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역(r1 Blame)

r1
r1

(새 문서)
1[[분류:헤이룽장성의 철도역]][[분류:1899년 개업한 철도역]][[분류:하무고속철도]][[분류:하치고속철도]][[분류:하자철도]][[분류:징하철도]][[분류:빈저우철도]][[분류:빈쑤이철도]][[분류:싼커수철도]][[분류:하이고속철도]]
2{{{+1 '''哈尔滨站'''[br]'''Harbin Railway Station'''}}}
3||<)><-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226699><tablebgcolor=#ffffff,#2d2f34> [[중국국가철도그룹|[[파일:RZD_Wlogo.svg|height=50&align=left]]]][[중국국가철도그룹|{{{#fff 중국국가철도그룹}}}]][br]'''{{{#fff {{{+2 하얼빈역}}}}}}'''||
4||<-2><|7><height=430><width=120px> [[베이징차오양역|{{{-2 {{{#585858,#cccccc 베이징}}}}}}]]·[[다롄역|{{{-2 {{{#585858,#cccccc 다롄 방면}}}}}}]][br][[하얼빈시역|하얼빈시]][br]← 7 km ||<-2><height=75px><width=120px><bgcolor=#002fa7> [[하다고속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5하다고속철도}}}]][[징하고속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6(징하고속철도)}}}]] ||<-2><|2><height=120px><width=120px> [[무단장역|{{{-1 {{{#585858,#dddddd 무단장 방면}}}}}}]][br][[신샹팡베이역|신샹팡베이]][br]31 km → ||
7||<-2><|2><height=75px><bgcolor=#002fa7> [[하무고속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8하무고속철도}}}]] ||
9||<-2><bgcolor=#002fa7> [[무단장역|{{{#!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fff; font-size: 8px"
10무자고속철도 직통 ▶}}}]][[무단장역|{{{#!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fff; font-size: 8px"
11빈쑤이철도 직통 ▶}}}]] ||
12||<-2><height=75px><bgcolor=#002fa7> [[하치고속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13하치고속철도}}}]] ||<-2> [[치치하얼역|{{{-1 {{{#585858,#dddddd 치치하얼 방면}}}}}}]][br][[하얼빈베이역|하얼빈베이]][br]13 km → ||
14||<-2><|2><bgcolor=#002fa7> [[하자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15하자철도}}}]] ||<-2><height=75px> [[자무쓰역|{{{-1 {{{#585858,#dddddd 자무쓰 방면}}}}}}]][br][[빈시베이역|빈시베이]][br]43 km → ||
16||<bgcolor=#002fa7> [[자무쓰역|{{{#!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fff; font-size: 8px"
17무자고속철도 직통 ▶}}}]] ||
18||<-2><|2><height=75px><bgcolor=#002fa7> --[[하이고속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19하이고속철도}}}]]-- ||<-2><|2> [[치치하얼역|{{{-1 {{{#585858,#dddddd 치치하얼 방면}}}}}}]][br]--[[하얼빈베이역|하얼빈베이]]--[br]13 km → ||
20||<-2><bgcolor=#002fa7> [[선양역|{{{#!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fff; font-size: 8px"
21◀ 진친고속철도 직통}}}]][[선양역|{{{#!wiki style="margin: -0px -10px; color: #ffffff; font-size: 8px"
22◀ 선단고속철도 직통}}}]] ||
23||<-2><|3> [[베이징역|{{{-1 {{{#585858,#dddddd 베이징 방면}}}}}}]][br][[하얼빈시역|하얼빈시]][br]← 7 km ||<-2><height=75px><bgcolor=black> [[징하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24징하철도}}}]] ||<-2><|2> [[베이안역|{{{-1 {{{#585858,#dddddd 베이안 방면}}}}}}]][br][[난닝역|난 닝]][br]11 km → ||
