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56 건 / 처리 시간 0.106초
모래위키:대전조차장
…다만 서울에서 전라도를 가려면 대전역으로 들어간 후 기관차를 돌려서 대전선(과거에는 이곳이 호남선 본선이었다.)을 통해 호남선으로 들어가야 했다.1944년 오정삼각선이 지어졌으나 단선이라 여객노선 역할은 하지 못 했다.1978년 대전조차장-익산 구간 복선화가 완료된…
모래위키:강천역
…여주원주선은 화물 위주로 운영되고 있으며, 여주역과 서원주역을 왔다갔다 하는 여객열차가 2시간 간격으로 다니고 있다. 강원철도도 버린 문막읍인 만큼 남서울철도가 보여주던 기존 운용과 달리 2량 1편성으로 운영되고 있다.경강선 일부 열차…
모래위키:동인천역
…쾌속으로 들어오는 열차가 용산 방면 승강장으로 진입하는 경우도 있다. 사고가 터진 게 아니라 지연을 먹었거나 인상선에 차량이 한 대도 없는 경우가 매우 잦으므로 본 승강장에 도착할 경우 심각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어 이렇게 운행한다. 이런 경우를 "…
모래위키:두정역
…호서대, 상명대 등 무려 6개 대학이 인근에 위치두정역은 1979년 6월 경부선 신호장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가 2005년에 이르러 보통역으로 승격하며 수도권전철이 개통되었다. 처음 신호장으로 문을 열었을 당시의 역사는 152.5㎡ 규모의…
모래위키:암사역사공원역
…들이 고려되었다. 여러 대안 노선들 중 현재 위치와 고덕로 강일중.선사고 정류장 인근이 본 역의 입지로 고려되었으며, 최종적으로는 사업비가 가장 저렴한 현재의 입지로 선정되었다.암사동 선사유적지와 가깝기 때문에 공사역명으로 '선사역'이라는…
모래위키:양주장흥역
…인근에 장흥 국민관광단지(구 장흥유원지)와 장흥조각공원, 두리랜드, 신흥유원지 등이 있어서 교외선 운행시에는 송추역, 벽제역, 일영역 등과 더불어서 행락객이 많았고 교외선 중간정차역 중 수요 1위가 장흥역이었다[1]. 다만, 인근 도로교통의 발달로 인해 철도 수요가 크게…
모래위키:능곡역
…직결 형식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합의했다.[3] 고양역 이북에서는 서해쾌속과 쾌속의 우선순위가 동일하나, 고양-능곡 구간에서는 경의 쾌속선 지연 등의 사유로 서해선 차량을 추월할 수 있게 우선순위를 낮게 설정한다.[첫차] 능곡발 첫차.[막차] 능곡행 막차.
모래위키:일영역
…었다.교외선 운행 당시에는 주변의 일영유원지로 인해 행락객이 많이 찾는 역이었으나 2004년 3월 31일을 끝으로 통일호 운행이 종료되면서 정기적인 여객열차 운행은 중지되었다.오랫동안 교외선의 유일한 보통역[1]의 지위를 꿋꿋이 유지하고 있었으나…
모래위키:선바위역
…경기도 과천시 중앙로 지하440 (과천동 355) 소재.2. 역 정보
[편집]
역명은 '서 있는 바위'라는 뜻의 자연지명인 선바위를 한자로 음차해서 '선암역'이라 하려 했지만, 이보다 2년 앞서 울산에서 동해남부선 선암역(현 개운포역)이 개업했기 때문에 혼동을 우려하여…
모래위키:고려대역
…가 이에 반발했고, 역사부지가 고려대학교 소유지 일부[3]를 점하고 있어 보상 차원에서 주역명과 병기역명을 뒤집었다.고려대역이 위치한 도로는 성북구 종암동과 동대문구 제기동 경계이며 출구는 동대문구 제기동에 더 많지만 역사 부지는 성북구 종암동에 많이 속해 있다. 그리고 인근에…
모래위키:도곡역
