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197 건 / 처리 시간 0.18초
모래위키:강동역
…만들어졌다.길동역과 둔촌동역 사이에 본선(팔당역 방면)과 마천지선(마천역 방면) 사이를 잇는 단선 선로가 있는데, 길동삼각선이라고 한다. 주로 8호선 열차가 정비를 위해 고덕차량사업소로 갈 때 쓴다.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는 고덕차량사업소에서 출고해 이 역까지 온…
모래위키:홍대입구역
…미디어시티 ↓1 인천공항선서울 방면2김포공항·계양·인천국제공항 방면엄청난 승객 수요를 감안하여 2호선 홍대역 섬식 승강장 너비만큼 상대식 승강장 폭을 매우 넓게 지었다. 이 역은 유일하게 전동차 안에서 열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다는 방송을 한다.3.3…
모래위키:오금역
…5호선 열차 놓친다고 에스컬레이터를 역방향까지 탈 정도. 출근시간을 빼고 지하철을 놓치면 평균 12분 정도를 기다려야 하니까 그렇다.심야 시간대 남서울철도 3000호대 전동차 1편성이 이 역에서 주박 후 첫차시간대에 다시 운행 한다.-평일#N3401->(다음날)#N3040-주말 및 공휴일#N3343->…
모래위키:영동
…로 분류되는 지역 중에서도 영동과 인접한 영월군, 정선군, 평창군은 영동 방언을 쓰는 등 동질적인 부분이 있어서 이 지역들 역시 영동 지방으로 분류하기도 한다.[7][8] 이 세 지역은 강릉시, 동해시, 삼척시의 영향을 받아 교류가 상당히 많은 편이…
모래위키:초지역
…오이도행으로 갈아타기 위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가기 위해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데 초지역에서 내리면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 직결 개통 이후부터 과천안산선 준쾌속열차가 정차한다. 대신 기존에 정차하던 능길역은 정차하지 않는다…
모래위키:뚝섬역
…039;이라는 뜻이 아니다. 한강변에 있어서 뜻도 헷갈리기 쉽기 때문에 堤(방죽 제)를 써서 堤島라고 오역한 표기도 보인다.성수1가1동과 성수1가2동에 역세권을 형성한다. 분당선의 서울숲역과도 환승이 되게 하자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모래위키:평택지제역
平澤芝制驛PyeongtaekJije Station남서울철도평택지제역(한경국립대)왕십리 방면동 탄← 21.0 km호남고속선목포 방면천안아산25.1 km →경전선진주 방면천안아산25.1 km →동해선포항 방면천안아산25.1 km →전라선여수 방면천안아산25.1 km →서울 방면서정리← 4.8…
모래위키:꽈배기굴/과천선
…편집]
국유철도운전규칙 건설교통부령 제418호(공포일자 2004.12.31 시행일자 2005.01.01)제4장 운전제2절 열차의 운전제44조(열차의 운전선로) 상·하열차를 구별하여 운전하는 한쌍의 선로에 있어서 열차의 진로는 좌측으로 하여야 한다…
모래위키:당정역
…서울교통공사 전동차에서는 당정 역명만 방송한다.2024년 기준 통과 안내방송이 강희선 성우로 송출된다.3. 승강장
[편집]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군포2ㅣㅣㅣㅣ1의왕 ↓1 경부선각역정차의왕·동탄·천안 방면2각역정차안양·금천구청·구로·용산 방면개통 당시…
모래위키:도담역
…전성기 시절 연간 화물 수송량은 무려 800만 톤이었고, 채굴량이 감소한 2016년에도 약 649만 톤으로 여전히 1등을 유지 중이다. 2등인 오봉역이 동 기간 약 260만 톤인걸 감안하면 도담역의 화물 수송량을 체감할 수 있다.개업 당시만 해도 40만 톤…
모래위키:제천역
…바로 약초 냄새이다. 약초의 고장이었던 제천역에는 맞이방 옆에 제천 한방특산품 판매점이 있어 그 씁쓸하고 향긋한 냄새가 역의 상징이 되었다. 그리고 제천과 강원도 원주를 연결하는 중앙선 복선전철화에 따라 옛 제천역사가 철거되며 새로운 제천역사가 들어서…
모래위키:능길역
…아니라 여러 방향의 개발을 검토하는 듯 하다.이전에 LH에서 이 일대를 임대주택단지로 활용하고자 주변 토지까지 매입하려고 했지만, 온천개발을 노린 외부 투자자들이 많이 몰렸던 탓에 토지보상비가 너무 높아 지금은 그마저도 포기한 상태라고 한다…
모래위키:청량리역
…1호선만 놓고 봤을 때에는 그 감소 폭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2000년과 2017년의 일 이용객 수 차이가 무려 4만 명 이상으로 17년 동안 42%나 줄었다. 이는 1호선 연선에서 청량리역을 찾는 승객이 크게 줄었음을 뜻한다…
모래위키:동해철도
…며, 이전 사명이 강원철도였을 정도로 강원도의 지원과 사랑을 받고 있다.[2] 북부 지역 및 김포시 한정.[3] 북부 지역 한정.[4] 인천공항선 한정[5] 제천시, 단양군, 옥천군, 영동군, 괴산군, 충주시 한정.[6] 본래 동해본선 울진역 이북 구간만 관할했으나 현재는 경상북도 전역을 관할한다.[7] 안변군…
모래위키:대야미역
…터널(산본터널)로 통과하면 바로 군포 산본 신도시 초입이다. 터널을 지나기 전까지는 철로 바로옆으로 밭과 농가들이 펼쳐져 있는데, 터널을 통과하자마자 바로 빽빽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4단지는 최고 23층인 고층아파트)가 등장한다.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처럼…
모래위키:KTX
한국고속철도韓國高速鐵道 | Korea Train eXpress (KTX)운영사동해철도, 대동철도개통일2004년 4월 1일 (+7771일, 21주년)열차 등급고속열차운행 노선[ 펼치기 · 접기 ]경의고속선, 경부고속선 계통경의고속선경부고속선경부선[1]동해본선경전선호남고속선 계통호남고속선호남본선[2]전라선사용 차량[ 펼치기…
모래위키:초구역
…← 6.0 km동해본선초 구두만강 방면감 호5.1 ㎞ →1. 개요2. 승강장2.1. 동해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대강리 18-2 소재.2. 승강장
[편집]
2.1. 동해선
[편집]
↑ 제진 1ㅣㅣ2감호 ↓1■ 동해선상행대진·간성…
모래위키:구룡역
…열차 사이의 간격이 큰 편이며, 도로와 약간 떨어져 있다.승강장이 지하 6층이라는 상당히 깊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 이용시 에스컬레이터를 여러 번 타야 한다. 에스컬레이터는 사람이 없을 때에는 가동을 멈췄다가, 사람이 올라타면 센서가 작동되어 가동을…
모래위키:이동역
…다. 당시 역명은 주변 지역명인 일리에서 따온 것이다. 1988년 안산선이 개통하며 보통역으로 다시 태어난 이동역은 역사가 일리에서 이리로 신축, 이전되면서 인근 한양대학교 ERICA 캠퍼스를 고려하여 역명을 변경하였으나, 신안산선 종착역의 가칭이었던 '한양대에리카캠퍼스'…
모래위키:쌍용리역
…[편집]
한국전쟁 직후 태백선 보통역으로 출발1일 시멘트 5천톤, 백운석 5백톤 수송쌍용리역은 1953년 10월 태백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같은 해 옛 쌍용리역사가 신축 준공되었으며 1972년 여객수의 감소로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198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