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역(r4 Blame)

r4
r1

(새 문서)
1[[분류:대구광역시의 철도역]][[분류:경부고속선]][[분류:경부본선]][[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
2{{{+1 '''東大邱驛'''[br]'''Dongdaegu Station'''}}}
3||<-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C9252B><tablebgcolor=#ffffff,#2d2f34> [[쌍도교통|[[파일:Ssangdo_Wlogo.svg|height=50&align=left]]]][[쌍도교통|{{{#fff 쌍도교통}}}]][br]'''{{{#fff {{{+2 동대구역}}}}}}'''||
4||<width=120px><-2> [[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신김천역|신김천]][br]← 55.3 km ||<|2><width=120px><bgcolor=#003da5><:><-2> [[경부고속선|[[파일:KTX BI_White, Red.svg|height=15]][br]{{{#fff {{{-2 경부고속선}}}}}}]] ||<|2><width=120px><-2><:>[[부산역|{{{-2 {{{#000000,#fff 부산 방면}}}}}}]][br][[신경주역|신경주]][br]49.0 km →||
5||<-2><bgcolor=#003da5><:>[[서울역|{{{#ffffff {{{-3 ◀ 경의고속선 직통}}}}}}]]||
r4
6||<-2><:>[[김천역|{{{-2 {{{#000000,#fff 김천 방면}}}}}}]][br][[대구역|대 구]][br]← 3.2 km||<-2><width=120px><:><bgcolor=#003DA5>[[경부본선|[[파일:SS-GB.png|height=20]][br]{{{#fff {{{-2 경부선[br]DG18}}}}}}]]||<-2> [[부산역|{{{-2 {{{#000000,#fff 부산 방면}}}}}}]][br][[효목역|효 목]][br]1.9 km → ||
r1

(새 문서)
7||<-2><:>{{{#gray 시종착}}}||<-2><width=120px><:><bgcolor=#d93f5c>[[대구선|[[파일:SD-DG.png|height=20]][br]{{{#fff {{{-2 대구선[br]D01}}}}}}]]||<-2> {{{-2 [[포항역|{{{#000000,#fff 포항}}}]]{{{#000,#fff ·}}}[[태화강역|{{{#000000,#fff 태화강}}}]] {{{#000,#fff 방면}}}}}}[br][[고모역|고 모]][br]5.5 km → ||
8||<)><-6><bgcolor=#004ea2> [[대구교통공사|[[파일:DTRO_Wlogo.svg|height=50&align=left]]]][[대구교통공사|{{{#fff 대구교통공사}}}]][br]'''{{{#fff {{{+2 동대구역}}}}}}'''||
9||<width=120px><|2><-2> [[설화명곡역|{{{-2 {{{#000000,#fff 설화명곡 방면}}}}}}]][br][[신천역(대구)|신 천]][br]← 0.9 km ||<|2><width=120px><-2><:><bgcolor=#d93f5c>[[대구 도시철도 1호선|[[파일:DTRO-1.svg|height=20]][br]{{{#fff {{{-2 1호선[br]135}}}}}}]]||<width=120px><-2> [[청천역|{{{-2 {{{#000000,#fff 청천 방면}}}}}}]][br][[동구청역|동구청]][br]0.9 km → ||
10||<-2><bgcolor=#d93f5c> [[청천역|{{{#ffffff {{{-3 대구선 직통 ▶}}}}}}]] ||
11||<-6><bgcolor=#c0c0c0,#383b40> '''주소''' ||
12||<-6><bgcolor=#C9252B> '''[[쌍도교통|{{{#fff 쌍도교통}}}]]''' ||
13||<-6>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동대구로 550 (신암동 294) ||
14||<-6><bgcolor=#004ea2> '''[[대구교통공사|{{{#fff 대구교통공사}}}]]''' ||
15||<-6>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동대구로 지하530 (신천동 329-5) ||
16||<-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17||<-2><bgcolor=#003DA5><:>[[경부고속선|{{{#fff 경부고속선}}}]]||<|2><-4> [[쌍도교통|[[파일:쌍도교통 로고.png|width=180&theme=light]][[파일:쌍도교통 로고_White.png|width=180&theme=dark]]]] ||
18||<-2><bgcolor=#003DA5><:>[[경부본선|{{{#fff 경부본선}}}]]||
19||<-2><bgcolor=#d93f5c>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4> [[대구교통공사|[[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 ||
20||<-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21||<-2><bgcolor=#003DA5><:>[[경부본선|{{{#fff 경부본선}}}]]||<-4> 1969년 6월 10일 ||
