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
r1

(새 문서)
1[include(틀:관인교통 운행노선)]
2
3[목차]
4== 노선 정보 ==
5||<-6><tablewidth=100%><bgcolor=#0075c8><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75c8> {{{#ffffff 연천군 좌석형버스 810번}}} ||
6||<-2> 기점 ||<width=300px>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2> 종점 ||<width=300px>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사창리 (사창리터미널) ||
7||<|2><width=50px> 종점행 ||<width=50px> 첫차 || 05:40 ||<|2><width=50px> 기점행 ||<width=50px> 첫차 || 07:00 ||
8|| 막차 || 20:30 || 막차 || 21:50 ||
9||<-2> 평일배차 || 30~40분 ||<-2> 주말배차 || 50~75분 ||
10||<-2> 운수사명 || [[관인교통]] ||<-2> 인가대수 || 12대(예비 1대) ||
11||<-2> 노선 ||<-4>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세집레입구 - 은대3리 - 농협사거리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중고등학교입구 - 장탄1리 - 장탄2리 - {{{#aaa 동서로}}} - 주원5리.군자동 - 주원4리.옥병 - 오가1리 - 영평3~1리 - 영송리 - 성동5리 - 성동4리.파주골 - 수입4리.와룡교 - 노곡2리.새동네아파트 - 노곡초교 - 노곡리 - 장암2리.매바위 - 이동 - 도평4리.풍차가든 - 도평리 - 도평삼거리 - 백운계곡입구 - 백운계곡관광지앞 - 백운동(백운계곡) - 백운종점 - 선유담계곡 - 광덕산 - 윤나리휴게소 - 광덕계곡 - 번암산휴게소 - 광덕2리 - 광덕초교 - 수밀리입구 - 사내중고등학교 - 사창리터미널 ||
12
13||<-6><tablewidth=100%><bgcolor=#0075c8><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75c8> {{{#ffffff 연천군 좌석형버스 811번}}} ||
14||<-2> 기점 ||<width=300px>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2> 종점 ||<width=300px>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사내면 광덕리 (광덕2리) ||
15||<|2><width=50px> 종점행 ||<width=50px> 첫차 || 06:00 ||<|2><width=50px> 기점행 ||<width=50px> 첫차 || 07:30 ||
16|| 막차 || 19:30 || 막차 || 21:00 ||
17||<-2> 평일배차 || 60~80분 ||<-2> 주말배차 || '''100~160'''분 ||
18||<-2> 운수사명 || [[관인교통]] ||<-2> 인가대수 || 4대(예비 1대) ||
19||<-2> 노선 ||<-4>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세집레입구 - 은대3리 - 농협사거리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중고등학교입구 - 장탄1리 - 장탄2리 - {{{#aaa 동서로}}} - 주원5리.군자동 - 주원4리.옥병 - 오가1리 - 영평3~1리 - 영송리 - 성동5리 - 성동4리.파주골 - 수입4리.와룡교 - 노곡2리.새동네아파트 - 노곡초교 - 노곡리 - 장암2리.매바위 - 이동 - 도평4리.풍차가든 - 도평리 - 도평삼거리 - 백운계곡입구 - 백운계곡관광지앞 - 백운동(백운계곡) - 백운종점 - 선유담계곡 - 광덕산 - 윤나리휴게소 - 광덕계곡 - 번암산휴게소 - 광덕2리 ||
r2
20===# 한시운행 노선 #===
r1

(새 문서)
21||<-6><tablewidth=100%><bgcolor=#0075c8><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75c8> {{{#ffffff 연천군 좌석형버스 812번}}} ||
r2
22||<-6><bgcolor=#f8931f> {{{#000000 '''광덕산고개 결빙·통행불가시에만 운행'''}}} ||
r1