25||<-2><height=75px><bgcolor=black> [[빈베이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26빈베이철도}}}]] ||
27||<-2><height=75px><bgcolor=black> [[빈저우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28빈저우철도}}}]] ||<-2><|2> [[만저우리역|{{{-1 {{{#585858,#dddddd 만저우리 방면}}}}}}]][br][[난닝역|난 닝]][br]11 km → ||
29||<-2> [[쑤이펀허역|{{{-1 {{{#585858,#dddddd 쑤이펀허 방면}}}}}}]][br][[하얼빈시역|하얼빈시]][br]← 7 km ||<height=75px><bgcolor=black> [[빈쑤이철도|{{{#!wiki style="color: #ffffff; font-size: 11px"
30빈쑤이철도}}}]] ||
31||<-6><:>{{{#008200 ●}}} [[하얼빈역(지하철)|'''하얼빈 지하철 2호선으로 갈아타기''']]||
32||<-6><bgcolor=#c0c0c0,#383b40> '''주소''' ||
33||<-6><:>[[헤이룽장성]] [[하얼빈시]] [[난강구]][br]黑龙江省哈尔滨市南岗区||
34||<-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35||<-2><bgcolor=#226699> {{{#ffffff 모든 노선}}} ||<-4><:>[[중국국가철도그룹|[[파일:중국국가철도그룹 로고.png|width=180]]]]||
36||<-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37||<-2><bgcolor=#226699> {{{#ffffff 모든 노선}}} ||<-4><:>1899년 10월||
38||<-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39||<-2><|3> {{{-1 {{{#585858 기점}}}}}} ||<colbgcolor=#f5f5f5,#373a3c><-2> '''[[하무고속철도]]'''[br]하얼빈 ||<-2> [[무단장역|{{{-1 {{{#585858,#dddddd 무단장 방면}}}}}}]][br][[빈장역|빈 장]][br]3 km → ||
40||<-2> '''[[하치고속철도]]'''[br]하얼빈 ||<-2> [[치치하얼역|{{{-1 {{{#585858,#dddddd 치치하얼 방면}}}}}}]][br][[하얼빈베이역|하얼빈베이]][br]13 km → ||
41||<-2> '''[[하자철도]]'''[br]하얼빈 ||<-2> [[자무쓰역|{{{-1 {{{#585858,#dddddd 자무쓰 방면}}}}}}]][br][[빈장역|빈 장]][br]3 km → ||
42||<-2> [[베이징역|{{{-1 {{{#585858,#dddddd 베이징 방면}}}}}}]][br][[하얼빈시역|하얼빈시]][br]← 7 km ||<-2> '''[[징하철도]]'''[br]하얼빈 ||<-2> {{{-1 {{{#585858 종점}}}}}} ||
43||<-2><|4> {{{-1 {{{#585858 기점}}}}}} ||<-2> '''[[빈저우철도]]'''[br]하얼빈 ||<-2> [[만저우리역|{{{-1 {{{#585858,#dddddd 만저우리 방면}}}}}}]][br][[먀오타이쯔|먀오타이쯔]][br]9.7 km → ||
44||<-2> '''[[빈쑤이철도]]'''[br]하얼빈 ||<-2> [[쑤이펀허역|{{{-1 {{{#585858,#dddddd 쑤이펀허 방면}}}}}}]][br][[왕자오툰역|왕자오툰]][br]5.0 km → ||
45||<-2> '''[[싼커수철도]]'''[br]하얼빈 ||<-2> [[신샹팡역|{{{-1 {{{#585858,#dddddd 신샹팡 방면}}}}}}]][br][[빈장역|빈 장]][br]3 km → ||
46||<-2> '''--[[하이고속철도]]--'''[br]--하얼빈-- ||<-2> [[이춘시역|{{{-1 {{{#585858,#dddddd 이춘시 방면}}}}}}]][br]--[[하얼빈베이역|하얼빈베이]]--[br]13 km → ||
47
48[목차]
49[clearfix]
50== 개요 ==
51[[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시내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1899년에 개업한 [[중국 국철]]의 철도역이며 [[중국철도하얼빈그룹]] 관할이다.
52
53당 역사는 하얼빈신역으로도 불리기도 하며 옛 하얼빈역은 하얼빈시 샹팡구에 위치한 하얼빈샹팡역이다.