22||<-2><bgcolor=#003DA5><:>[[경부고속선|{{{#fff 경부고속선}}}]]||<-4> 2015년 8월 1일 ||
23||<-2><bgcolor=#d93f5c>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4> 1998년 5월 2일 ||
24||<-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25||<-2><:>[[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신김천역|신김천]][br]← 55.3 km ||<bgcolor=#f5f5f5,#373a3c><-2><:>'''[[경부고속선]]'''[br]동대구||<-2><:>[[부산역|{{{-2 {{{#000000,#fff 부산 방면}}}}}}]][br][[신경주역|신경주]][br]49.0 km → ||
26||<-2><:>[[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대구역|대 구]][br]← 3.2 km ||<bgcolor=#f5f5f5,#373a3c><-2><:>'''[[경부본선]]'''[br]동대구||<-2><:>[[부산역|{{{-2 {{{#000000,#fff 부산 방면}}}}}}]][br][[고모역|고 모]][br]5.5 km → ||
27[목차]
28[clearfix]
29== 개요 ==
30{{{#!wiki style="width: 100%; max-width: 100%; margin: 5px -5px 0px 0px; padding: 0px; border: 2px #ccc dashed; border-left: 5px solid #003da5;"
31||<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이용객 전국 2위, 대한민국 철도교통 중심역'''
32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69년 6월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 2004년에 이르러 KTX운행이 시작되었으며 경부고속철도 2단계 공사와 더불어 증축공사를 진행, 복합환승센터가 완공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도심에 위치하여 확장이 어려운 [[대구역]]을 대신하여 탄생하였지만, 오늘날에는 그 이용객이 대한민국의 두 번째로 [[서울역]] 다음이다. 명실공히 대구광역시 대표철도역이자 대한민국 교통의 요충지인 것이다. 동대구역 복합환승센터는 2010년 국가시범사업으로 선정되었으며 동대구역과 [[대구신세계|백화점]]을 연결하는 부지 3만6천㎡, 지하7층, 지상 9층의 거대 규모를 자랑한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의 개장으로 늘어나는 교통량을 위해 왕복 6차로였던 동대구로가 10차로로 확장되었다.
33----
34[[쌍도교통]]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
35}}}
36
37 * [[경부본선]]([[대경선]])과 [[경부고속선]]의 철도역.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동대구로]] 550 ([[신암동]] 294) 소재.
38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35번. [[대구광역시]] [[동구(대구광역시)|동구]] [[동대구로]] 지하530 ([[신천동(대구)|신천동]]) 소재.[* 2022년 10월 부터 부역명 '''[[대구신세계|신세계백화점]]'''이 삭제되었다.]
39
40== 역 정보 ==
41=== 쌍도교통 ===
42대구 동부 지역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대구역]]의 여러 철도 시설들을 이전하여 [[1969년]] [[6월 10일]] 개업하였다.
43
44흔히 [[대구역]]의 부지 규모가 너무 협소해 늘어나는 철도 수송량을 감당할 수 없어 당시만 해도 미개발지였던 동쪽 외곽 지역에 대구역을 대체할 역을 새로 지었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이 역을 만들고 대구시의 새로운 관문역으로 삼기 위해 일부러 대구역의 크기를 축소한 것에 가깝다.[* 물론 대구역 축소가 시가지의 확장과 전혀 무관한 것은 아니다. 당시 계속해서 팽창하고 있던 동성로 일대 시가지 영역은 언젠가는 반드시 대구역과 겹치게 되었을 것이기 때문.]
45
46실제로 동대구역 개업 후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 당시 기준 최상위 등급 열차들은 전부 이 역에만 정차했고, 기존 대구역은 [[비둘기호]]와 몇몇 [[통일호]]만 정차하는 역으로 전락해 버렸다.[* 이후 [[1993년]]부터는 대구역에도 무궁화호가 정차하기 시작했으나 새마을호는 여전히 동대구에만 섰다.]
47
48그래도 [[KTX]] 개통 전에는 대구역이 대구 도심인 [[동성로]]와 가깝다는 이점이 있어 이 역과의 이용객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았지만, [[2004년]] 고속철도 시대가 열린 후에는 이 역으로 이용객이 쏠리게 되면서 이 역이 [[대구광역시]]의 관문역이자 중앙역으로 완전히 자리잡게 되었다.
