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운포역(r2 Blame)
r2 | ||
---|---|---|
r1 (새 문서) | 1 | {{{+1 '''開雲浦驛'''[br]'''Gaeunpo Station'''}}} |
2 |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동해철도|[[파일:DH_Wlogo.png|height=50&align=left]]]][[동해철도|{{{#fff 동해철도}}}]][br]'''{{{#fff {{{+2 개운포역}}}}}}'''|| | |
3 | ||<-2><width=120px> [[부산역|{{{-2 {{{#000,#fff 부산 방면}}}}}}]][br][[덕하역|덕 하]][br]← 2.4 ㎞ ||<-2><width=120px><:><bgcolor=#0054a6>[[동해본선(부산 지구)|[[파일:SD-GH.png|width=20]][br]{{{-2 {{{#fff 동해선[br]GH31}}}}}}]]||<width=120px><-2><:>[[북울산역|{{{-2 {{{#000,#fff 북울산 방면}}}}}}]][br][[태화강역|태화강]] [br] 4.9 ㎞ →|| | |
4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 |
5 | ||<-6> [[울산광역시]] 남구 산업로 133 (상개동 97-1) || | |
6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 |
7 | ||<-2><bgcolor=#0054a6> [[동해본선|{{{#ffffff 동해선}}}]] ||<-4> [[동해철도|[[파일:동해철도.png|width=180&theme=light]][[파일:동해철도_White.png|width=180&theme=dark]]]] || | |
8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 |
9 | ||<-2><bgcolor=#0054a6> [[동해본선|{{{#ffffff 동해본선}}}]] ||<-4> 1992년 8월 20일 || | |
10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 |
11 | ||<-2><width=120px> [[부산진역|{{{-2 {{{#000,#fff 부산진 방면}}}}}}]][br][[덕하역|덕 하]][br]← 2.4 ㎞ ||<bgcolor=#f5f5f5,#373a3c><-2><:>'''[[동해본선]]'''[br]개운포||<width=120px><-2><:>[[두만강역|{{{-2 {{{#000,#fff 두만강 방면}}}}}}]][br][[태화강역|태화강]] [br] 4.9 ㎞ →|| | |
12 | [목차] | |
13 | [clearfix] | |
14 | == 개요 == | |
15 | [[동해본선]] GH31번. [[울산광역시]] 남구 산업로 133 (상개동 97-1) 소재 | |
r2 | 16 | |
17 | == 역 정보 == | |
r1 (새 문서) | 18 | 과거 [[울산공업고등학교]] 정문 앞에 있던 [[달리신호장|달리역]][* 달리는 현 [[남구(울산광역시)|남구]] [[달동(울산)|달동]]의 옛 이름. 1992년에 울산 도심 이설과 동시에 폐선된 [[울산선]]이 이곳에서 분기하였다.]이 [[1992년]] [[동해남부선]] 이설[* 이설 전 동해남부선은 지금의 [[두왕로]] 옆을 그대로 따라가는 형태로 덕하역에서 활고개교차로까지는 상행 기준 도로 왼편에 노반이 비교적 온전히 남아 있고 그 이후로는 [[롯데마트 울산점]] 근처까지 옛 철길을 따라 그대로 [[신남로(울산)|도로]]가 나 있어 선형을 어렵잖게 알 수 있다.]로 폐지되며 이를 대체하기 위해 건설된 역이다. 최초 개통 당시 명칭은 '''선암역(仙岩驛)'''. |
19 | ||
20 | 선암역 시절에는 [[신호장]]이었기 때문에 열차가 교행할 때만 잠시 정차하며 여객취급은 하지 않는 곳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었다.] 하지만 동해남부선의 수요 감소와 함께 교행 필요성도 줄어들면서 어느샌가 분기기와 복선선로가 사라져 신호장 역할조차 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신 역사 건설 전까지는 역사 앞에 역명판과 비상시를 위한 1량짜리 승강장 정도만 있는, 실질적으로는 폐역인 상태였다. | |
