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계역(r3 Blame)
r3 | ||
---|---|---|
r1 (새 문서) | 1 | [[분류:강원도의 철도역]][[분류:영동본선]] |
2 | {{{+1 '''道溪驛'''[br]'''Dogye Station'''}}} | |
3 |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도계역}}}}}}'''|| | |
4 | ||<-2><width=120px> [[철암역|{{{#000000,#fff {{{-2 철암 방면}}}}}}]] ||<height=60px><|2><-2><width=120px><:><bgcolor=#ff7e1c>[[영동본선|{{{#fff {{{-2 영동선}}}}}}]]||<|4><width=120px><-2><:>[[동해역|{{{-2 {{{#000,#fff 동해 방면}}}}}}]][br][[고사리역|고사리]][br]4.7 ㎞ →|| | |
5 | ||<-2><|2> [[동백산역|동백산]][br]← 18.2 km || | |
r2 | 6 | ||<|2><width=120px><-2><bgcolor=#75787A> [[태백본선|{{{#fff {{{-2 태백선}}}}}}]] || |
r1 (새 문서) | 7 | ||<-2><width=120px> [[제천역|{{{#000000,#fff {{{-2 제천 방면}}}}}}]] || |
8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 |
9 | ||<-6>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20-15(전두리) || | |
10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 |
11 | ||<-2><bgcolor=#ff7e1c> [[영동본선|{{{#ffffff 영동본선}}}]] ||<-4>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 || | |
12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 |
13 | ||<-2><bgcolor=#ff7e1c> [[영동본선|{{{#ffffff 영동본선}}}]] ||<-4> 1940년 8월 1일[* 철암선으로써의 개업일.] || | |
14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 |
15 | ||<-2><:>[[영주역|{{{-2 {{{#000,#fff 영주 방면}}}}}}]][br][[솔안신호장|솔 안]][br]← 8.2 ㎞||<bgcolor=#f5f5f5,#373a3c><-2><:>'''[[영동본선]]'''[br]도 계||<-2><:>[[동해역|{{{-2 {{{#000,#fff 동해 방면}}}}}}]][br][[고사리역|고사리]][br]4.7 km →|| | |
16 | ||
17 | [목차] | |
18 | [clearfix] | |
19 | == 개요 == | |
20 | >'''영동선 석탄수송의 핵심역사, 서독 파견 광부들의 훈련소 역할''' | |
21 | >도계역은 1940년 8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영동선 석탄수송의 핵심역사였다. 도계역이 위치한 도계리는 세 갈래 길의 분기점에 있다 하여 길가말이라 불리던 이름이 와전되며 붙은 마을로 시외버스터미널과 철도역이 위치한 삼척의 주요마을이다. 광복 이후 대한석탄공사에 이관된 인근 탄광의 규모가 커지자 1951년 도계광업소와 장성광업소로 분리 운영되었는데, 당시 도계는 강원도 내 석탄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는 중요한 석탄 산지였으며 1975년까지 서독에 파견하는 광부들의 훈련소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바로 이 무연탄을 묵호항과 여러 도시로 나르기 위해 만들어진 역이 도계역이다. | |
22 | >---- | |
23 |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 |
24 | [[영동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20-15(전두리) 소재. | |
25 | ||
r3 | 26 | 2002년에 태풍 루사[* 2002년 당시 영동선 철로가 '''엿가락처럼 늘어져 있을 정도'''로 지반이 문자 그대로 쓸려 내려갔다.], 2003년 태풍 매미가 이 역의 선로를 '''휩쓸고 가버려서(…)''' 한동안 [[영동본선]]의 시종착역으로 기능했었다. |
r1 (새 문서) | 27 | == 역 정보 == |
28 | 여기서부터 [[통리역]]까지의 [[스위치백]] 구간과 급경사 구간이 있어서 보조기관차가 배치되어 있었으며 해당 구간은 2012년 6월 27일을 기해 폐선되었다. | |
29 | ||
30 | 도계역과 [[동백산역]] 사이에 길이 16.2㎞의 [[솔안터널]]이 있다. 기존 도계역~동백산역 구간(일명 황지본선)에 [[스위치백]]과 노후화로 인한 안전성 문제[* 폐선 기준 '''72년'''이나 묵은 시설이었다. 누수 문제가 상당했으며 스위치백을 빼더라도 선형이 너무 불량하여('''250R''' 급곡선 구간 등) 아무리 빨라도 70km/h를 넘기지 못 했다.]와 후진 제한속도('''25'''km/h)로 인한 소요시간 문제가 제기되어 [[똬리굴]] 형태의 단선 철도터널을 건설하여 이설한 것이다. | |
31 | ||
32 | ||<-5><tablebordercolor=#0047a0><bgcolor=#0047a0><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width=100%>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
33 | ||<width=30%> 45호 ||<|2> ← ||<width=30%> '''46호''' ||<|2> → ||<width=30%> 47호 || | |
34 | || [[연천역]] [[급수탑]] || '''도계역 급수탑''' || [[추풍령역]] [[급수탑]] || | |
35 | ||
36 | 이 역의 [[급수탑]]은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도보로 약 10분 정도 소요된다. 이 급수탑은 수압 조절의 문제로 다른 급수탑과 달리 낮은 높이로 설계되었다고 전해진다. | |