49
50보통 서울이나 부산 등에서 동성로를 방문할 일이 있을 경우에도 느린 일반열차를 타기보다 KTX를 타고 이 역에서 내려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으로 환승해 [[대구역|지하 대구역]]이나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등에서 하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1
52[[2004년]] [[경부고속철도]] 개통을 맞아 남쪽에 새 역사를 짓고 기존 역사와 통합해 역사 규모를 키웠다. 이 때 기존 역사 쪽도 외관을 리모델링했기에 겉으로는 그냥 하나의 역 같이 보이지만, 안으로 들어가 보면 구역사와 신역사가 확연하게 구분이 된다. 식당가 위쪽으로 유리 창문이 있는 곳이 신역사, 꽉 막혀 있는 곳이 구역사.
53
54원래 [[대구선]]의 기점은 [[대구역]]이었는데, 이 역이 개통하면서 기점이 이 역으로 변경되어 [[경부선]] 위쪽으로 붙어 있던 대구선의 대구~동대구 구간이 폐선되었다.
55
56그러나 [[2005년]] 11월 대구선이 시내 구간을 피하도록 한 번 더 이설되고 기점이 [[가천역]]으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이 역의 화물 취급 기능도 가천역으로 대부분 이전하게 되어 [[2009년]] 공식적으로 화물취급이 중단되었다.
57
58그래서 현재는 [[화물열차]]가 여객열차 대피 및 승무 교대를 위해 이 역에 잠시 정차하긴 하지만 화물 취급은 하지 않는다.
59
60비록 [[대구선]]이 이설되어 더 이상 기점이 아니게 되었지만 가천역은 화물 전용역이고 [[고모역]]에도 더 이상 열차가 정차하지 않아 여전히 대구선 여객열차의 실질적인 기점은 이 역이다. 대구선을 경유하는 모든 열차는 이 역에서 시종착한다.
61
62철로 위에 세워진 선상 역사이지만 역사의 3면이 고가도로로 둘러싸여 있고, 메인 출구격인 3번 출구도 고가도로와 이어져 있기 때문에 이 역에 처음 방문한다면 마치 선상 역사가 아닌 지하철역처럼 느껴질 것이다.
63
64서쪽의 3,4번 출구와 동쪽의 1,6번 출구는 고가도로와 이어져 있고, 남쪽의 2번 출구는 [[대구신세계|신세계백화점]]/[[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과 이어져 있지만 북쪽의 5번 출구만이 고가도로가 아닌 일반도로와 연결되어 있어 5번 출구 쪽으로 가면 이 역이 선상 역사라는 것을 확실히 느낄 수 있을 것이다.
65
66==== 열차 운행 정보 ====
67'''동대구역은 [[서울역]]에 이어 2번째로 승하차객이 많은 역이다.''' [[경부고속선]], [[경부본선]], [[대구선]] 경유 [[동해본선]]/[[영동본선]], [[경전선]] 등 다양한 계통의 열차가 정차하며, 당 역을 경유하는 모든 여객열차가 필수 정차하기 때문에 위 사진처럼 출발안내 전광판이 승차준비로 도배되는 것은 예사다. 특히 서울행 열차는 대구 시내 지하철의 배차보다 더 많다. 사실상 [[제주국제공항]]의 철도 버전이라고 보면된다.
68
69이 역에서는 [[경상도]](영남)의 웬만한 지역을 다 갈 수 있다. 시 단위 지역만 적자면 [[경부본선]]으로 [[김천시|김천]], [[구미시|구미]], [[경산시|경산]], [[밀양시|밀양]], [[양산시|양산]], [[경부고속선]] 또는 [[동해선]]으로 [[경주시|경주]], [[울산광역시|울산]], [[부산광역시|부산]], [[경전선]]으로 [[김해시|김해]], [[창원시|창원]], [[진주시|진주]], [[대구선]]으로 [[영천시|영천]]과 [[포항시|포항]], [[영동선]]으로 [[안동시|안동]], [[영주시|영주]], [[봉화군|봉화]]로 갈 수 있다. 경상도에서는 [[상주시|상주]]나 [[문경시|문경]] 등 [[경북본선]] 권역을 빼면 전부 다 갈 수 있는 셈.
70
71이 역에서 [[KTX-산천]]과 [[SRT]]의 중련열차 분리(하행)/결합(상행)이 이루어진다. 경부선-경전선, 경부선-동해선, 경전선-동해선 등의 조합이 있으며, 가끔 경부선 2대가 붙어다니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분리 없이 쭉 부산까지 간다. 역시 중련 운행하는 [[ITX-마음]]은 분리/결합을 시행하는 호남선 쪽과 달리 경부선 쪽에서는 모든 열차가 서울~부산만을 운행하기 때문에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 복합열차를 탈 때에는 자신이 탈 열차가 북쪽(1~8호차)인지 남쪽(11~18호차)인지 반드시 확인하고 탑승해야 엉뚱한 곳에 떨어지는 불상사를 막을 수가 있다.
