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337 건 / 처리 시간 0.077초
모래위키:역곡역
…중 일부는 당초 급행정차역이 역곡이 아니라 온수였으며, 7호선 온수역 개통 전까지만 한시적으로 역곡역에 세웠던 것이고 급행역을 온수로 환원하려 하자 역곡 지역의 주민들과 상인들, 인근 대학교에서 반발해 급행 정거장의 지위를 빼앗았다고 주장하기…
모래위키:약수역
…승강장을 가진 6호선이 지하 3층으로 나중에 지어진(2001년 3월 9일) 특이한 케이스다. 군자역, 보문역, 보라매역, 석계역, 부천종합운동장역도 이 경우에 해당하는데, 환승은 군자역과 보라매역이 더 편하다.막장환승은 아니어도 환승이 조금 불편한 편인데, 6호선 건설 당시…
모래위키:안양역
…191㎥규모의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어 전철역으로도 역할하였으며 2001년 현대식 민자역사로 탈바꿈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특히 역내 대형 쇼핑몰이 연계되어 안양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쇼핑과 만남의 중심으로 사랑받았다…
모래위키:원종역
…600m 이상의 길이를 보인다. 본래 부천종합운동장역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7호선과의 환승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다. 600m의 기준은 화물열차의 대피기준이다.역명은 2021년 3월에 주민의견 수렴 및 부천시 지명위원회 심의를 거쳐 '원종역'…
모래위키:강일역
…개화역, 최북단은 도봉산역, 최남단은 청계산입구역 및 석수역 승강장 북단이다.승강장 출입구 계단은 중앙이 아닌 양쪽 끝부분에 있다. 역 가운데 부분은 상부에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지나가기 때문에 상부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비개착 굴착 방식인 NTR공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모래위키:망우역
…중앙선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 뒤이어 1940년에 배치간이역, 1942년 보통역으로 연이어 승격하였다. 옛 망우역은 260㎡의 규모의 벽돌조 슬레이트 단층으로, 여객수요가 많았던 역사는 아니었지만, <철도요람집, 1993>에 따르면 직원만 58명이었을…
모래위키:단양역
…역이라는 역명으로 개업하였다.1985년 5월 1일 충주댐 건설로 인해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으나 현 위치가 단양읍내에서 그나마 가까이 위치해 있는지라 신단양역이라는 명칭으로 많이 불렸다고 한다.#1986년 12월 20일 현 위치로 이전한 지 1년 만에 6…
모래위키:수원역
…과거 사용했던 소화물용 플랫폼과 이어진다.전동열차 승강장보다 더 바깥쪽에 1번 승강장이 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그 쪽은 한번도 승강장이 있지 않았다. 수원역에서 세류역 방향으로 출발하면 보이는 저상홈이나 1번선 옆 건물 구조물이 승강장으로 착각된…
모래위키:고양역
…월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 서울지하철 3호선 등 편리한 교통 연계성을 지닌 환승 역사로 2018년 고양시에서는 대곡역의 역명을 고양중앙역으로 변경하는 제안을 하기도 하였다. 현재의 역명인 대곡역은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
모래위키:하양역
…바탕으로 교육의 도시답게 영험하기로 이름난 팔공산 갓바위와 학사모의 모습을 담아냈다. 하양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도 편리하다.쌍도교통 공식 소개 문구대구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하양역길 1(금락리) 소재.2…
모래위키:곤지암역
…수 있다. 2011년 로드뷰까지는 논밭이었지만, 2013년부터 구조물이 생긴다.상권은 현재로선 남측 방면인 곤지암천에 건물 한 채가 전부이다. 카페와 복권판매점, 일식집 정도가 입점해 있다. 장차 북쪽 방면에 곤지암역세권개발사업에서 상가를 세울 예정이다.3. 승강장…
모래위키:대모산입구역
…상 대모산 앞이며 '대모산입구 사거리'가 바로 그곳에 있다. 대모산입구역과 수서역의 역간거리는 무려 3km이다. 역 전광판에서는 '대모산' 으로 표시한다.위에서 말한 것처럼 이 역에서 대모산은 1km 넘게 떨어져 있는데 대모산은 실제로 3호선 일원역에서…
모래위키:미로역
…동네라고 미는 늘창나드리라고 불리던 것이 와전된 것이라고 하는 얘기가 있다. 따라서 길을 찾는 미로와는 관계없다.예전에는 미로면 소재지쪽에 역이 절벽과 같은 형태로 붙어있었으나 2001년 이후 현재의 위치로 살짝 이동을 해 왔다…
모래위키:검불랑역
…있다. 궁예가 철원군에서 평강군을 거쳐 세포까지 피난을 갈 때, 자신의 검이 좋은 것이 아니고 자신을 망하게 한 것을 깨닫고 검을 버렸다고 한다.원래는 검불량(劍弗良)이었다고 하며 리의 이름이 원남리지만, 이 역 주변은 검불랑으로 불린다. 구검불…
모래위키:회천역
…개요
[편집]
경원선 HK05번. 경기도 양주시 회정동 698-1 소재.본래 지역주민은 회천중앙이라는 역명을 원했으나 회천이라는 역명으로 해도 중복이 아니여서 회천역으로 역명을 결정하였다.2. 승강장
[편집]
↑ 덕정ㅣㅣㅣ12ㅣ덕계 ↓1 경원선덕정·동두천 방면2의정부·창동·청량리 방면…
모래위키:대정역
…426-2번지) 소재.2. 역 정보
[편집]
1967년 1월 9일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69년 4월 10일 교외선의 모든 임시승강장을 무배치간이역으로 변경하면서 승격되었다.2020년 교외선의 재개통안이 발표되었으나, 대정역은 대장동 일원 수요가 부족하…
모래위키:매봉역
…인 매봉마을과 매봉산에서 유래했다. 매봉은 산봉우리 모양이 매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된 이름으로 '순우리말+한자'로 구성된 지명이다. 따라서 '매峰'이 정확한 표기지만, 간체자 표기를 위해 음차하여 3호선의 차내 방송에서 한자로는 '梅峰'…
모래위키:송추역
…같은 해에 을종승차권대매소가 설치되어 2002년까지 영업했다.주변에 송추유원지와 사패산, 도봉산 등이 있어서 교외선 개통 초기에는 승객수가 많았다. 유원지 행락객과 등산객이 이용객의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도로 교통이 발달하면서 이용객들이 자동차를 타…
모래위키:평내호평역
…경춘선 임시승강장으로 영업을 시작, 1958년 플랫폼 상에 역사가 위치한 (-)자형 역사가 지어졌다. 역사는 옛 팔당역이나 백양리역과 유사한 모양이었다. 1969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지만 1997년과 2004년에 연달아 역원배치간이역,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만다…
모래위키:대진역
…속초 방면화진포← 2.3 km동해선통천 방면명 파6.2 ㎞ →주소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철통리 산 11-4역 운영기관동해선개업일동해본선1937년 12월 1일철도거리표부산진 방면화진포← 2.3 km동해본선대 진두만강 방면명 파6.2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