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zh/설명 문서(r1 Blame)
r1 | ||
---|---|---|
r1 (새 문서) | 1 | [[분류:틀 설명 문서]] |
2 | [목차] | |
3 | == 개요 == | |
4 | 각 나라 한자 표준에 맞게 글꼴을 지정한다. | |
5 | ||
6 | == 사용법 == | |
7 | * '''틀 사용''': 짧은 서술에 적용을 원할 경우 | |
8 | ||<-2><tablebordercolor=#00a495><colcolor=#fff><bgcolor=#00a495> 목록 || | |
9 | ||<colbgcolor=#555><width=100> '''예시''' ||{{{[include(틀:zh, text=漢字)]}}}|| | |
1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7px]] '''[[간체자|{{{#fff 간체자}}}]]''' ||{{{[include(틀:zh, text=)]}}}|| | |
11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7px]] '''[[정자(한자)|{{{#fff 정체자}}}]]''' ||{{{[include(틀:zh-hant, text=)]}}}|| | |
12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7px]] '''[[신자체|{{{#fff 신자체}}}]]''' ||{{{[include(틀:ja, text=)]}}} || | |
13 | ||[[파일:홍콩 국기.svg|width=27px]] '''[[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s-4|{{{#fff 번체자}}}]]''' ||{{{[include(틀:zh-hk, text=)]}}} || | |
14 | HTML 문법을 사용한 틀으로, text 부분의 줄 바꿈은 {{{<br>}}}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
15 | ||
16 | * '''wiki style 문법 사용''': 여러 줄 또는 틀 문서에 적용을 원할 경우, 복붙 후 "한자 입력"에 원하는 한자를 입력하면 된다.[* 인라인 요소로 사용하려면 스타일에 {{{display: inline;}}} 추가.] | |
17 | ||<-2><tablebordercolor=#00a495><colcolor=#fff><bgcolor=#00a495><colkeepall> '''복붙용''' || | |
18 | ||<colbgcolor=#555><width=10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7px]] '''[[간체자|{{{#fff 간체자}}}]]''' ||{{{{{{#!wiki style="font-family: PingFang SC, Noto Sans SC, Microsoft YaHei UI, Microsoft YaHei, Heiti SC, SimSun" | |
19 | 한자 입력}}}}}}|| | |
20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7px]] '''[[정자(한자)|{{{#fff 정체자}}}]]''' ||{{{{{{#!wiki style="font-family: PingFang TC, Noto Sans TC, Microsoft JhengHei UI, Microsoft JhengHei, Heiti TC, PMingLiU" | |
21 | 한자 입력}}}}}}|| | |
22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7px]] '''[[신자체|{{{#fff 신자체}}}]]''' ||{{{{{{#!wiki style="font-family: Hiragino Sans, Hiragino Kaku Gothic Pro, Noto Sans JP, Yu Gothic, Meiryo, MS Gothic" | |
23 | 한자 입력}}}}}}|| | |
24 | || [[파일:홍콩 국기.svg|width=27px]] '''[[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s-4|{{{#fff 번체자}}}]]''' ||{{{{{{#!wiki style="font-family: PingFang HK, Noto Sans HK, Microsoft JhengHei UI, Microsoft JhengHei, PMingLiU" | |
25 | 한자 입력}}}}}}|| | |
26 | ||
27 | == 글꼴 지정이 필요한 이유 == | |
28 | 한자는 나라별 표준 자형이 다르다. [[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 참고. 자형이 다른 한자는 [[유니코드]]에서 보통 서로 다른 코드 포인트를 배정받지만 미세한 차이일 경우 같은 코드 포인트에 통합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지역별로 다른 글꼴을 지정해야 올바른 자형을 표시할 수 있다. | |
29 | ||<-5><width=600><nopad>[[파일:자형 차이.png|width=100%]]|| | |
30 | || {{{#!wiki style="font-size: 40px;" | |
31 | 麻}}}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SC, Noto Sans SC, Microsoft YaHei, Heiti SC; font-size: 40px;" | |
32 | 麻}}}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TC, Noto Sans TC, Microsoft JhengHei, Heiti TC; font-size: 40px;" | |
33 | 麻}}}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HK, Noto Sans HK, Microsoft JhengHei; font-size: 40px;" | |
34 | 麻}}}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iragino Sans, Hiragino Kaku Gothic Pro, Noto Sans JP, Yu Gothic, Meiryo, MS Gothic; font-size: 40px;" | |
35 | 麻}}} || | |
36 | ||<width=20%> 한국 정자 ||<width=20%> 중국 간체 ||<width=20%> 대만 정체 ||<width=20%> 홍콩 번체[*a 홍콩판 윈도우는 우선 글꼴로 대만 한자 기준으로 제작된 Microsoft JhengHei를 사용한다.] || 일본 신자체 || | |