21 | ||
r2 | 22 | 하지만 [[동해선 광역전철]] 건설이 확정되면서 잠들어 있던 선암역에 새로운 빛이 들어오게 되었다. 선암역을 [[덕하역]]과 [[태화강역]](계획 수립 당시 울산역)의 중간 정차역으로 사용하기로 결정되면서 역 승격이 확정된 것. 처음부터 열차가 정차하지 않아 이미 역이 반 폐역 상태인 만큼 빠르게 공사를 개시했다. 2015년 기존 역사를 철거한 후 2018년 초부터 이미 승강장의 구조물을 지저분하게나마 전부 만들어놓았으며 2019년에 역사 외골격 건설이 완료되었다. 한때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 2단계 구간 (일광↔태화강) 중에서 공사 진척이 가장 빨랐을 정도. |
r1 (새 문서) | 23 | |
24 | 한편 선암역이 재건됨에 따라 울산에서는 선암역의 역명을 새로이 제정하자는 논의가 나왔고, 이에 따라 주민 설문을 실시해 기존 역명이자 행정동명에서 딴 '선암역', 역이 위치한 법정동명에서 딴 '상개역', 울산의 옛 이름 중 하나인 '개운포역'[* [[처용]] 설화와 관련이 있다.] 3가지의 후보가 나왔다. 그리고 2020년 4월, 울산광역시 남구 지명위원회는 회의 끝에 '''개운포(開雲浦)역'''으로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408_0000987075&cID=10899&pID=10800|역명을 건의]]했고, 동년 10월 26일 제12회 역명심의위원회에서 역명 제정이 통과되었다.[[https://archive.is/K5tzM|#]] 이후 2021년 8월 26일, [[https://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I0000000000000001629790022171000&tocId=I0000000000000001629350184715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21-1031%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0%258F%25EC%25B2%25A0%25EB%258F%2584%25EA%25B1%25B0%25EB%25A6%25AC%25ED%2591%259C%25EB%25B3%2580%25EA%25B2%25BD(%25EB%258F%2599%25ED%2595%25B4%25EC%2584%25A0))|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1031호]]에 따라 역명이 개운포역으로 최종 확정, 고시되었다. | |
25 | ||
26 | === 승강장 === | |
27 | ||
r2 | 28 | ||<-4> ↑ [[덕하역|덕하]] || |
r1 (새 문서) | 29 | ||<width=10px><bgcolor=#0054a6> {{{#ffffff 1}}}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54a6> {{{#ffffff 2}}} || |
30 | ||<-4> [[태화강역|태화강]] ↓ || | |
31 | ||
r2 | 32 | ||<bgcolor=#0054a6><tablebordercolor=#0054a6> {{{#ffffff 1}}} ||<|2> [[파일:SD-GH.png|width=17]] [[동해본선(부산 지구)|동해선]] ||[[덕하역|덕하]]·[[남창역|남창]]·[[부산역|부산]] 방면 || |
33 | ||<bgcolor=#0054a6> {{{#ffffff 2}}} ||[[태화강역|태화강]]·[[북울산역|북울산]] 방면 || | |
34 | ||
35 | == 인접 정차역 == | |
36 |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rowbgcolor=#f5f5f5,#373a3c><tablebgcolor=#ffffff,#2d2f34><-6> [[파일:SD-GH.png|height=17]] [[동해본선(부산 지구)|동해선]] || | |
37 | ||<width=34%><-2><:>[[부산역|{{{-2 {{{#000,#fff 부산 방면}}}}}}]][br][[덕하역|덕 하]][br]← 2.4 ㎞||<width=32%><-2><bgcolor=#808080> {{{-1 {{{#fff 보통[br]普通}}}}}} ||<width=34%><-2><:>[[북울산역|{{{-2 {{{#000,#fff 북울산 방면}}}}}}]][br][[태화강역|태화강]] [br] 4.9 ㎞ →|| | |