72
73=== [[대구교통공사]] ===
74곡선형 [[상대식 승강장]]이며, 역명은 당연히 바로 옆의 [[쌍도교통]] 동대구역에서 따 왔다.
75
76[[경부선]] [[대구역]]과 1호선 [[대구역]]의 경우, 지하에 연결 통로가 있고 엘리베이터로도 이동 가능하다. [[경부선]] [[대구역]] 화장실을 정면으로 볼 때 기준으로 좌측 구석에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쌍도교통]] 관할의 지하 출구(주차장 옆에 있는 북부역 출구) 쪽으로 연결된다. 반면 동대구역의 경우 전철역과 철도역사가 좀 떨어져 있다. [[경부선]] 선로를 가로질러야 전철역이 나오기 때문에 [[경부선]] 동대구역이 [[신암동|신암4동]]에 소재하는 반면, 지하철 동대구역은 [[경부선]] 철로 건너편의 [[신천동(대구)|신천4동]]에 있기 때문에 1호선 전철에서 내려서 동대구역으로 가려면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분수대를 지나 동대구역 입구로 들어가야 했다. 반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그래도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개장 이후에는 동대구역 광장 쪽으로 폴사인이 보이기 때문에 [[대구역|지하철 대구역]]보다 더 찾기 쉬우며, 일반철도 동대구역 2번 출구에서 나와 동대구터미널에서 지하철 연결 통로를 이용하면 어렵지 않다.
77
78이 역은 [[동구청역]]에서 신암남로를 쭉 따라오다가 동부로 쪽으로 가는 왼쪽으로 꺾는 곳의 시작점에 위치하고 있어서, 승강장이 곡선으로 많이 휘어 있으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역들 중에서 [[서부정류장역]] 다음으로 곡선의 각도가 심한 역이다. 다른 역보다 단차가 1.5배나 넓다. 발빠짐 안내방송도 설화명곡 방면, 안심 방면 모두 방송된다.
79
80예전에는 4번 출구로 나오면 금호/천일 터미널과 외부에서 직통으로 연계되었지만, 금호/천일 터미널과 연결 통로는 2014년 초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공사로 철거됐다.
81
82이 역의 깊이는 심도 20.4m로 다른 1호선 역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은 편인데, 이는 [[경부선]] 선로를 지하로 넘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아는 사람들은 전부 다 지상 ↔ 승강장 사이를 '''직통으로''' 연결해 주는, 즉 [[바로타(역 구조)|바로타]]가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한다. 여객 수요는 주변의 [[경부선]] 동대구역,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로 인해 1호선 역 가운데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의 뒤를 이어 2위. 이 역을 기점으로 [[안심역|안심]] 방면의 역들은 [[대구 공군기지|고도제한]] 등의 이유로 인구가 비교적 적어서, [[아양교역]]과 [[안심역]]을 빼곤 승객 수가 적다.
83
84출구가 4개 모두 한쪽 구석에 있었는데, 옛 한진/중앙/동양터미널 쪽으로는 출구가 없었다. 이 때문에 지하철 동대구역 건너편에 있는 옛 고속터미널(한진/중앙/동양터미널)을 이용하려면 출구에서 나와 길을 건너야 했다.
85
86한때 [[대구 지하철 참사]] 직후 같은 해 10월 21일에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을 무정차 통과하는 방식으로 다른 역들의 영업을 재개할 때까지 임시로 시종착역이 된 [[흑역사]]가 있었다. [[교대역(대구)|교대역]] ↔ 동대구역 구간은 이 구간을 가는 탑승객에게 임시 통행권을 배부하여 [[전세버스]] 혹은 시내버스 예비차로 나르곤 했다. 그러나 당시 [[대구 지하철 참사]]의 [[트라우마]]에 빠져 있었던 시민들은 폐쇄된 6개 구간을 가기 위해서 불편함을 감수해 가며 지하철을 타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용객 수는 결국 바닥을 쳤다. '''지금도 [[2003년]] 지하철 화재 참사의 [[트라우마]] 때문에, 사고 당사자가 아니어도 전철을 아예 기피하는 [[대구광역시|대구]] 시민들이 간혹 있다.''' 이 역에는 건넘선이 없고, 건넘선이 설치되어 있는 [[동구청역|큰고개역]]에서 선로를 돌려서 운행했다. 당시 [[교대역-동대구역 셔틀버스|셔틀버스]]는 시내버스 승강장이 아닌, 옛 금호/천일 터미널 옆의 인도상에서 대기했다가 다시 출발했다. 이쪽으로 들어가기 위해 [[고속버스]]들이 드나드는 고속터미널 뒷길인 신천4동[[우체국]]으로 돌려서 금호/천일 터미널로 들어왔다.
