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23 건 / 처리 시간 0.114초

모래위키:대야역

…1991년 신축되어 아름드리 두 그루의 은행나무와 어우러졌던 적벽돌의 대야역은 2008년 장항선 편입에 이어 2020년 현대식 역사로 신축이전 하면서 새로운 도약을 시작하였다. 역사는 논밭을 상징하는 격자무늬와 비옥한 토양을 상징하는 붉은 빛을 통해 호남평야의 너른…

모래위키:세마역

…는 '죽미역'이라는 역을 신설하기로 하고, 2복선 전철화 개통 후 착공하기로 하였다.[1] 1997년 오산시와 협약을 맺어 철도청과 오산시가 각각 50%씩 관련 비용을 부담해 세마역을 짓기로 하였으나, 1999년에 철도청에서 예산 부족…

모래위키:배방역

…배방역'으로 바꾸고, 무궁화호 열차의 여객 업무를 중지했다.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전철이 개통함에 따라 장항선 전철 열차가 다니면서 현재와 같은 모습이 되었다.2022년 6월부로 승강장에 자판기가 없어져 음료수는 역 안에서 살 수 없다…

모래위키:삼방역

三防驛Sambang Station강원철도삼방역철원 방면삼방협← 3.9 ㎞경원본선원산 방면동가리5.1 km →주소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면 삼방리역 운영기관경원본선개업일경원본선1914년 8월 16일철도거리표용산 방면삼방협← 3.9 ㎞경원본선삼…

모래위키:벽제역

…4월 1일부로 여객엉업이 중지되었다.2010년부터 2011년 7월까지 원당천 생태보호 차원의 확장공사와 도로확장 공사가 동시에 진행되자 철교를 철거하면서 벽제-삼릉역 사이의 선로가 일시 단절된 적이 있었다.2015년 5월 29일부로…

모래위키:임기역

林基驛Imgi Station쌍도교통임기역영주 방면녹 동← 4.9 ㎞영동본선GY12철암 방면현 동5.1 ㎞ →주소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숲터길 58 (임기리 963-2)역 운영기관영동본선개업일영동본선1956년 1월 1일철도거리표영주 방면녹 동← 4.9 ㎞…

모래위키:진부역

珍富驛 (五臺山)Jinbu Station (Odaesan)강원철도진부역(오대산)수서 방면횡 성← 56.9 km평 창← 16.3 km[준고속] 메밀[準高速] 메밀강릉 방면강 릉40.3 km →청량리 방면평 창← 16.3 km[준고속] 오대산[準高速] 五臺山강릉 방면강 릉40…

모래위키:방배역

方背驛 (白石藝術大)Bangbae Station (Baekseok Arts Univ.)서울교통공사방배역(백석예술대)외선순환서 초← 1.7 ㎞2호선225내선순환사 당1.7 ㎞ →주소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지하1822 (봉천동 979-2)역 운영기관2호선개업일2호선1984…

모래위키: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영국의 크로스레일[언급] - 2015년 국토교통부 홍보영상이 이를 모델 삼았다고 밝혔다.국내의 도입 유래는 다음과 같다.1977년~, 대한민국의 무궁화호 - 지정좌석제고, 통근시간대에 배차만 짧으면 GTX와 다를 바 없다는 의견이 있지만 최고속도가 그닥 높지 않다.1991…

모래위키:민둥산역

…승강장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66년 석탄 수송 위한 역으로 출발옛 역명 증산은 석탄 시대와 함께 퇴장 민둥산역은 증산역이라는 이름으로 1966년 영업을 개시했다. 석탄 수송을 위해 태어난 역으로 태백선에서 정선선으로 향하는 지선이 분리되던 역이었다. 증산역은 동쪽에…

모래위키:쌍용리역

…격하되었다가 1986년 사무관(급)역으로 승격하였다. 옛 쌍용리역사는 135.71㎡ 규모의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역사로 아담한 규모와 울타리가 인상적인 역사였으며, 1995년에 이르러 적벽돌 외벽의 현재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여객은 많지 않지만…

모래위키:굴봉산역

…년 경강역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적벽돌 외벽의 새로운 역사를 준공하였다. 1963년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던 경강역은 1980년 다시 보통역으로 승격, 2010년 경춘선 복선전철화로 백양리로 이전하여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이를 맞아 새롭게 굴봉산역으로 다시…

모래위키:잠원역

…길 지하46 (잠원동 100-1) 소재.2. 역 정보 [편집] 역명의 유래인 잠원동(蠶院洞)의 첫 글자 "蠶"은 조선시대에 국립양잠소인 잠실도회가 설치되었던 곳이라는 데서 유래했고, "院"은 조선 시대에 공무를 위해 여행하는 관리나 상인을…

모래위키:당정역

…지 않아 역명으로 확정되었다.[8] 역명에서 탈락한 한세대는 대신 부역명으로 들어갔고, 동시에 군포역의 부역명(한세대앞)은 사라졌다.개통 당시 일일 예상 이용객은 1만여 명이었는데 현재 이용객은 그보다 약 1.5배 많다. 그래서 지자체가 비용을…

모래위키:곤지암역

…을 이용할 경우 주차비 할인 혜택이 있다. 노상에 위치해 있지만, 곤지암역이 지상역이라 다리 구조물 아래에 있어 사실상 지하 주차장이다. 비용은 기본 30분에 8백원, 그 후 10분당 3백원이며, 일 최대 7천원이다.경강선이 생기기 전까지는 아랫…

모래위키:선바위역

…따로 추가적으로 이에 대해 교육을 받는다.2015년 1월 18일 기준으로 스크린도어와 천장 리모델링을 완료하였다.2020년 4월부터 7월까지 승강장 벽면개선공사를 시행하였다. 승강장 벽면 노후화로 타일이 막 떨어져 나가는 등 매우 보기 흉하게 변했…

모래위키:하양역

…년 현대식 건축으로 다시 지어졌다. 이후 2021년 대구선 복선전철 사업과 함께 새롭게 준비중인 하양역은 비옥한 금호평야의 풍요로움을 바탕으로 교육의 도시답게 영험하기로 이름난 팔공산 갓바위와 학사모의 모습을 담아냈다. 하양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어…

모래위키:달월역

…비록 역사는 없었지만, 인천으로 장사를 하러 가는 사람들이 많아 열차 지붕에 몸을 싣고 가는 일이 많았던 옛 달월역. 당시 이 수인선 열차를 관리하는 사람이 달월마을 사람이라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달월역과 수인선의 인연과 정이 깊었…

모래위키:대한민국 철도청

…통일호는 흰색+초록색[9], 비둘기호는 새마을호와 컬러는 같지만 색상 배열이 반대였다.[10]기관차의 경우에는 새마을호와 도색을 공유한 하얀색+파란색, 검은색에 주황색 줄무늬를 넣은 일명 호랑이 도색이 있다.1996년 신 CI의 등장과 함께 도색이 노랑+초록색[11]으로 변경되…

모래위키:도원역

…참외전로 245 (창영동 179-1) 소재.2. 역 정보 [편집] 역 앞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 부설을 기념하는 비석인 한국철도최초기공지비(韓國鐵道最初起工址碑)가 있으며,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에도 형상화되어 있다.도원역은 언덕을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