(새 문서)
23||<-2> 기점 ||<width=300px>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2> 종점 ||<width=300px>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백운종점) ||
24||<|2><width=50px> 종점행 ||<width=50px> 첫차 || 05:40 ||<|2><width=50px> 기점행 ||<width=50px> 첫차 || 07:00 ||
25|| 막차 || 20:30 || 막차 || 21:50 ||
26||<-2> 평일배차 || 30~40분 ||<-2> 주말배차 || 50~75분 ||
27||<-2> 운수사명 || [[관인교통]] ||<-2> 인가대수 || -대[* 810번 차량으로 운행.] ||
28||<-2> 노선 ||<-4>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세집레입구 - 은대3리 - 농협사거리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중고등학교입구 - 장탄1리 - 장탄2리 - {{{#aaa 동서로}}} - 주원5리.군자동 - 주원4리.옥병 - 오가1리 - 영평3~1리 - 영송리 - 성동5리 - 성동4리.파주골 - 수입4리.와룡교 - 노곡2리.새동네아파트 - 노곡초교 - 노곡리 - 장암2리.매바위 - 이동 - 도평4리.풍차가든 - 도평리 - 도평삼거리 - 백운계곡입구 - 백운계곡관광지앞 - 백운동(백운계곡) - 백운종점 ||
29
30||<-6><tablewidth=100%><bgcolor=#0075c8><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75c8> {{{#ffffff 연천군 좌석형버스 813번}}} ||
r2
31||<-6><bgcolor=#f8931f> {{{#000000 '''광덕산고개 결빙·통행불가시에만 운행'''}}} ||
r1

(새 문서)
32||<-2> 기점 ||<width=300px> 경기도 연천군 연천읍 옥산리(연천공영버스터미널) ||<-2> 종점 ||<width=300px>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도평리 (도평리) ||
33||<|2><width=50px> 종점행 ||<width=50px> 첫차 || 06:00 ||<|2><width=50px> 기점행 ||<width=50px> 첫차 || 07:30 ||
34|| 막차 || 19:30 || 막차 || 21:00 ||
35||<-2> 평일배차 || 60~80분 ||<-2> 주말배차 || '''100~160'''분 ||
36||<-2> 운수사명 || [[관인교통]] ||<-2> 인가대수 || -대[* 811번 차량으로 운행.] ||
37||<-2> 노선 ||<-4>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통재입구.팔판서마을 - 세집레입구 - 은대3리 - 농협사거리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재래시장앞 - 전곡중고등학교입구 - 장탄1리 - 장탄2리 - {{{#aaa 동서로}}} - 주원5리.군자동 - 주원4리.옥병 - 오가1리 - 영평3~1리 - 영송리 - 성동5리 - 성동4리.파주골 - 수입4리.와룡교 - 노곡2리.새동네아파트 - 노곡초교 - 노곡리 - 장암2리.매바위 - 이동 - 도평4리.풍차가든 - 도평리 ||
38== 개요 ==
39연천군 연천터미널을 출발하여 전곡터미널과 포천 일동을 거쳐 강원 화천군 사창리터미널이나 광덕2리를 잇는 좌석형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10번 '''134.8km''', 811번 '''125.7km'''이다.
40== 역사 ==
41 * 2015년 12월 14일에 신설되었다. 이때 당시에는 810번만 운행하였으며, 도평리까지만 운행했다.
42
43 * 2016년 1월 28일에 무려 화천군 사창리까지 연장되었으며, 배차간격 효율화를 위해 광덕2리까지만 운행하는 811번이 신설되었다.
44
45 * 그러나 2017년 4월 23일에 관인교통의 버스영업 중단으로 해당노선의 운행도 중단되었다.
46
47 * 2024년 10월 1일에 두 노선 모두 운행을 재개하였다. 다만 810번의 인가댓수가 24대에서 12대로 대폭 감차되었으며, 811번도 8대에서 4대로 절반이 감차되었다. 또한 810번의 막차가 광덕고개 안전문제로 연천 출발 '''0시'''에서 20시 30분으로 크게 앞당겨졌다.
48== 특징 ==
49 * 두 노선 모두 무려 강원특별자치도로 유출입하는 노선으로, 운행거리가 상당히 길지만, 직행좌석버스가 아닌 좌석형버스로 운행되고 있다.
50
51 * 본래 810번과 811번을 통합하여 사창리에서 나아가 화천터미널까지 연장운행하려고 했으나 시계외제한으로 무산되었다.
52
53 * 폭우나 결빙 등으로 광덕산고개에 차량통행이 불가능할 경우, 810번은 백운종점, 811번은 도평리에서 중간타절하는데, 이때는 각각 812번과 813번으로 번호를 부여받아 본선과의 차이를 두고 운행한다.
54 [[분류:연천군의 농어촌버스]][[분류:2015년 개통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