87
88지하 1층 대합실 양쪽 끝에 지하 2층으로 향하는 계단이 있지만, 거의 쓰이지 않는다. 지하 2층은 아마 장래의 환승을 대비해서 만들었다가 버려진 공간으로 보인다[* 대구 지하철 초기 계획에 의하면 [[대구 도시철도 3호선|3호지선]]이 경유할 예정이었고, [[경부고속선]]도 대구 도심 구간은 당초 동대구역 지하에서 경부선과 X자 형태로 교차할 계획이었다.]. 지금은 그 공간 일부에 셀프 스토리지 공간이 들어섰고, 일부는 역 내 다이소의 점포로 사용되고 있으며 나머지 공간은 다이소의 물류창고로 쓰이고 있다. 유사한 사례로 [[범어역]]과 [[두류역]]이 있다. 범어역의 경우 [[범어네거리]] 서편에만 출입구를 건설해 놓았다가 [[지하상가]]를 지으며 동쪽으로 확장했고, 두류역의 경우 [[대구 도시철도 순환선|순환선]]과의 환승을 대비해서 [[지하상가]] 등을 건설하여 역 규모가 크다. [[반월당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과 함께 [[2009년]] 6월 [[스크린도어]]가 설치됐다.
89
90[[대구역|지하철 대구역]]처럼 승강장과 지상으로 직결되는, 일명 '''[[바로타(역 구조)|바로타]]'''가 가능한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역이다. [[바로타(역 구조)|바로타]]용 엘리베이터는 옛 고속터미널 정면으로 바라보는 엘리베이터가 안심방면, [[동대구역네거리]] 쪽에 있는 엘리베이터가 설화명곡방면 [[바로타(역 구조)|바로타]]용 엘리베이터다. 하지만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공사로 몇몇 엘리베이터들이 철거 및 이설/임시가설이 되면서 굉장히 [[중구난방]]이 된 상태였다가, 설화명곡방면 [[바로타(역 구조)|바로타]]가 막혔고 한때 안심방면 바로타만 이설해서 가동했다. 승강장이 상대형이기 때문에 [[대구역]]처럼 방향별로 엘리베이터 출구가 다르다. 2016년 중에도 또 한 번의 [[대격변]]으로 임시 연결 통로와 출구가 직결된 상태며, 먼저 신축이 완료된 3번 출구가 우선 개방됐다.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복합환승센터]] 개장 후에는 [[대구신세계]]/[[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 연결 통로 쪽에 2번 출구가 신축됐다. [[대구신세계]]가 오픈하고 얼마 후에는 [[동대구로]] 아래쪽에 신설한 구름다리 옆에 1번 출구의 신축이 완료됐고, 설화명곡방면 [[바로타(역 구조)|바로타]] 엘리베이터가 재개방됐다. 4번 출구는 완전히 말소됐으며, 4번 출구의 폐지로 [[잉여]]가 된 폴사인은 [[동대구로]]에서 보이는 3번 출구의 동대구역 광장 쪽으로 이전하여 설치했다.
91
92이 역은 반대 방향으로 횡단이 불가능한 역이다.
93
94복합환승센터 및 신세계백화점 완공 이후에는 지하 1층이 지하상가로 조성되었으며 경부선 동대구역, 버스터미널 및 신세계백화점으로 가는 통로가 마련되어 있다. 외지인이 어디론가 가고자 할 때 가장 처음 보게되는 장소이므로 역 자체가 약 25년 정도로 어느 정도 오래되었지만 일부분은 리모델링을 거쳤으며 신축역사 못지 않게 깨끗하게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중이다. 전구를 사용한 두꺼운 구형 표시판에 신형 디자인만 갈아끼운 다른 역들과는 달리 동대구역에는 모두 신형 디자인의 LED 슬림 표지판으로 통째로 교체되어 있는 상태다. '''역사 내에 냉방시설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역사 느낌이 다른 역사에 비해 상당히 쾌적하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1106918&page=3|출구 안내]]도 매우 알기 쉽게 표현해 두었다.