38 | ||<width=34%><-2>||<width=16%> ||<width=16%> ||<width=34%><-2> || | |
r1 (새 문서) | 39 | |
40 | == 역 주변 정보 == | |
41 | 개운포역 앞을 지나는 [[산업로(울산)|산업로]]는 구 [[31번 국도]]였다. 구 31번 국도는 [[태화강역]]을 거쳐서 [[북구청(울산광역시)|울산 북구청]] 앞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그러나 31번 국도가 [[두왕로]]로 변경 지정돼 구 31번 국도에 대한 [[국도]] 지정이 해제되었다. | |
42 | ||
43 | 그러나 이 역의 가장 큰 문제점은 주변에 이상할 정도로 시설이라 할 게 없다는 것이다. 공단과 주거지 사이의 완충녹지를 가로지르는 [[산업로(울산)|산업로]] 연선에 위치한 탓인데 있는 것이라고 해봐야 넓디넓은 도로와 근처에 있는 화물차휴게소, 장례식장, 골프연습장, 민가 몇 채, [[도살장|도축장]]과 석유화학공단 '''입구''' 정도다. 그나마 가까운 주거단지라 할 수 있는 [[상개동]]은 [[덕하역]]이 거리 면에서든 연계교통 면에서든 훨씬 가깝고,[* 상개동 주택단지에 정차하는 버스들은 많은데, 이들 전부 개운포역으로 꺾지 않고 덕하역으로 직진한다.] [[수암동]] 아파트 단지들은 함월산과 선암호수공원으로 막혀 있으며, 어느 정도 출퇴근 수요를 끌어올 수 있는 울산테크노파크도 연계교통이 덕하역에만 편중되어 있다. [[선암동(울산)|선암동]], [[야음동]] 주택가들도 직선거리로만 최소 1.5km 밖에 있다. 주변이 워낙 개발이 되지 않아서인지 후술할 [[덕하공영차고지]] 완공 전까지 이곳을 지나는 버스 노선 또한 [[울산 버스 235|235번]] 하나에 불과할 정도였다. 때문에 차라리 개운포역이 주거지와 가깝고 연계 버스가 충실한 선암동 행정복지센터 인근, 또는 야음장생포동 변전소사거리에 건설되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 |
44 | ||
45 | 시에서는 이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다가 2020년 [[덕하공영차고지]] 완공을 기점으로 조금씩 개운포역 접근성 개선에 들어갔다. 2020년 7월 11일자로 [[덕하공영차고지]] 운영이 시작되며 원래 야음동 변전소종점에서 시종착하던 [[울산 버스 126|126번]], [[울산 버스 206|206번]], [[울산 버스 216|216번]]의 노선이 연장되어 개운포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이후 2021년 7월 31일부로 개운포역 버스정류장도 신설되어 환승거리가 짧아졌고 9월 4일자로 지선버스 [[울산 버스 926|926]]번이 추가로 경유하고 12월 11일자로 [[울산 버스 728|728번]], [[울산 버스 754|754번]]까지 경유하는 등 접근성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다만 같은 날부터 오래 전부터 경유하던 [[울산 버스 235|235번]]이 경유를 하지 않게 되었다. 다만 덕하차고지행 노선은 같은 이유로 [[덕하역]]도 경유하는데, 실제 이용 패턴이 어떻게 되는지는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을 듯. --그래도 [[달월역]]보다는 이용객이 많겠지.--] | |
46 | ||
47 | 현재 주 이용 패턴은 야음동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이 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주이다. 현재 이 역과 연계되는 모든 시내버스는 야음동을 지나가게 되어 있어 적긴 하지만 일부 야음동 주민들이 동해선을 이용할 때 위의 방법으로 많이 접근한다. 역 근처 마을이나 공장 등에 재개발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시내버스 환승 없이 오는 승객은 거의 없을 전망이다.