37 | 다양한 글꼴을 지원하는 PC 환경에선 丨 丶 乚 ㇏ 등 [[획]]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 |
38 | ||
39 | 또한 지역별 한자 변형마다 코드 포인트가 다른 경우에는 아예 문자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간체자]]의 경우에는 자형이 심하게 바뀐 것이 많기 때문에 더욱 심한 편. [[본고딕]]처럼 가능한 모든 한자를 지원하는 글꼴을 사용하면 이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지역별도 다른 자형을 사용하나 유니코드 상에서는 하나의 코드 포인트에 통합된 한자 또한 다수 존재하기에 결국은 지역별 표준 한자를 지원하는 폰트를 따로 적용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다. | |
40 | == 일람표 == | |
41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a495><rowbgcolor=#00a495><rowcolor=#fff><colkeepall><tablewidth=800><width=140> '''문자 이름''' ||<width=100> '''문자 틀''' ||<colkeepall><width=280> '''사용 범위''' ||<colkeepall> '''글꼴''' || | |
42 | ||'''한국 한자''' ||[[틀:k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7px]] '''대한민국''' ||기본 글꼴 || | |
43 | ||'''중국어 [[간체자]]''' ||[[틀:zh]] ||[[파일:중국 국기.svg|width=27px]] '''[[중국 대륙]]''',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7px]] [[싱가포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27px]] [[말레이시아]]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SC" | |
44 | PingFang SC}}},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Noto Sans SC" | |
45 | Noto Sans SC}}},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YaHei UI" | |
46 | Microsoft YaHei UI}}},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YaHei" | |
47 | Microsoft YaHei}}},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eiti SC" | |
48 | Heiti SC}}},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SimSun" | |
49 | SimSun}}} || | |
50 | ||'''중국어 [[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정체자]]/[[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번체자]]'''[* 정체자의 중국식 명칭.]||[[틀:zh-hant]] ||[[파일:대만 국기.svg|width=27px]] '''[[대만]]'''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TC" | |
51 | PingFang TC}}},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Noto Sans TC" | |
52 | Noto Sans TC}}},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UI" | |
53 | Microsoft JhengHei UI}}},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 |
54 | Microsoft JhengHei}}},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eiti TC" | |
55 | Heiti TC}}},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MingLiU" | |
56 | PMingLiU}}} || | |
57 | ||'''일본어 [[신자체]]''' ||[[틀:ja]] ||[[파일:일본 국기.svg|width=27px]] '''[[일본]]'''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iragino Sans" | |
58 | Hiragino Sans}}},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iragino Kaku Gothic Pro" | |
59 | Hiragino Kaku Gothic Pro}}},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Noto Sans JP" | |
60 | Noto Sans JP}}},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Yu Gothic" | |
61 | Yu Gothic}}},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eiryo" | |
62 | Meiryo}}},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S Gothic" | |
63 | MS Gothic}}} || | |
64 | ||'''홍콩 [[정자체]][*a 홍콩판 윈도우는 우선 글꼴로 대만 한자 기준으로 제작된 Microsoft JhengHei를 사용한다.]''' ||[[틀:zh-hk]] ||[[파일:홍콩 국기.svg|width=27px]] '''[[홍콩]]''', [[파일:마카오 국기.svg|width=27px]] [[마카오]]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HK" | |
65 | PingFang HK}}},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Noto Sans HK" | |