54
551899년 [[러시아 제국]] 시절 건설된 중국동부철도상의 '쑹화강역'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하였으며, 1903년 7월 지금의 역명으로 개칭하였다.
56
57헤이룽장성의 대표역이며 중국 [[만주|동북지방]]의 북부 거점이 되고 나아가 [[러시아]] 방면으로 가서 [[러시아 철도]]와 연결되는 [[만주 횡단철도]](TMR)의 주요 경유역이기도 하므로 여기서 바로 [[야로슬라브스키역]]까지 직통하는 [[국제열차]]도 주 1회 운행한다.
58
59덧붙여 말하지만, 화장실이 매우 더럽다. 냄새에 주의할 것.
60
612021년 9월 19일 [[하얼빈 지하철 2호선]]이 개통되어 [[하얼빈 지하철]]과의 연계가 가능해졌다.
62
63== 승강장 ==
64||<-13><:>↑[[하얼빈베이역|하얼빈베이]]||<-17><:>↑[[신쑹푸역|신쑹푸]]·[[하얼빈둥역|하얼빈둥]]·[[신샹팡베이역|신샹팡베이]]·[[빈시베이역|빈시베이]]||
65||<:><bgcolor=black>{{{#ffffff 14}}}||<:> | ||<:> | ||<:> | ||<:><bgcolor=black>{{{#ffffff 13}}}||<:><bgcolor=black>{{{#ffffff 12}}}||<:> | ||<:> | ||<:><bgcolor=black>{{{#ffffff 11}}}||<:><bgcolor=black>{{{#ffffff 10}}}||<:> | ||<:> | ||<:><bgcolor=black>{{{#ffffff 9}}}||<:><bgcolor=black>{{{#ffffff 8}}}||<:> | ||<:> | ||<:><bgcolor=black>{{{#ffffff 7}}}||<:><bgcolor=black>{{{#ffffff 6}}}||<:> | ||<:> | ||<:> | ||<:><bgcolor=black>{{{#ffffff 5}}}||<:><bgcolor=black>{{{#ffffff 4}}}||<:> | ||<:> | ||<:><bgcolor=black>{{{#ffffff 3}}}||<:><bgcolor=black>{{{#ffffff 2}}}||<:> | ||<:> | ||<:><bgcolor=black>{{{#ffffff 1}}}[*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지점]||
66||<-30><:>↓[[하얼빈시역|하얼빈시]]·[[샹팡역|샹팡]][* 빈쑤이철도이기는 하나, 대다수의 빈쑤이철도 열차는 반대방향으로 가서 하얼빈둥역을 경유한다.]||
67
68== 안중근의사기념관 ==
691909년 10월 26일, 이 역에서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를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저격해 처단한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세월이 흘러 그 자리는 보도블럭과 화단 등으로 뒤덮여져 실제 저격지점이 어딘지 몰랐으나, 2006년에야 저격지점 타일이 새로 만들어졌다. 2014년에는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남부역사에 건립되어 번듯한 [[성지]]가 되었다.
70
712006년에야 부표용 타일만 하나씩 있었을 뿐 별다른 표지석이 없었던 상황이라서 2006년부터 한국 정부에서 요청을 해왔으나 성과가 없었고, 2013년에 박근혜가 정상회담에서 요청을 한 뒤에야 요청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좀 늦었지만 표지석만 요청했는데 기념관으로 돌아왔으니 그래도 고마운 일이다. 다만 중국 입장에서는 [[중일관계|대일 외교]]에 부담이 되는 일이기 때문에 한국과 일본은 물론이고 '''북한'''도 모르게 기념관을 지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역사적 비극에 대한 기억을 지키려는 의도의 인도적 차원의 개관이 아닌 정치적 전략의 결과물로 지어진 것이라는 [[http://korean.ruvr.ru/2014_03_12/269032543/|의견]]도 있으며, 2017년 사드문제 여파 당시 역 확장공사 때문에 조선민족예술관 건물로 2년간 임시 이전했다.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