[* 개운포역이 가지는 가장 큰 단점이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곳에서 환승없이 오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역 주변 개발이 요원한 상황에서 이용객의 증원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이를 해결할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환승없이 개운포역으로 올 수 있는 버스노선을 신설하는 것이다. 다행히 이용이 가능한 거리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상권이 꽤 분포되어 있어 전망은 나쁘지 않다. 현재 마을버스 923,923-1의 종점을 개운포 역으로 바꾸는 것이 손쉬운 방법이고 롯데마트-대명루첸-신정홈타운-대현초등학교-홈플러스-동부아파트-수암롯데캐슬-수변공원-야음초등학교-선암동행정복지센터-개운포역 정도의 신노선도 충분히 검토해 볼 만하다.] | |
48 | ||
49 | 그 외에도 타이밍 좋게 [[남부순환도로]] 미건설 구간인 상개 ~ 매암 구간이 2021년 1월에 개통하기도 했지만 구조상 개운포역 교통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다만 함월산에 터널을 뚫어서 선암IC와 연계한다면 선암동 수요를 조금은 끌어모을 수도 있다.[* 이를 염두에 둔 것인지는 불명확하지만, 개운포역 서쪽으로 지하차도가 하나 있는데 이 도로를 연장하면 선암IC와의 연계가 가능해진다.] | |
50 | ||
51 | === 출구 정보 === | |
52 | ||<width=10px><bgcolor=#0054a6> {{{#ffffff 1}}} ||개운포역교차로|| | |
53 | ||<width=10px><bgcolor=#0054a6> {{{#ffffff 2}}} ||환승주차장|| | |
54 | ||
55 | == 이용 실적 == | |
56 | 위 문단에서 설명한 역 위치의 문제점 때문에 '''동해선 전철에서 이용객 수가 가장 적은 역이다.''' 마찬가지로 이용객 수 적기로 손에 꼽히는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석대역]]과 맞먹는 수준이다. [[코레일네트웍스]]에서 2번 출구 앞의 주차장을 [[https://blog.naver.com/zksqkfk2005/222857444021|유료]] 운영한 적이 있었으나 2023년 9월 6일부터 유료 운영을 일시 중지하고 [[https://www.knpark.com/noticeView.html?notice_id=1791|'''무료화''']]했을 정도.[* 주차면 수는 20대 미만으로 좁은 편이지만 워낙 이용객이 적다보니 주차장 자체가 늘 한산하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이후 주차장 이용객이 늘기는 했다.] | |
57 | ||
58 | 개운포역에 위안이 되는 점이라면 어느덧 [[망양역]]과도 별 차이가 안 날 정도로 성장했다는 점과 배차간격이 훨씬 좋은 석대역을 추월했다는 점일 것이다. 울산 남부에서 일부러 찾아오는 수요가 조금씩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아직 갈 길이 멀다. 버스 전철 간 환승할인이 추가된다면 천 명을 넘길 가능성이 있다. | |
59 | ||
60 | == 연계 교통 == | |
61 | * 개운포역(정류장 번호: 40426) | |
62 | * [[울산 버스 215]] - [[농소공영차고지]]행 | |
63 | * [[울산 버스 514]] - 장검중학교행 | |
64 | * [[울산 버스 남구06]] - 현대백화점정문행 | |
65 | ||
66 | * 개운포역(정류장 번호: 40427) | |
67 | * [[울산 버스 215]] - [[덕하공영차고지]]행 | |
68 | * [[울산 버스 514]] - [[덕하공영차고지]]행 | |
69 | * [[울산 버스 남구06]] - 상개동행 | |
70 | * [[울산 버스 울주11]] - [[망양역]]행 | |
71 | * 개운포역(정류장 번호: 40424) | |
72 | * [[울산 버스 울주11]] - 회차지 | |
73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개운포역, version=474)] | |
74 | ||
75 | [[분류:울산광역시의 철도역]][[분류:동해본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