66 | Noto Sans HK}}},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UI" | |
67 | Microsoft JhengHei UI}}},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 |
68 | Microsoft JhengHei}}},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MingLiU" | |
69 | PMingLiU}}} || | |
70 | ||<-4><bgcolor=#00a495><color=#fff> '''중국어 현지화 문자''' || | |
71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 |
72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73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74 | ||<tablewidth=100%><width=140>정체자 {{{-2 (대만)}}} ||<width=100>틀:zh-tw ||<-2>[[틀:zh-hant]]와 같음 || | |
75 | ||[[정자(한자)/각국의 표준자형#s-4|번체자]] {{{-2 (홍콩)}}} ||틀:zh-hk ||<-2>[[틀:zh-hk]]와 같음 || | |
76 | ||간체자 {{{-2 (중국)}}} ||틀:zh-cn ||<-2>[[틀:zh]]와 같음 || | |
77 | ||<-4>{{{#!wiki style="margin: -2px 0" | |
78 | {{{-2 ※ 번체자 [[마카오]](zh-mo)는 [[홍콩]] 글꼴, 간체자 [[싱가포르]](zh-sg), [[말레이시아]](zh-my)는 [[중국 대륙]] 글꼴을 주로 사용.}}}}}} ||}}}}}}}}} || | |
79 | ||
80 | ||<-5> '''Windows 버전별 기본 폰트''' || | |
81 | || '''Windows 버전''' || '''한국어''' || '''일본어''' || '''간체 중국어(중국)''' || '''번체 중국어(대만, 홍콩)''' || | |
82 | || 95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Gulim" | |
83 | [[굴림체|굴림]]}}}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S Gothic" | |
84 | MS Gothic(MS ゴシック)}}}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SimSun" | |
85 | SimSun(宋体)}}}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MingLiU" | |
86 | PMingLiU(新細明體)}}} || | |
87 | || 98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Gulim" | |
88 | 굴림}}}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S Gothic" | |
89 | MS Gothic}}}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SimSun" | |
90 | SimSun}}}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MingLiU" | |
91 | PMingLiU}}} || | |
92 | || ME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Gulim" | |
93 | 굴림}}}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S Gothic" | |
94 | MS Gothic}}}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SimSun" | |
95 | SimSun}}}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MingLiU" | |
96 | PMingLiU}}} || | |
97 | || 2000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Gulim" | |
98 | 굴림}}}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S Gothic" | |
99 | MS Gothic}}}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SimSun" | |
100 | SimSun}}}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MingLiU" | |
101 | PMingLiU}}} || | |
102 | || XP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Gulim" | |
103 | 굴림}}}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S UI Gothic" | |
104 | MS UI Gothic}}}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SimSun" | |
105 | SimSun}}}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MingLiU" | |
106 | PMingLiU}}} || | |
107 | || Vista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algun Gothic" | |
108 | [[맑은 고딕]]}}}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eiryo" | |
109 | Meiryo(メイリオ)}}}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YaHei" | |
110 | Microsoft YaHei(微软雅黑)}}}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 |
111 | Microsoft JhengHei(微軟正黑體)}}} || | |
112 | || 7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algun Gothic" | |
113 | 맑은 고딕}}}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eiryo" | |
