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564 건 / 처리 시간 0.141초
모래위키:한남역
…경의·중앙 완행선3.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일제강점기 한강리역 자리에 세워진 역한남역은 1980년 4월 1일 경원선의 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개시하였다. 일제강점기 한강리역이 있던 자리에 세워진 역으로 1984년 신축 준공되어 현재에 이른다. 370㎡ 규모의…
모래위키:학여울역
…으로 8퍼밀 오르막이 있다.4. 인접 정차역
[편집]
서울 지하철 3호선대화 방면대 치← 0.8 ㎞<:>각역정차各驛停車하남시청 방면대 청0.9 km →[1] 개정 전 36번. 현재 3호선의 36번은 옥수역이 가져갔다.[2] 서울교통공사 웹진
모래위키:경의·중앙 완행선
…가공전차선신호방식ATS-P최고속도110km/h1. 개요2. 구성 노선3. 운행 환경3.1. 혼잡 구간3.2. 배차 간격3.2.1. 현재3.2.2. 과거4. 역 목록1. 개요
[편집]
2014년 경의선 수도권지구[3]와 중앙 완행선을 하나의 노선으로 직결운행하면서 탄생한 수도권 전철…
모래위키:종로5가역
…역 정보3. 승강장4.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1호선 129번,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지하216 (종로5가 129) 소재. 2. 역 정보
[편집]
종로5가라는 역명은 종로5가 밑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현재는 비환승역이지만 과거에 환승역이 될 계획이 있었는데…
모래위키:관인교통
…한때 노원으로 향하는 1000번, 신이문역으로 가는 1026번, 상봉역으로 가는 G1201번 등 서울 구석구석을 잇는 노선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P9901번, P9902번, 800번을 제외하면 모두 전멸했다.[3]차량관리에 상당히 열중하고 있다. 신차는 물론 구형차도 새차라고 봐도…
모래위키:대한민국 철도청
…은 정무직으로 하고, 차장은 별정직국가공무원으로 보한다.동해철도[1], 서해철도[2], 대동철도[3][4]의 전신인 중앙행정기관이다.1963년에 교통부 육운국 및 시설국에서 맡아왔던 철도사업부문이 교통부 산하 외청(外廳)으로 분리된 것이 시초인 정부기관이었다…
모래위키:삼방협역
…기차로 바로 통하는 피서지로 유명했고 또 북쪽 사면에는 1929년 스키장이 생겼고, 현재도 영업 중에 있다.궁예의 능으로 추정되는 무덤과 사당이 역 근처 삼방협 일대에 있다고 전해진다.[1]3. 승강장
[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승강장이 하천 위…
모래위키:문곡역
…으나, 현재는 수요가 많지 않다.특급은 정차하진 않지만 화물수요는 어느정도 있기 때문에, 그리고 태백선의 열차 교행 관련해서 운전업무도 꽤 되기 때문에 역장과 역무원이 상주하는 직영역지위를 유지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무인역으로 변해버렸고…
모래위키:고사리역
…되어 고사리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설로는 이 마을에서 고사리가 많이 난다고 고사리가 되었다고도 한다. 전자의 설이 진짜라면 이 역과 고사리는 완전히 관계가 없어지는 셈.문화재청에 따르면, 원래 이 역이 고사리역이 아니라 지금의 하고사리역이 고사리역이었다고 한다…
모래위키:하고사리역
…목구조에 맞배지붕의 형태로, 과거에는 황토로 마감한 지붕에 비닐판 벽체를 가지고 있어 다른 역들과 매우 다른 모습이었다. 지역주민들이 직접 지었기 때문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승객이 역사를 거쳐야만 철로에 갈 수 있는 다른 역들과는 달리 지형 특성상…
모래위키:세포역
…은 편이다.원래 2면 7선보다 바깥쪽에 몇 선이 더 있었으나 현재는 철거되었다. 간선 철도가 접속하는 지점인데 선로가 생각보다는 적은 셈이다.↑ 성산리·새마을 ↗ㅣ12ㅣㅣ34ㅣㅣㅣㅣ삼방협 ↓1■ 경원본선평강·월정리·철원…
모래위키:추전역
…정암터널 입구는 추전역보다 약간 더 높은 해발 870m 내외에 위치해 있다. 추전역부터 고한역까지는 신호장이 없으며, 고한역과 태백역 사이의 선로용량은 일 25회[3]로 제한되어 있다.이 역과 태백역 사이는 경사가 상당히 급한데, 한때는 여기서도 보조기관차를 볼…
모래위키:신기역(강원)
…인접 정차역1. 개요
[편집]
1940년 문 열고 한때 석회석 화물 취급신기역은 삼척시에 위치한 영동선의 기차역으로, 1940년 8월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1950년 누전으로 한차례 역사가 소실되는 사건을 거치면서 1958년과 1992년에 새로운 역사를 신축 준공…
모래위키:도계역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삼척시가 공동으로 조성한 트래킹 코스인 운탄고도1330 중 7길 종점이자 8길 시작점이다.내일로 예전에는 내일로 플러스를 끊은 사람들은 도계역 역사 직원 숙소에서 숙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숙소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숙박은…
모래위키:꽈배기굴/과천선
…존재한다. 이 노선이 일반철도 노선과 직결된다 가정하면 오히려 과천선의 꽈배기굴보다 더 별난 구간이 되는 게, 신호와 전류 방식이 다를 뿐만 아니라 '자동운전 vs 수동운전'이라는 차이점까지 있다. 다만 과천선의 사례와는 다른 것이, 일반철도 노선으로 접속하…
모래위키:주포역
… 하지만 1933년 1월 1일부로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다.1997년 11월 20일에 현재의 역사가 준공되었으나, 이용객 감소로 인해 2007년 6월 1일부로 여객영업을 중단했다. 2015년 12월 27일 장항선 전철의 홍성 - 대천 구간 연장과 함께…
모래위키:안암역
…면 재미있는 현상이 있는데, 보통의 지하 역들은 지하 공간에서 도로로 나갈수록 반대편 계단과 크기가 벌어지는, 즉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두 개의 출구가 지하쪽보다 지상쪽이 더 멀리 벌어지는게 일반적이다. 아니면 그냥 계단 두 개가 정확히 평행을…
모래위키:영월역
…설이 유료였고 그나마도 상당히 비싼 편이었지만[2] 영월역에서는 특이하게도 맞이방에서 무료로 컴퓨터를 할 수 있었다.#[3] 현재는 맞이방이 리모델링되면서 철거되었다.2.1. 정양 지선
[편집]
http://theme.archives.go.kr/R/photo_contents/photo2012/gallery/9392002000/0014503942.JPG1965년 영월…
모래위키:이천역
…옛 이천역은 현재 이천농협하나로마트 일대에 있었으며, 경강선 이천역은 그 곳에서 약 2㎞ 정도 떨어져 있다.지상 2층 구조이다. 신둔도예촌역 방면에서 터널로 진입하는데 설봉산의 저수지와 서부 시가지의 주택 지역으로 인해 시가지 쪽 방향으로 터널 출구를 뺄…
모래위키:간석역
…유령승강장이 생긴 도원역과 그 점에서 차이가 있다.여기서 동암역까지의 급곡선이 심한 편이다. 400R이며 제한속도는 75km/h이다. 구한말~일제강점기 당시에 이 일대는 갯벌로서 현재의 경로가 거의 해안가에 가까웠다.이 역은 운임 구역 내에 화장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