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50 건 / 처리 시간 0.041초

보산역

…역명은 미군부대의 주둔으로 없어진 옛 지명을 따서 붙여진 이름으로, 1963년 양주군 동두천읍 보안리와 걸산리로 불리던 지역을 1981년 합병해 동두천시 보산동이 된 것이 그 유래이다. 동두천중앙역과 동두천역 간의 거리가 멀어 광역철도 이용에 불편이 예상되면서 인근 보산동…

도라산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의·중앙 완행선 KJ10번. 경기도 장단군 장단읍 희망로 307 (노상리 556) 소재.임진강역과 장단역 사이가 역간거리가 길어 장단군 측에서 요청하여 신설한 역이다. 장단군 측에선 이 역 일대에 역세권개발을 하고 있다.2. 승강장 [편집] ↑ 장단…

영태역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경의·중앙 완행선 KJ16번.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영태리 642-1 소재.이화여대 캠퍼스 예정지여서 역이 검토되었으나 캠퍼스는 무산되었다.그러나 영태리 주민 편의를 위해 완행 전용 역으로 개업하였다.[1]2. 승강장 [편집] 2.1. 경의·중앙 완행선 [편집] ↑ 월롱ㅣ43ㅣㅣ21…

양주봉양역

…개요 [편집] 경원선 KK041번.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 894-1 소재.봉양역으로 추진되었으나, 이미 같은 회사에 봉양역이 있어 양주봉양역으로 개업하였다.2. 승강장 [편집] 2.1. 경원선 [편집] ↑ 지행ㅣ12ㅣㅣ34ㅣ덕정 ↓1 의정부선미사용 승강장23 경원선지행·동두천 방면4의정부·창동…

양수역

…완행열차가 오가던 곳으로 1939년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70년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하여 역사와 대합실, 각종 비품들까지 모두 타버리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 사건으로 인근 역사들보다 먼저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지어지게 되었…

월롱역

…역사이지만 인근에 대학과 LG디스플레이 공장이 있어 유동인구가 특히 많은 역사로 손꼽힌다.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의·중앙 완행선 KJ15번.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통일로 980(위전리 168-3) 소재.서영대 통학생과 LG디스플레이 근무자들이 주로 이용한다.서울에서 접근성이 나쁘지 않은 편임에도 의약…

남춘천역

…당시의 남춘천역은 벽돌로 쌓은 작은 시골 역사의 모습이었는데, 뒤이어 1971년 네모난 건물로 역 간판이 건물 높게 솟은 모습으로 신축되며 춘천 관광의 중심으로 역할하기 시작했다. 실제 춘천역 경춘선 복선화 공사가 시작되면서 춘천역을 대신하여 5년간 경춘선…

독산역

…는 지상 2층으로 설립되어 있으며 첨단업무시설이 밀집하여 접근성이 뛰어나다. 또한 인근 안양천을 경계로 경기도 광명시 하안동과 매우 가까이 인접하고 있는데, 실제 독산역을 지나 금천교 광명시에 이르는 길을 독산역으로 통하는 길이라는 의미에서 2001년 독산역길로 이름…

철암역

…2]이다. 강원도 태백시 동태백로 389(철암동 370-1) 소재.강원철도와 쌍도교통의 경계역으로 역사는 강원철도에서 관리한다.철암역이라는 역명은 이 동네에 철도가 개통된 이후 강릉 방면으로 약 4㎞ 부근에 쇠돌바위라는 기암괴석이 형성되어 그 경치가 훌륭했고, 그…

조동역

…있는 교행 시설에만 승강장을 설치하여 함백경유 열차만 정차하며 태백본선 열차는 정차하지 않는다. 역 주변에 아무것도 없어서 열차 운행횟수가 적어도 문제가 없다.2. 승강장 [편집] ↑ 예미함백 ↑│역사1││2자미원 ↓1■ 태백선영월·쌍용리·제천 방면2…

임원역

…동해선상행옥원·울진 방면2하행삼척·동해·정동진·강릉 방면5. 인접 정차역 [편집] <rowbgcolor=#f5f5f5,#373a3c> ■ 동해선울진 방면옥 원← 9.6 km보통普通강릉 방면매 원9.6 ㎞ →6. 연계 버스 [편집] 임원역 연계 버스 정보정류소노선소공대비입구 (4226971)50-1(호산리)# 에서 가져옴

가천대역

…있어 경원대역으로 명명되었다. 그러다가 경원대학교와 가천의과학대학교가 통폐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2012년 3월 1일부터 가천대학교로 학교명이 정식 변경되었고, 2011년 12월 28일 분당선 기흥 연장구간의 개통과 함께 기존의 역명인 '경원대역'에서…

제주순환선

…는 모노레일로 계획되었으나, 100km 구간을 모노레일로 운행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표준궤 중형 중전철로 지어졌다. 제주순환선의 모든 차량이 4량 1편성으로 운행중이지만, 제주순환선의 모든 역 승강장은 6량 대응으로 지어졌다. 하지만 수요 저조…

개포동역

…역중에서 역명에 '-동'이 붙은 몇 안되는 역 중 하나인데, 이는 경북선 개포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개포동역으로 결정되었기 때문이다.개포로와 삼성로가 교차하는 사거리 지하에 역이 세워져 있으며, 그 사거리를 중심으로 출입구 8개가 설치되어…

서해주역

…파리를 합쳐 1952년 만들어진 리이다.옹진선이 해주 시내를 가로질렀을 때는 이 역보다 북쪽의 시가지에 있었지만 이설 과정에서 남쪽으로 밀려난 상태.대신 그것을 활용하여 역보다 약간 동쪽에서 서남쪽으로 가는 딸린 선로가 분기하여 공장과 항구로 연결되고 있다.2…

미아역

…편집] 미아동에 역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2010년 이후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의 역명 변경, 청량리역의 병기역명 추가에 따라 이 역에도 서울사이버대학이란 병기역명이 붙었다. 사이버대학의 이름이 붙은 최초의 역으로, 학교법인 신일학원에서 병기역명 병기를 신청하였다…

덕계역

…던 역간 거리가 덕계역 개통으로 양주역에서 북쪽으로 5.3km, 덕정역에서 남쪽으로 2.9km로 나뉘게 되었다. 2006년 경원선 소요산-의정부 구간 복복선전철 개통으로 다른 경원선 역들과 함께 문을 열고자 하였으나, 착공이 늦어져 이듬해 2007년 3월에 착공하여 같…

전동역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운주산로 367 (노장리 632-1) 소재.2. 역 정보 [편집] 1957년 배치간이역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화물취급 또한 이루어졌으나, 도로교통망 발달로 인근 조치원역에 여객 및 화물수요가 흡수당하는 바람에 1983년 8월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화물취급도 중지…

전곡역

…분단 당시 소련군이 들어와 있던 38선 이북지역의 최남단 역사이다. 현재의 역사는 1958년 10월에 지어진 역으로 삼각지붕이 소담스런 모습이다. 역사를 중심으로 좌우로 형성된 전곡읍은 연천군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땅이 몹시 질어 '진골'…

길동역

…었다.3. 승강장 [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강동 ↑하ㅣㅣ상↓ 굽은다리상 서울 지하철 5호선강동·왕십리·여의도·방화 방면하상일동·미사·팔당 방면4. 인접 정차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