114 | Meiryo}}}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YaHei" | |
115 | Microsoft YaHei}}}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 |
116 | Microsoft JhengHei}}} || | |
117 | || 8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algun Gothic" | |
118 | 맑은 고딕}}}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eiryo UI" | |
119 | Meiryo UI}}}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YaHei UI" | |
120 | Microsoft YaHei UI}}}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UI" | |
121 | Microsoft JhengHei UI}}} || | |
122 | || 10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algun Gothic" | |
123 | 맑은 고딕}}}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Yu Gothic UI" | |
124 | Yu Gothic UI (游ゴシック)}}}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YaHei UI" | |
125 | Microsoft YaHei UI}}}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UI" | |
126 | Microsoft JhengHei UI}}} || | |
127 | || 11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algun Gothic" | |
128 | 맑은 고딕}}}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Yu Gothic UI" | |
129 | Yu Gothic UI}}}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YaHei UI" | |
130 | Microsoft YaHei UI}}}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Microsoft JhengHei UI" | |
131 | Microsoft JhengHei UI}}} || | |
132 | ||
133 | ||<-6> '''macOS 버전별 기본 폰트''' || | |
134 | || '''macOS 버전''' || '''한국어''' || '''일본어''' || '''간체 중국어''' || '''번체 중국어(대만)''' || '''번체 중국어(홍콩)''' || | |
135 | || 10.10 Yosemite 이전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Gothic" | |
136 | [[AppleGothic]]}}}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iragino Kaku Gothic Pro" | |
137 | Hiragino Kaku Gothic Pro}}}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eiti SC" | |
138 | Heiti SC}}}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eiti TC" | |
139 | Heiti TC}}} || 해당 정보 없음 || | |
140 | || 10.10 Yosemite 이후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Apple SD Gothic Neo" | |
141 | [[Apple SD 산돌고딕 Neo]]}}}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Hiragino Sans" | |
142 | Hiragino Sans}}}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SC" | |
143 | PingFang SC}}}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TC" | |
144 | PingFang TC}}} ||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 PingFang HK" | |
145 | PingFang HK}}} || | |
146 | ||
147 | == 언어 코드 == | |
148 | * ko: 한국어 | |
149 | * ja: 일본어 | |
150 | * zh: 중국어 | |
151 | * zh-Hans: 중국어(간체) | |
152 | * zh-CN: 중국어([[중국 대륙]]) | |
153 | * zh-SG: 중국어([[싱가포르]]) | |
154 | * zh-MY: 중국어([[말레이시아]]) | |
155 | * zh-Hant: 중국어(번체) | |
156 | * zh-TW: 중국어([[대만]]) | |
157 | * zh-HK: 중국어([[홍콩]]) | |
158 | * zh-MO: 중국어([[마카오]]) | |
159 | ||
160 | ※ 보통 zh(zh-Hans)를 중국어 간체 글꼴, zh-Hant를 중국어 번체 글꼴로 사용하며, zh-CN 등 지역 언어 코드는 지역 용어 처리(地區詞處理)에 사용한다.[* 지역 용어 처리 예시: zh-CN:出租车; zh-SG:德士; zh-MY:德士; zh-TW:計程車; zh-HK:的士; zh-MO:的士.] | |
161 | ||
162 | * 참고 자료: [[https://zh.wikipedia.org/wiki/Wikipedia:%E5%AD%97%E8%A9%9E%E8%BD%89%E6%8F%9B%E8%99%95%E7%90%86|wpzh:字詞轉換處理]] | |
163 | ||
164 | == 글꼴 설명 == | |
165 | === 중국어(중국; 간체자) === | |
166 | * PingFang SC: macOS 및 iOS의 기본 간체 중국어 폰트. | |