95
96거대한 동대구역 지하를 관통하는 구간이라 1호선 건설 당시 난공사 구간 중 하나였다.
97
981998년 5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구간(대구역 ~ 안심) 개통 당시 개통식이 이 역에서 열렸다.
99
100이 역은 터미널과 기차역, 신세계백화점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물론, 타지에서 대구를 관광할 때 많이 이용하므로 이용객들이 많다. 대구 1호선 혼잡도는 [[반월당역]], [[명덕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동대구역에서 많이 갈린다.
101
102== 승강장 ==
103=== [[경부고속선]], [[경부본선]], [[대구선]] ===
104||<-4> ↑ [[대구역|대구]] ||<-12> ↑ [[신김천역|신김천]] ||<-4> [[대구역|대구]] ↓ ||<|4><width=10> ㅣ ||<-6> 당역종착 ||
105||<width=10> ㅣ ||<width=10><bgcolor=#0054A6> {{{#ffffff 14}}} ||<width=10><bgcolor=#0054A6> {{{#ffffff 13}}} ||<width=10> ㅣ ||<width=10> ㅣ ||<width=10><bgcolor=#003da5> {{{#ffffff 12}}} ||<width=10><bgcolor=#003da5> {{{#ffffff 11}}} ||<width=10> ㅣ ||<width=10> ㅣ ||<width=10><bgcolor=#003da5> {{{#ffffff 10}}} ||<width=10><bgcolor=#003da5> {{{#ffffff 9}}} ||<width=10> ㅣ ||<width=10> ㅣ ||<width=10><bgcolor=#003da5> {{{#ffffff 8}}} ||<width=10><bgcolor=#003da5> {{{#ffffff 7}}} ||<width=10> ㅣ ||<width=10> ㅣ ||<width=10><bgcolor=#0054A6> {{{#ffffff 6}}} ||<width=10><bgcolor=#0054A6> {{{#ffffff 5}}} ||<width=10> ㅣ ||<width=10> ㅣ ||<width=10><bgcolor=#d93f5c> {{{#ffffff 3}}} ||<width=10><bgcolor=#d93f5c> {{{#ffffff 2}}} ||<width=10> ㅣ ||<width=10> ㅣ ||<width=10><bgcolor=#d93f5c> {{{#ffffff 1}}} ||
106||<-4> ↑ [[고모역|고모]] ||<-12> [[신경주역|신경주]] ↓ ||<-4> [[고모역|고모]] ↓ ||<-6> [[하양역|하양]] ↓ ||
107
108||<bgcolor=#D93F5C> {{{#ffffff 1}}} ||<|3>{{{#D93F5C ■}}} [[대구선]] ||<|3>[[영천역|영천]]·[[신경주역|신경주]]·[[포항역|포항]]·[[태화강역|태화강]] 방면 ||
109||<bgcolor=#D93F5C> {{{#ffffff 2}}} ||
110||<bgcolor=#D93F5C> {{{#ffffff 3}}} ||
111||<bgcolor=#0054A6> {{{#ffffff 5}}} ||<|2>{{{#0054A6 ■}}} [[대경선]]||<|2>[[고모역|고모]]·[[가천역|가천]]·[[경산역|경산]] 방면||
112||<bgcolor=#0054A6> {{{#ffffff 6}}} ||
113||<bgcolor=#003da5> {{{#ffffff 7}}} ||<|6>{{{#003DA5 ■}}} [[경부고속선]]||<|2>[[신경주역|신경주]]·[[울산역|울산]]·[[부산역|부산]] 방면||
114||<bgcolor=#003da5> {{{#ffffff 8}}} ||
115||<bgcolor=#003da5> {{{#ffffff 9}}} ||<|2>[[대전역|대전]]·[[천안아산역|천안아산]]·[[서울역|서울]] 방면[br](당역 출발)||
116||<bgcolor=#003da5> {{{#ffffff 10}}} ||
117||<bgcolor=#003da5> {{{#ffffff 11}}} ||<|2>[[대전역|대전]]·[[천안아산역|천안아산]]·[[서울역|서울]] 방면[br]{{{-2 (직통 [[개성역|개성]]·[[평양역|평양]]·[[신의주역|신의주]] 방면)}}}||
118||<bgcolor=#003da5> {{{#ffffff 12}}} ||
119||<bgcolor=#0054A6> {{{#ffffff 13}}} ||<|2>{{{#0054A6 ■}}} [[대경선]]||<|2>[[대구역|대구]]·[[왜관역|왜관]]·[[구미역|구미]]·[[김천역|김천]] 방면||
120||<bgcolor=#0054A6> {{{#ffffff 14}}} ||
121
122===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123||<-4> [[신천역(대구)|신천]] ↑ ||
124||<width=10px><bgcolor=#d93f5c> {{{#ffffff 하}}}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d93f5c> {{{#ffffff 상}}} ||
125||<-4> ↓ [[동구청역|동구청]] ||
126
127||<width=10px><bgcolor=#d93f5c> {{{#ffffff 상}}} ||<|2> [[파일:DTRO-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대구)|중앙로]] · [[반월당역|반월당]] · [[명덕역|명덕]] · [[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
128||<width=10px><bgcolor=#d93f5c> {{{#ffffff 하}}} ||[[아양교역|아양교]] · [[신기역(대구)|신기]] · [[반야월역|반야월]] · [[청천역|청천]] 방면||
129역 구내에 6퍼밀의 구배가 있다.
