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찾는 문서가 없나요? 문서로 바로 갈 수 있습니다.
전체 667 건 / 처리 시간 0.223초
모래위키:부평역
…부대까지 연결된다. 2012년 11월까지 해당 선로로 군용 화물이 운반되었으나 2017년 3군지사로 동원훈련 다녀온 예비군의 증언에 의하면 3~4년전부터 선로를 통한 물자운송은 중단되었고 전시상황에서만 선로를 사용 예정이라고 한다. 과거 17사…
모래위키:노량진역
…철도역이자 기점이다.1899년 9월 18일 개업한 한반도 최초의 철도였던 경인선의 시·종착역이었다. 이후 1900년 한강철교가 개통되어 남대문역(현 서울역)까지 노선이 연장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 이후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경인선 구간 중 구로역 이북 구간이 경부선으로…
모래위키:제천역
…제천역에서 중앙선-태백선 보통열차간 환승대기시간을 15분으로 꽤 길게 설정해두었는데 이는 보통열차로 장거리를 여행하는 여행객들이 중간에 가락국수를 먹고가라는 배려이다.그 외에 MC 스나이퍼 2집 타이틀곡 한국인의 뮤비 중 일부를 여기서 촬영했다.[12…
모래위키:경의·중앙 완행선
…없게 되었다.또한 기존 덕소행을 팔당행으로 연장하고, 일산-덕소 계통을 중간에 끼워넣으면서 다른 수도권 전철과 크게 다르지 않을 정도로 열차가 자주 운행하게 되었다.다만 팔당-용문 구간 및 개성-일산 구간의 증편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모래위키:성균관대역
…3개 신설하고, 고객 편의시설을 확충하였다.남서울철도 공식 소개 문구경부선 GB53번.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149 (율전동 495-2) 소재.[1]2. 역 정보
[편집]
1979년 2월 1일 율전역(栗田驛)이라는 이름으로 영업을 개시한 수도권 전철 최초의 중간 추가역…
모래위키:안양역
…하면서 인구 증가, 역사 노후에 따라 여러 차례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1974년에 지어진 옛 안양역은 191㎥규모의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어 전철역으로도 역할하였으며 2001년 현대식 민자역사로 탈바꿈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모래위키:모란역
…끼리 환승되는 역이 대부분 그렇듯 수인·분당선 맞이방은 인파가 끊이질 않는 반면 8호선 맞이방은 언제나 한산하다. 애초 분당선 역사가 모란시장 바로 앞에 생기다보니 시장 인근 연계되는 버스 정류장도 많고, 자연히 음식점과 술집들도 전부 분당선 쪽에 몰려있다…
모래위키:파주 버스 600
…지금의 모습과는 영 딴판이었다. 그러나 법원~금촌 구간을 두고 경쟁하던 신일여객의 303번(현 17번)이 법원읍에서 철수하고, 운정신도시 개발로 연선 인구가 증가하며 자연스레 수요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 노선의 성공에 자극받…
모래위키: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적으로 도심 구간에서 지하 40m[14] 이하까지 깊이 파고들어가 노선을 짓는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한국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도 이러한 추세를 따라 대심도로 건설된다.대신 지하 깊숙히 파고 들어가게 되면서 지상까지 역사를 짓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모래위키:산본역
…재비 등의 공사비가 폭등하는 바람에 예상보다 건설비가 비싸져서 산본신도시 개발이익금을 수탁한 대한주택공사와 산본역 건설 주체인 철도청이 건설비를 두고 갈등을 벌이기도 했다. 山本전철驛舎 건설비 공방(매일경제) 이 때문에 착공이 1991년으로 크게 늦어졌고…
모래위키:안산역
…오이도~안산 간은 각 역 정차하며, 나머지는 종전과 동일. 수인선 3단계 구간 개통 당일에는 당고개 준쾌속이 5편으로 증편되었고, 신길온천역을 통과하는 대신 초지역에 정차한다. 이후 일자 미상으로 당고개 준쾌속이 1회 감편되었다.수도권…
모래위키:인덕원역
…지나 인덕원에서 묵고 수원으로 향했다고 한다.1993년 1월 15일부터 남태령역과 직결된 1994년 4월 1일까지 금정~인덕원 구간이 개통되면서 과천선의 시종착역 역할을 맡았으나, 지금은 종착하지 않는다. 이 역은 상대식 승강장으로, 중간 개찰구는 방향별로…
모래위키:청량리역
…리아 뿐이다. KFC도 있었지만 폐점하였고, 한때 역 앞에 있었던 노브랜드버거 역시 폐점되었다.2006년 4월 25일에는 민자역사 건설 현장 사무소가 세워졌고, 2일 뒤인 4월 27일부터는 중간궤도 4개 선 철거 작업에 들어갔으며, 철거 뒤…
모래위키:금정역
…4호선은 서울교통공사 구간이다.과천·안산선은 이 역부터 종점인 오이도역까지 지상구간이다. 다만 중간에 터널이 수리산역~대야미역 및 반월역~상록수역 구간에 존재한다.과거 과천안산선 오이도행 열차가 4번 승강장에 열차 고장으로 멈춰섰을 때 5번 승강장 문이 열리고 6번 승강장…
모래위키:봉명역
…에 인접할 뿐만 아니라 순천향대병원, 선문대학교 등과 가까워 구도심 활성화와 지역 주민의 편의 증진을 위해 천안시가 봉명역사 건설 사업비 50%를 부담하여 봉명동 24-19번지 옛 철도 건널목 위치에 지상 2층의 선상역사로 건설되었다. 개통 당일 장항본선의 아산역 광장…
모래위키:천안아산역
…영업을 제의했고, 아산쪽에서는 천안아산 전체에서 공동영업을 제의했다고 한다. 아산시는 기본적으로 관광도시라 인가 택시 대수가 많고, 천안은 최근 인구 증가에 비해 택시대수가 많이 늘지 않았다. 때문에 천안 쪽에서 천안아산 전체 통합영업은 거부해 갈…
모래위키:시청역(서울)
…에 대한 내용은 문서를의 번 문단을의 번 문단을의 부분을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市廳驛City Hall Station서울교통공사시청역청량리 방면종 각← 1.0 ㎞1호선132서울 방면서울역1.1 ㎞ →◀ 경원선 직통경인선 직통 ▶경부선 직통 ▶외선순환충정로←…
모래위키:동해역
…역사를 많이 건설하면 표정속도와 수요 등의 문제가 있어서 삼척과의 중간지점에 천안아산역의 사례와 같이 고속선 전용역사를 세우자는 의견도 있다.# 다만 동해시와 삼척시에서는 교통수단 연계 방안 구상의 난점과 시가지에서 많이 멀어진다는 단점 때문에 이 방안이 달갑지…
모래위키:태백본선
…일: 정양선(영월화력선) 개통1966년 1월 15일: 고한선(자미원 ~ 사북) 개통1966년 1월 19일: 고한역 개업1967년 1월 20일: 정선선(증산 ~ 별어곡) 개통으로 예미 ~ 함백 구간은 함백선으로 분리 및 개명1967년 6월 1일: 장락역 개업1967년 12월 30일: 정선선 별어곡…
모래위키:이동역
…다. 그러나 이 방안의 최대 난관은 기존 과천안산선 승객들의 환승저항이었다.일단 2020년 9월 수인·분당선 직결 개통 시점에서는 위에 언급된 인상선이 설치되지 않아 과천안산선은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되었고 한대앞행 중간종착 열차는 없다. 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