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77 건 / 처리 시간 0.174초

모래위키:모란역

…대신 환승역임에도 8호선과 분당선 대합실이 연결되어있어 어느 쪽 게이트를 이용하든 연결통로를 따라 상대 노선 쪽 출구로 나갈 수 있다.[1] 물론 서울시계 내외를 따지지 않고 운임에 따라 단계가 나뉘는 거리비례 정기권을 사용한다면 어느 노선 게이트를…

모래위키:정왕역

…가끔 운전정리로 오이도행 열차가 안산역에서 타절하는데, 이 때는 예전 수준처럼 돌아간다.이 역부터 오목천역까지 수인·분당선의 배차간격이 크게 벌어진다. 출근 시간대 기준 무려 25분이며, 주말에는 30~40분까지 벌어진다. 대부분의 수인선 열차는 오이도역에서 시종착하기 때문…

모래위키:안산역

…건설부장관, 철도청장을 비롯한 지역주민 등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 역 구내에서 안산선 개통식이 성대하게 치러졌다.안산선 개통 이후 대다수 열차의 시·종착역이었으며[1], 2000년 7월 28일에 안산선이 오이도역까지 연장된 이후 현재까지도 이 역에서 시·종착…

모래위키:영종대교

…이며 추가로 동절기가 되면 지독한 안개가 자주 끼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야간에 서해 해안선 부근이 악명높은데 상대적으로 고온다습한 서해바다의 공기가 밤이 되어 차갑게 식은 육지랑 만나 수증기가 응결되기 때문이다. 심지어 해무까지 끼면..…

모래위키:동해역

…본사, 차량사업소가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컨테이너 비중은 옥계역이 가져갔다.물론 여객이 상대적으로 떨어져 보이지만 의외로 태백-제천으로 가는 여객 노선을 주말에 많은 이들이 이용한다. 동해에서 태백까지는 버스보다 싸고 더 빨리 도착하기도 하고[11], 제천…

모래위키:강동역

… 천호' 식으로 써 있었다. 분기역으로 승강장이 3개다. 정확히 말해 1상대, 1섬식 승강장이다. 한쪽 벽에 상일동행/팔당행과 마천행이 번갈아 정차하고, 가운데 섬식 승강장에는 방화행이 정차한다.팔당 방면에서 온 열차와 마천 방면에서 온 열차가…

모래위키:노원역

…지하 3층짜리 지하역사이며, 6개의 출구를 가지고 있다. 이 중 하나(4번 출구)는 롯데백화점 노원점의 연결통로를 겸한다.7호선 노원역은 7호선 강북 구간 승하차인원 1위를 기록한다. 출근시간대 7호선은 북쪽의 도봉산역에서부터 이미 동두천, 양주, 포천, 연천…

모래위키:가락시장역

…구 역할을 하는 7번 출구쪽의 개집표기기가 고작 4대라는 점이다. 출퇴근시간대 이쪽 개집표기에는 승객들이 내릴때마다 병목현상이 일어나지만 역사 규모가 커서 문정역이나 장지역보다는 상황이 좋은 편이다.3. 승강장 [편집] 서울교통공사의 3호선과 8호선 가락시장역은…

모래위키:사당역

…승강장 [편집] 3.1. 서울 지하철 2호선 [편집] 방배 ↑내ㅣㅣ외↓ 낙성대외 2호선교대·잠실·성수·왕십리 방면내신림·신도림·영등포구청·홍대입구 방면출근시간대 2호선 외선순환(강남역) 방면 플랫폼으로 승객들이 대부분 몰린다. 교대역-강남역-역삼역-선릉역-삼성역 라인에서 회사로 출근하…

모래위키:여주역

…및 강천발 열차는 3번, 4번 승강장으로 들어온다.[3]2024년 12월 14일 여주원주선이 개통하면서 일부 경강선 열차는 강천역에서 시종착한다.[1] 통근시간대 1시간 간격[2] 첫차는 주로 1번 홈을 사용한다.[3] 이 사항은 따로 역에서 안내방송으로 안내한다.

모래위키:하남선

…없으며, 모든 열차가 상일동역 이서의 서울 시내구간으로 직통운행한다. 이 중 일부시간대[20]를 제외한 대부분의 열차가 5호선의 최서단역인 방화역까지 운행한다. 하남선 개통 초기에는 5호선의 열차운행 비중이 마천행:팔당행:상일동행이 5:4:1 정도였다. 고덕…

모래위키:온수역

…에 1호선 혼잡 완화를 위해 온수역으로 시종점을 변경하였다.7호선 온수역은 2면 3선 승강장으로, 1상대 1섬형이 아닌 쌍섬형과 비슷한 형태이다. 온수역 종착 열차는 석남 방향 승강장에 정차하여 회차선을 통해 1번 승강장(장암 방향…

모래위키:오금역

…5호선 열차 놓친다고 에스컬레이터를 역방향까지 탈 정도. 출근시간을 빼고 지하철을 놓치면 평균 12분 정도를 기다려야 하니까 그렇다.심야 시간대 남서울철도 3000호대 전동차 1편성이 이 역에서 주박 후 첫차시간대에 다시 운행 한다.-평일#N3401->(다음날)#N3040-주말 및 공휴일#N3343->…

모래위키:신도림역

…전용 승강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런 탓에 저녁 퇴근시간 대부분의 외선 출고열차는 신도림역에서 승객을 받지 않는다.[7]이 역에서 시종착하고 심야 시간대 구내 플랫폼에 주박하는 2호선 첫차와 막차가 양방향 모두 1대씩 존재한다. 입출고 승강장인 3,4번…

모래위키: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여 급행운전하므로 기존 구간에서 최대속도를 내기 어렵다. 그나마 B선의 경춘선과 중앙선은 준고속화[19]가 되어있고 상봉만 넘어가면 상대적으로 운행편수도 적어서 그나마 크게 손해볼 게 없어 괜찮지만 C선은 답도 없다(...).[20]6. 노선 [편집] 파일:gtxall…

모래위키:동대문역

…금정역, 창동역도 환승 인파로 포화되어 나가기는 마찬가지이다. 특히 출퇴근 시간대 1호선 서울역은 매우 미어터지므로 차라리 서울역보다 동대문역에서 갈아타는 게 나을 수 있다. 출퇴근 시간대 1호선은 서울역 이북의 시청역, 종각역, 종로3가역에서 내리는 승객이 많으므로 이 부분만 넘어가면 다소…

모래위키:중앙본선

…청량리역에 오전 5시 38분에 도착했다. 한국에 몇 없는 진정한 야간열차였다. 사실 밤 시간대 출발하는 열차는 이 열차 말고도 더 있으나, 이 열차의 강점은 도착 후 다른 대중교통과 연계가 쉽다는 점이었다. 청량리역은 도착시간이 지하철 첫차 운행시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