130
131== 인접 정차역 ==
132=== [[쌍도교통]] ===
133||<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rowbgcolor=#f5f5f5,#373a3c><tablebgcolor=#ffffff,#2d2f34><-6> {{{#003da5 ■}}} [[경부고속선]] ||
134||<width=34%><-2><:>[[신의주역|{{{-2 {{{#000,#fff 신의주 방면}}}}}}]][br][[대전역|대 전]][br]← 126.9 km||<width=32%><bgcolor=#e6c843><-2><:>[[송골매(열차)|{{{#000 송골매}}}]]||<width=34%><-2><:>[[부산역|{{{-2 {{{#000,#fff 부산 방면}}}}}}]][br][[부산역|부 산]][br]130.7 ㎞ →||
135||<width=34%><-2><:>[[평양역|{{{-2 {{{#000,#fff 평양 방면}}}}}}]][br][[신김천역|신김천]][br]← 55.3 km||<width=32%><bgcolor=#d7062e><-2><:>[[제비(열차)|{{{#fff 제비}}}]]||<width=34%><-2><:>[[부산역|{{{-2 {{{#000,#fff 부산 방면}}}}}}]][br][[신경주역|신경주]][br]49.0 km →||
136||<:><width=34%><-2>[[서울역|{{{-2 {{{#000,#fff 서울 방면}}}}}}]][br][[신김천역|신김천]][br]← 55.3 km ||<width=32%><bgcolor=#0042fb><-2><:>[[왜가리(열차)|{{{#fff 왜가리}}}]]||<width=34%><-2><:>[[부산역|{{{-2 {{{#000,#fff 부산 방면}}}}}}]][br][[신영동역|신영동]][br]39.6 ㎞ →||
137
138||<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rowbgcolor=#f5f5f5,#373a3c><tablebgcolor=#ffffff,#2d2f34><-6> {{{#0054A6 ■}}} [[대경선]] ||
139||<width=34%><-2><:>[[김천역|{{{-2 {{{#000000,#fff 김천 방면}}}}}}]][br][[대구역|대 구]][br]← 3.2 km||<width=32%><-2><width=120px><:><bgcolor=#808080>{{{#fff {{{-1 보통[br]普通}}}}}}||<width=34%><-2> [[경산역|{{{-2 {{{#000000,#fff 경산 방면}}}}}}]][br][[고모역|고 모]][br]5.5 km → ||
140||<rowbgcolor=#f5f5f5,#373a3c><-6> {{{#D93F5C ■}}} [[대구선]] ||
141||<width=34%><-2><:>{{{#gray 시종착}}}||<width=32%><bgcolor=#003da5><-2><:>[[소나기(열차)|{{{-2 {{{#fff [특급] 소백산[br][特急] 小白山}}}}}}]]||<width=34%><-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하양역|하 양]][br]20.7 km →||
142||<width=34%><-2><:>{{{#gray 시종착}}}||<width=32%><-2><width=120px><:><bgcolor=#808080>{{{#fff {{{-1 보통[br]普通}}}}}}||<width=34%><-2> [[경산역|{{{-2 {{{#000000,#fff 경산 방면}}}}}}]][br][[고모역|고 모]][br]5.5 km → ||
143
144== 주변 교통 ==
145쌍도교통 동대구역 바로 앞에 지하철 동대구역과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이 있다.
146
147쌍도교통 동대구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도시철도]] 동대구역과 생각 외로 거리가 멀다. 중앙 개찰구를 중심으로 대략 400m 가량 떨어져 있다.
