져서 가장 비슷한 바위를 가져와 세워둔 것이다.이 역과 남태령역 사이에는 절연구간이 존재한다. 이 역 출발과 동시에 당고개 방면 열차는 시속 75km까지 가속해서 절연구간과 꽈배기굴을 넘어서 남태령역에 도착한다…
모래위키:고려대역
…일대 주민들이 "12호선이 언제 개통할지도 모르는데 그냥 만들어달라"고 요구하여 결국은 고산자로상에도 출입구를 추가로 설치하게 되었다. 12호선과 동북선의 현황을 보면 잘한 선택이다. 이 외에 6호선 대합실에서 6호선 승강장…
모래위키:제천역
…9] 역전 한마음시장 부근[10] 그리고 그렇게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다만 이견도 있는데 가락국수는 3분내로 먹기는 힘들며, 당시 태백선과 중앙선이 단선인 특성상 지연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여기서 지연을 회복하고 가라는 의도도 있다…
모래위키:복정역
…가운데 기둥이 없어서 반대편 선로까지 훤히 보이는 구조인데 8호선 복정역의 암사역 방향 일부 구역이 그러한 구조다.서울시의 최남단 환승역이다.[1] 최서단은 김포공항역, 최북단은 도봉산역, 최동단은 고덕역이다.3. 승강장
[편집]
복정역은 8호선 승강장과 수인·분당선 승강장 두 노선 모두 1면 2선의 섬…
모래위키:둔촌동역
…있는데, 현재 8호선의 모란차량사업소에는 중정비 시설이 없기 때문에 5호선의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를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는 8호선 루트를 타고 오다가 가락시장역 ~ 방이역 간 연결선로를 거쳐 5호선 마천지선 진입 후, 둔촌동역…
모래위키:동대문역
…舍) 리모델링을 한 사례이다. 승강장 벽면까지 리모델링했다. 이로써 용암으로 녹아버린 듯한 윗부분을 표현한 과거의 동대문역은 추억으로 남았다. 2013년 12월 31일부로 1호선 승강장의 역명판 및 표지판이 서울남산체를 이용한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 양식으로 교체되었다…
모래위키:종로5가역
…개통 당시에는 벽면 하단만 타일로 마감되었다. 1호선 청량리역 벽면에 그 흔적이 남아있으나 스크린도어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 1980년대 초중반에 벽면 상단에도 타일을 마감하였다.1호선 종로5가역은 1호선 지하 구간 중 역명판이…
모래위키:고잔역
…1968년 역사를 신축하였지만, 사람 대신 갯벌만 가득한 시골의 간이역이었기 때문에 1983년 을종승차권대매소로 격하되기도 하였다. 이후 1992년 약 699.5㎡ 규모의 현재 역사가 신축되며 안산선이 개통, 보통역으로 승격하였으며 1994년 서울 지하철 4…
모래위키:태릉입구역
…했으나 다행히 침수되지 않았다. 게다가 6호선은 안 그래도 화강암지대를 많이 지나가서 난공사구간이 많은데 부실공사로 인해서 개통이 늦어졌다.우여곡절 끝에 2000년 8월 7일에서야 결국 6호선이 개통되었다. 6호선과 7호선 승강장이 둘…
모래위키:마천역
…출구는 마천초등학교 운동장 부지 일부를 점유해 만들어졌고, 2번 출구의 경우 주택가 안에 있다. 처음 온 사람은 저곳에 지하철역 출입구가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기 힘들다. 서울 지하철 역 중에서는 꽤나 특이한 편이다. 이 두 출구는 둘 다 큰 길…
모래위키:영주역
…영업을 개시하였고 1950년 2월 1일 영암선의 영주-경북내성 구간이 개통하였다.1953년 3월 28일 사무관역으로 승격되었고 1962년 1월 11일에 서기관역으로 재승격되었다.1967년 12월 20일에 현 위치에 역사가 준공…
모래위키:수유역
…逾를 많이 쓰고 있다. 이렇게 足과 辵 두 부수를 혼용하는 글자로 跡과 迹이 있으며, 둘 다 '자취 적'이라는 글자이다.[6] 예약대출기 및 반납기 소재 지하철역 : 4호선-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우이신설선- 솔샘역, 가오리역, 4.19민주묘지역
모래위키:종로3가역
…개통 당시에는 벽면 하단만 타일로 마감되었다. 1호선 청량리역 벽면에 그 흔적이 남아있으나 스크린도어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 1980년대 초중반에 벽면 상단에도 타일을 마감하였다.1호선 종로5가역은 1호선 지하 구간 중 역명판이…
모래위키:불광역
…하지만 3호선의 여객 수요가 6호선을 가볍게 넘기기 때문에 불광역 환승객은 적을 수 밖에 없다. 6호선의 불광역은 사실상 독바위역으로 가는 승객들을 제외하곤 하차하는 승객이 대부분이지만 3호선의 연신내역은 하차 승객도 많고…
모래위키:스크린도어/종류
1. 개요
[편집]
스크린도어에는 크게 4가지로 나뉘어지는데 종류는 다음과 같다.2. 밀폐형
[편집]
승강장과 선로 사이를 완전히 차단한 형태다. 최초의 스크린도어 형태이며, 초기엔 철제 문을 사용했으나 안전상 문제로 1980년대 부터 유리문을 사용한다. 설치를 위해서…
모래위키:가경역
…부분을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佳景驛Gagyeong Station남서울철도가경역반석 방면강 내← 6.5 ㎞세종선SJ32청주공항 방면충북대2.1 ㎞ →◀ 1호선 직통주소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513-2역 운영기관세종선개업일세종선2024년 1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