…4435 등[4] 승강장이 지하 2층에 위치하고 비교적 구조가 단순하기에 출구로 나오는 것이 훨씬 수월하다.[5] 양재역은 워낙 이용객이 많아 출퇴근 시간이라면 수많은 사람들로 인하여 신속히 나오기가 곤란하다.[6] 지하 4층이다.[7] 정확히는 양끝…
모래위키:불광역
…2. 역 정보
[편집]
불광1동주민센터 근처에 있는 역이다. 3호선의 은평구 구간 중 유일하게 상대식 승강장을 가지고 있으며, 3호선 서울교통공사 관리 구간 중 강북(지축역 - 옥수역)에서 무악재역, 옥수역과 함께 상대식 승강장인 역들 중 하나다. 이 역과 옥수역은 환승역이며, 무악재역은…
모래위키:대야미역
…편집]
과천안산선 GA47번. 경기도 군포시 대야1로 28 (대야미동 229-1) 소재.2. 역 정보
[편집]
자연부락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마을인 대야미동에 역이 위치해 있어서, 역에서도 숲만 보이고 뒤돌아보면 달동네를 연상시키는 상가가 있어 시골 풍경을 연상시킨다. 한적한 곳에 위치한 마을…
모래위키:원종역
…본래 부천종합운동장역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7호선과의 환승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내린 결정이다. 600m의 기준은 화물열차의 대피기준이다.역명은 2021년 3월에 주민의견 수렴 및 부천시 지명위원회 심의를 거쳐 '원종역'으로 확정하고 국토부에…
모래위키:대공원역(과천선)
…초기부터 2024년까지 병기역명은 서울랜드로, 서울대공원에 딸린 서울랜드에서 따온 것. 남서울철도 관할구간 중 신창(순천향대)역 처럼 대공원역의 병기역명은 서울랜드였다. 현재는 병기역명이 해지되었다.이용객들은 기본이자, 원칙적으로 서울대공원과 서울랜드, 국립과천과학관, 서울동물원…
모래위키:대공원역(경기)
…초기부터 2024년까지 병기역명은 서울랜드로, 서울대공원에 딸린 서울랜드에서 따온 것. 남서울철도 관할구간 중 신창(순천향대)역 처럼 대공원역의 병기역명은 서울랜드였다. 현재는 병기역명이 해지되었다.이용객들은 기본이자, 원칙적으로 서울대공원과 서울랜드, 국립과천과학관, 서울동물원…
모래위키:중앙본선
…한 상황이었다. 이것은 무려 2020년까지 지속되었다.2024년 기준으로 전 구간 전면 개량에 힘입어 3년만에 단선 비전철이 절반이던 노선에서 대부분 복선전철화되어 260㎞/h 수준의 준고속열차를 운행할 정도로 상당히 개선되었고, 선로용량…
모래위키:관인교통
…↔ 내촌26-2연천·전곡 ↔ 내촌 ↔ 경복대26-4연천·전곡 ↔ 내촌·서파 ↔ 수원산전망대27연천·전곡 ↔ 광릉숲 ↔ 진접역28연천·전곡 ↔ 적성 ↔ 문산29연천·전곡 ↔ 적성60연천 ↔ 고소성리64연천 ↔ 백의리 ↔ 지장산65연천 ↔ 한탄강댐·신흥리66연천 ↔…
모래위키:부천역
…로 변경되었으며, 1999년에는 민자역사가 들어섰다. 이처럼 발전하는 도시와 함께 도시의 중심인 부천역도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인선 GI48번. 경기도 부천시 소사구 부천로 1 (심곡본동 316-2) 소재.2. 역…
모래위키:교대역(서울)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2호선 223번[1]·서울 지하철 3호선 340번[2].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94 (서초동 1748-4) 소재.법원·검찰청은 서울시 고시로 정한 병기역명이다.2. 역 정보
[편집]
강남 일대의 서초구 한복판에 위치해 있으며, 교대(教大)는 서울교육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