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488 건 / 처리 시간 0.115초
모래위키:연천 버스 831
…재개했으며, 기존과는 달리 만송동이 아닌 고읍지구로 노선을 바꾸었다.4. 특징
[편집]
고읍지구가 개발되고 철도교통도 크게 발달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지역에서 연천과 고읍을 오가려면 최소 1회는 환승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모래위키:연천 버스 832
…수요가 없긴 하지만 아예없는 수준으로 다니진 않은 반면 해당노선은 개통당시부터 지금까지 승객이 고작 1명(....)으로 처참한 수준이다.특이하게도 상패IC 진출후 동두천시 구간의 정류장은 일절 무정차 통과한다. 3-2번의 급행버전인셈. 하지만 동두천 시내로…
모래위키:연천 버스 15
…해당 노선이 경유하는 도로가 노면이 불량한 비포장도로라는 점에서 소형버스는 커녕 대형승합차 조차 운행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소형승합차로 운행한다.산길을 운행하는 만큼 우천시나 결빙시에는 아예 운행을 하지 않거나 레미콘공장 앞에서 타절한다.현대…
모래위키:연천 버스 830
…는 달리 덕정동은 53번에게 넘겨주고 옥정신도시로 노선을 변경했다.4. 특징
[편집]
옥정신도시가 크게 성장하고 철도교통도 크게 발달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지역에서 연천과 옥정을 오가려면 최소 1회는 갈아타야하는 불편함이 있…
모래위키:연천 버스 20
…과 함께 역사가 오래된 노선이다.이 노선의 좌석형버스 버전으로 830번이 있다. 두 노선 모두 연천군과 옥정신도시를 잇지만 양주시 구간 경로가 다른데, 신평화로를 오래타고 옥정신도시만 담당하는 830번과는 달리 이 노선은 덕계동을 투어하고 옥정…
모래위키:연천 버스 800
…버리면서 보조노선이라는 의미를 상실하게 되었다.당시 M1360번의 완행노선이라고는 하지만, 해당노선은 신호체계가 개판인 동두천을 신평화로로 우회하는데다가 덕정동 일대를 지난후 고속도로를 2개나 이용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소요시간은 상당히 적은…
모래위키:경기프리미엄버스 P9901
…특징
[편집]
연천군 최초로 운행을 시작한 경기프리미엄버스 노선으로, 3300번이 없어지고 M1360번조차도 없어진 연천군의 유일한 잠실 방향 광역버스 노선이다.본래 M1360번을 부활하는 방향으로 신설되려고 했으나, 철도교통이 상당히 발달한데다가 800번의 수요저하 우려로 출퇴근 전용노선인…
모래위키:연천 버스 20-1
…20번과 함께 역사가 오래된 노선이다.이 노선의 좌석형버스 버전으로 831번이 있다. 두 노선 모두 연천군과 고읍지구를 잇지만 양주시 구간 경로가 다른데, 신평화로를 오래타고 고읍지구만 담당하는 831번과는 달리 이 노선은 덕계동과 옥정신도시 남부…
모래위키:영동
…이 녹아들기 쉽지 않은 편이다. 특히 강릉은 안동 못지않게 특정 문중들의 힘이 강하기로 유명해서 더 그런 편이다. 평창 등 같은 강원도 출신들은 그나마 덜한 편이지만, 그래도 텃세를 이겨내기는 쉽지 않다.다만, 강릉선이 개통되고 테라로사…
모래위키:수도권 광역급행철도
…svg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GTX-A부분개통GTX-B건설 중GTX-C건설 중GTX-A: 전 구간GTX-B: 전 구간GTX-C: 전 구간일반선 활용 및 대심도 신선 건설의 조합이 주로 구상되고 있다.도시 중심의 경제발전을 거듭하면 새로운 시설을 지을 용지가 부족해진다…
모래위키:대야미역
…기 전까지는 철로 바로옆으로 밭과 농가들이 펼쳐져 있는데, 터널을 통과하자마자 바로 빽빽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4단지는 최고 23층인 고층아파트)가 등장한다.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처럼 운용되는 역이지만, 실은 반월역처럼 섬식 승강장 양쪽 끝에 대피선을 설치…
모래위키:수리산역
…위치하고 있다.3. 승강장
[편집]
↑ 산본1ㅣㅣ2대야미 ↓1 과천안산선상록수·중앙·안산·오이도 방면2금정·사당·서울역·당고개 방면지붕은 있지만 역 승강장 자체가 길지 않은데 좌우가 뻥 뚫린 관계로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춥다.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
모래위키:원종역
…1, 4번 승강장에 정차하여 대기한다.지하역임에도 불구하고 달대형 역명판이 설치되었다. 쌍섬식 승강장이라 부착식 역명판을 설치할 곳이 없어 달대식 역명판을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서해선 김포공항역 정도까진 아니지만, 역이 상당히 깊은 편이다. 에스컬레이터를…
모래위키:상록수역
…추가되었다.[4] 이제 52번에서 내려서 뛰지 않아도 된다. 다만 새로운 출입구 측에 상점이 하나도 없는 게 문제.남서울철도 전동차 안내방송에서는 부역명(안산대학교)까지 방송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상록수 역명만 방송한다.세계 최초로 태양광 전지패널 방음벽이…
모래위키:범계역
…법정동은 그대로 호계동이지만 행정동은 1992년에 범계동으로 명명되었다. 평촌신도시 전체가 안양시의 여타 지역과 달리 법정동과 행정동 명칭이 서로 다르다.[2]건설 당시에는 8개 출구가 있었지만, 2008년에 범계역에서 뉴코아아울렛 평촌점 방향으로 4-1번 출구가 개설…
모래위키:월곶역
…헷갈려서 엉뚱한 곳으로 가는 경우가 있다.#, # 하지만 사실상 6호선과 수인·분당선은 직접적으로 만나는 역도 없기 때문에 혼동될 여지는 거의 없다.[3][4]2018년 1월에 2, 3번선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되었다.달월역 방향으로…
모래위키:정왕역
…출퇴근 때는 1시간당 최대 9대까지 들어간다. 주말 및 공휴일 낮시간대라면 1시간당 3대라는 긴 배차였지만 현재는 안산행의 대부분을 오이도행으로 돌려서 1시간당 5~7대 정도는 오는 편이다. 다만 가끔 운전정리로 오이도행 열차가 안산역에서 타…
모래위키:동묘앞역
…이곳이 아니고 조금 더 남쪽의 청계천 주변에 위치해 있었다.2기 지하철 계획 초창기의 6호선 계획은 종로5가역에서 1호선과 환승될 계획이었지만 얼마 못가 난공사 등을 이유로 현재와 동일한 선형으로 변경되어 종로와 지봉로가 교차하는 숭인사거리에 6…
모래위키:동대문역
…4호선과 6호선의 편리한 환승을 위해 1998년에는 무빙워크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되었지만[1] 결국 6호선 개통 직전인 2000년 10월에 6호선 동묘앞역이 1호선(4호선) 동대문역과 별개의 역으로 확정되면서 동대문역의 6호…
모래위키:종각역
…하는 과정에서 차륜이 레일과 보조레일의 마찰로 인해 특유의 쇠소리가 나는 것 이다. 다만 처음부터 있었던 것은 아니라 90년대 중반에 설치한 걸로 추정된다. 보조레일 설치 이전에 급곡선 구간의 탈선사고가 빈번히 발생해서 탈선 방지를 위해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