37 | ||
38 | 현재의 도계역 역사(驛舍)는 1984년 완공된 것이다. | |
39 | ||
40 | == 승강장 == | |
41 | ||<-8> ↑ [[고사리역|고사리]] || | |
42 | || │ ||<bgcolor=#ff7e1c>{{{#ffffff 1}}} ||<bgcolor=#ff7e1c> {{{#ffffff 2}}} || │ || | |
43 | ||<-8> ↓ [[동백산역|동백산]] || | |
44 | ||
45 | ||<bgcolor=#ff7e1c> {{{#ffffff 1}}} ||<|2>{{{#ff7e1c ■}}} [[영동본선|영동선]] || 하행 ||[[신기역(강원)|신기]]·[[동해역|동해]] 방면 || | |
r2 | 46 | ||<bgcolor=#ff7e1c> {{{#ffffff 2}}} || 상행 ||[[백산역|백산]]·[[철암역|철암]] 방면[br] {{{-2 ( {{{#75787A ■}}} [[태백본선|태백선]] 직통 [[태백역|태백]]·[[영월역|영월]]·[[제천역|제천]] 방면)}}} || |
r1 (새 문서) | 47 | |
48 | == 인접 정차역 == | |
r2 | 49 | ||<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6> {{{#ff7e1c ■}}} [[영동본선|영동선]]·{{{#75787A ■}}} [[태백본선|태백선]] || |
r1 (새 문서) | 50 | ||<width=34%><-2><:>[[영주역|{{{-2 {{{#000,#fff 영주 방면}}}}}}]][br][[동백산역|동백산]][br]← 18.2 km||<-2><bgcolor=#00a495><color=#fff><:>[[동해산타열차|{{{-2 {{{#fff [특급] 동해산타열차[br][特急] 東海산타列車}}}}}}]]||<:><-2>[[강릉역|{{{-2 {{{#000,#fff 강릉 방면}}}}}}]][br][[신기역(강원)|신 기]][br]15.3 ㎞ →|| |
51 | ||<width=34%><-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동백산역|동백산]][br]← 18.2 km||<width=32%><-2><bgcolor=#3d99c2><:>[[태백산(열차)|{{{-1 {{{#fff [특급] 태백산[br][特急] 太白山}}}}}}]]||<width=34%><-2><:>[[강릉역|{{{-2 {{{#000,#fff 강릉 방면}}}}}}]][br][[동해역|동 해]][br]36.4 km →|| | |
52 | ||<width=34%><-2><:>{{{-2 {{{#000,#fff [[철암역|{{{#000,#fff 철암}}}]]·[[제천역|{{{#000,#fff 제천}}}]] 방면}}}}}}[br][[동백산역|동백산]][br]← 18.2 km||<|2><width=32%><bgcolor=#808080><-2><:>{{{-2 {{{#fff 보통[br]普通}}}}}}||<|2><width=34%><-2><:>[[동해역|{{{-2 {{{#000,#fff 동해 방면}}}}}}]][br][[고사리역|고사리]][br]4.7 km →|| | |
53 | ||
54 | == 여담 == | |
55 | 얼핏 봤을 때 도계읍에서 볼 것은 위 [[급수탑]]과 도계역 하나밖에 없어 보일 수 있다. | |
56 | ||
57 | 그러나 알고 보면 도계역 주변은 나름대로 볼 것이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과거 탄광촌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고, 지금도 탄광촌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도계역 바로 뒤에 가행중인 탄광인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가 위치해 있다. 또한 도계역 뒷편 저탄장에는 폐석 운반용 [[강삭철도]]가 있다. 읍내 반대방향인 남쪽으로 가다 보면 도계전두시장 및 오십천변 까치발 건물들이 있고, 더 올라가면 비교적 최근에 폐광된 [[https://zomzom.tistory.com/5798|흥전갱 입구]]까지 갈 수 있다. 반대로 읍내쪽으로 가면 과거 광부사택이었던 [[https://zomzom.tistory.com/5674|장미사택]] 등과 천연기념물 95호 긴잎느티나무가 있다. | |
58 | ||
59 | 도계역은 강원도 남부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삼척시]]가 공동으로 조성한 트래킹 코스인 운탄고도1330 중 7길 종점이자 8길 시작점이다. | |
60 | ||
61 | [[내일로]] 예전에는 내일로 플러스를 끊은 사람들은 도계역 역사 직원 숙소에서 숙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숙소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숙박은 근처 모텔을 이용하여야 한다. | |
62 | ||
63 | 이 역에서 [[하이원추추파크]]로 가는 [[스위치백]]트레인이 운행이 2016년 1월 9일부터 시작되어 한동안 운행하였으나, 현재는 안전문제로 운행을 중단하고 있다. 현재는 스위치백 열차를 경험하려면 [[하이원추추파크]]에서만 가능하다. 혹시 경험하고 싶다면 [[하이원추추파크]]쪽으로 문의해보기 바란다. | |
64 | ||
65 | 도계역에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도계역, [[나한정역]], [[흥전역]] 스탬프가 매표소 앞에 비치되어 있다. 나한정역과 흥전역 스탬프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중 크기가 가장 큰 스탬프로, 가로 10cm, 세로 6.5cm이다. 나한정역과 흥전역 스탬프를 [[https://zomzom.tistory.com/5937|우편엽서에 찍은 사진]]을 보면 우편엽서의 절반에 육박하는 크기를 자랑한다. | |
66 | ||
67 |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 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일요일 기차를 타면 20대 청년들이 우르르 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
68 | ||
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