167 | *[[https://learn.microsoft.com/ko-kr/typography/font-list/microsoft-yahei|Microsoft YaHei]]: 윈도우 11을 다운로드받으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apps/design/globalizing/loc-international-fonts|또한 윈도우 11·10·8의 간체자 기본 폰트가 Microsoft YaHei UI]][*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https://t-blo.com/entry/ui-font|출처]]]이다. 상술된 두 폰트가 없을 때 출력된다. 사실상 모든 윈도우 11·10·8 컴퓨터엔 깔려 있을 확률이 높다. | |
168 | ||<bgcolor=#fff>[[파일:Microsoft YaHei.png]] || | |
169 | || Microsoft YaHei || | |
170 | * [[본고딕|Noto Sans SC]]: Windows 11에 KB5053643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되었다. 굵기가 다양하고 모든 지역별 자형을 지원하기에 다른 폰트보다 선호된다. | |
171 | ||
172 | === 중국어(대만; 정체자) === | |
173 | * PingFang TC: macOS 및 iOS의 기본 번체 중국어 폰트. | |
174 | * [[https://learn.microsoft.com/ko-kr/typography/font-list/microsoft-jhenghei|Microsoft Jhenghei]]: 윈도우 11을 다운로드받으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apps/design/globalizing/loc-international-fonts|또한 윈도우 11·10·8의 기본 정체자 폰트가 Microsoft Jhenghei UI]][*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https://t-blo.com/entry/ui-font|출처]]]이다. 상술된 두 폰트가 없을 때 출력된다. 사실상 모든 윈도우 11·10·8 컴퓨터엔 깔려 있을 확률이 높다. | |
175 | ||<bgcolor=#fff>[[파일:Microsoft JhengHei.png]] || | |
176 | || Microsoft Jhenghei || | |
177 | * [[본고딕|Noto Sans TC]]: Windows 11에 KB5053643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되었다. 굵기가 다양하고 모든 지역별 자형을 지원하기에 다른 폰트보다 선호된다. | |
178 | ||
179 | === 일본어 === | |
180 | * Hiragino Sans, Hiragino Kaku Gothic Pro: macOS 및 iOS의 기본 일본어 폰트. | |
181 | * [[https://learn.microsoft.com/en-us/typography/font-list/yu-gothic|Yu Gothic]]: 윈도우 11을 다운로드받으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apps/design/globalizing/loc-international-fonts|또한 윈도우 11·10의 기본 신자체 폰트가 Yu Gothic UI]][*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https://t-blo.com/entry/ui-font|출처]]]이다. 사실상 모든 윈도우 11·10 컴퓨터엔 깔려 있을 확률이 높다. 또한 윈도우 | |
182 | ||<bgcolor=#fff>[[파일:Yu Gothic.png|width=400]] || | |
183 | || Yu Gothic || | |
184 | * [[https://learn.microsoft.com/ko-kr/typography/font-list/images/meiryo.png|Meiryo]]: 상술된 일본어 폰트들이 모두 없을 때 출력된다. 윈도우 8에서는 Meiryo UI가 기본 폰트이다. | |
185 | ||<nopad>[[파일:Meiryo.png|width=400]] || | |
186 | || Meiryo || | |
187 | * [[https://learn.microsoft.com/ko-kr/typography/font-list/ms-gothic|MS Gothic]]: 상술된 일본어 폰트들이 모두 없을 때 출력된다. | |
188 | ||<bgcolor=#fff>[[파일:MS Gothic.png|width=400]] || | |
189 | || MS Gothic || | |
190 | * [[본고딕|Noto Sans JP]]: Windows 11에 KB5053643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되었다. 굵기가 다양하고 모든 지역별 자형을 지원하기에 다른 폰트보다 선호된다. | |
191 | ||
192 | === 중국어(홍콩; 정체자) === | |
193 | * PingFang HK: macOS 및 iOS의 기본 홍콩 정체자 폰트. | |
194 | * [[https://learn.microsoft.com/ko-kr/typography/font-list/microsoft-jhenghei|Microsoft Jhenghei]]: 윈도우 11을 다운로드받으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된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windows/apps/design/globalizing/loc-international-fonts|또한 윈도우 11의 기본 정체자 폰트가 Microsoft Jhenghei UI]][*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https://t-blo.com/entry/ui-font|출처]]]이다. 상술된 두 폰트가 없을 때 출력된다. 사실상 모든 윈도우 11 컴퓨터엔 깔려 있을 확률이 높다. 참고로 윈도우에서는 대만식 정체와 홍콩식 정체자를 구분해 놓지 않았기 때문에, 모두 기본 폰트로는 동일한 폰트를 쓴다. | |
195 | ||<bgcolor=#fff>[[파일:Microsoft JhengHei.png]] || | |
196 | || Microsoft Jhenghei || | |
197 | * [[본고딕|Noto Sans HK]]: Windows 11에 KB5053643 업데이트와 함께 추가되었다. 굵기가 다양하고 모든 지역별 자형을 지원하기에 다른 폰트보다 선호된다. | |
1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