148
1492번 출구 옆 연결 통로를 정면에서 볼 때 기준으로 2갈래로 나뉘어 있는데, 좌측은 [[대구신세계]]가 있고 우측은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연결 통로이다. [[무빙워크]]를 통해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이동 자체는 어렵지 않으나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매표소가 3층에 있다.[* 다만 고속버스 터미널 층수를 [[대구신세계]]에 맞추면서 생겼으며, 1층 바로 위가 3층이라는 독특한 구조 때문에 생각보다 막장환승은 아니며 에스컬레이터도 직선으로 바로 이어져 있다. 즉, 터미널 건물 내에서 잠깐만 걷는 것을 제외하면 철도역에서 지하철역으로 쭉 내려가는 것이다. 더군다나 3~1층 에스컬레이터에서 바로 정면으로 이어지는 1~지하1층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가면 바로 지하철역으로 이어지는 통로로 무빙워크까지 설치되어 있어 실질 거리감은 훨씬 더 감소된다.]
150
151역과 좀 떨어진 곳에 [[대구파티마병원]], [[평화시장(대구)|평화시장]], [[KT]] 동대구지사가 있으며, 지하철 [[동구청역]] 너머로 [[동구청(대구)|동구청]] 및 성동고가차도, 동명의 전철역 너머 동대구역네거리에 [[동부소방서(대구)|동부소방서]]가 있다. 소방서는 [[대구신서혁신도시]] 이전설이 들리고 있다.
152
153[[대구역]]과는 전철로는 3개 역 거리 정도로 가까워서 동대구역 ~ [[대구역]] 구간은 [[새마을호]] 정차역 중에서는 가장 간격이 짧다. 그리고 차로 10~15분 거리에 [[대구국제공항]]도 있으며, 공항으로 가고 싶으면 [[경부선]] 철로변 동대구역지하도 정류장에서 시내버스를 타야 한다.
154
155[[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이 역사 바로 밑에 있으며, 시내버스를 타기에도 매우 좋은 대중교통의 요충지다. [[대구국제공항]] 방면으로도 3개 노선[* 동대구역 지하차도 정류장이라고 제1주차장 쪽에 정류장이 따로 있다.] 많은 시내버스가 동대구역을 경유하며 지하철, 택시 모두 편리하니 웬만하면 집에서, 혹은 대중교통으로 동대구역에 나와 전송을 하고, 굳이 자차를 몰고 와야 하는 상황이면 유료 주차장을 이용하면 주차료는 천원 안팎이다. 물론 주차장이 작아 대개 만차가 된다.
156
157[[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연계는 그야말로 환상적이다. 옆으로 걸어나와서 들어가면 끝. 단 동대구역 끄트머리라서 만약 이게 전철역이었다면 [[막장환승]] 소리를 들었겠지만, 이건 보통 많은 대도시에서 철도역과 거리가 있는 대형 종합 [[버스 터미널]]이다. [[서울역]]은 일부 [[시외버스]]만 근처에서 취급한다.[* 물론 [[서울역]] / [[수서역]]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센트럴 시티]] / [[서울남부터미널]]은 환승 수요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붙어 있어야 할 당위성이 없다.]
158
159다음 역이자 희대의 낚시역인 [[신천역(대구)|신천역(경북대입구)]]에 혹하지 말고, [[경북대학교]]를 가려면 동대구역 및 [[신세계 동대구 복합환승센터/동대구터미널|동대구터미널]] 앞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순환2(-1)번]]을 타면 [[경북대학교]] 후문(서문)에서 내릴 수 있다. [[대구 버스 937|937번]]을 타도 [[경북대학교]] 정문에서 내릴 수 있다. 대신 [[경북대학교]] 북문(정문보다 더 규모가 큰 실질적 메인 현관)으로 가는 노선은 없기 때문에 북문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순환2-1번]]을 타고 <동대구시장 건너>, <대일아파트 건너>(대현동주민센터입구), <북구선거관리위원회 앞>([[경북대학교]]서문) 중 한 군데에서 내려 [[대구 버스 306|306번]]으로 갈아타거나, [[대구 버스 순환2, 순환2-1|순환2-1번]]을 탔다가 북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내려 [[대구 버스 410, 410-1|410번]]([[대구 버스 306|306번]], [[대구 버스 523|523번]]도 정차)으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다. 시외버스 또는 셔틀버스로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창하리 [[육군3사관학교]]로 갈 수도 있다. [[육군3사관학교]]에 합격해서 입교하게 되는 예비 생도들이 동대구역을 애용한다.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