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량역(r1 Blame)

r1
r1

(새 문서)
1{{{+1 '''牟梁驛'''[br]'''Moryang Station'''}}}
2||<-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동해철도|[[파일:DH_Wlogo.png|height=50&align=left]]]][[동해철도|{{{#fff 동해철도}}}]][br]'''{{{#fff {{{+2 모량역}}}}}}'''||
3||<|2><-2><width=120px> [[태화강역|{{{-2 {{{#000,#fff 태화강 방면}}}}}}]][br][[경주역|경 주]][br]← 4.4 ㎞ ||<|2><-2><width=120px><:><bgcolor=#003d8c>[[동해본선|{{{#fff {{{-2 동해선}}}}}}]]||<-2><width=120px> [[울진역|{{{#000000,#fff {{{-2 울진 방면}}}}}}]] ||
4||<height=80><-2><|2> [[서경주역|서경주]][br]8.2 ㎞ → ||
5||<|2><-2><width=120px> [[동대구역|{{{-2 {{{#000,#fff 동대구 방면}}}}}}]][br][[아화역|아 화]][br]← 11.2 ㎞ ||<|2><-2><width=120px><:><bgcolor=#E61E2B>[[대구선|[[파일:SD-GG.png|height=20]][br]{{{#fff {{{-2 대구선}}}}}}]]||
6||<width=120px> [[포항역|{{{#000000,#fff {{{-2 포항 방면}}}}}}]] ||
7||<-6><bgcolor=#c0c0c0,#383b40> '''주소''' ||
8||<-6>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 211-19 ||
9||<-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10||<-2><bgcolor=#003d8c> [[동해본선|{{{#ffffff 동해선}}}]] ||<|2><-4> [[동해철도|[[파일:동해철도.png|width=180&theme=light]][[파일:동해철도_White.png|width=180&theme=dark]]]] ||
11||<-2><bgcolor=#E61E2B><:>[[중앙본선|{{{#fff 중앙본선}}}]]||
12||<-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13||<-2><bgcolor=#E61E2B><:>[[대구선|{{{#fff 대구선}}}]]||<-4> 1922년 12월 25일[* 경동선(협궤) 개업일] ||
14||<-2><bgcolor=#E61E2B><:>[[중앙본선|{{{#fff 중앙본선}}}]]||<-4> 1938년 12월 1일[* 경경남부선 (표준궤) 개업일] ||
15||<-2><bgcolor=#003d8c> [[동해본선|{{{#ffffff 동해본선}}}]] ||<-4> 2015년 2월 24일 ||
16||<-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17||<-2><:>[[부산진역|{{{-2 {{{#000,#fff 부산진 방면}}}}}}]][br][[경주역|경 주]][br]← 4.4 ㎞||<bgcolor=#f5f5f5,#373a3c><-2><:>'''[[동해본선]]'''[br]모 량||<-2><:>[[두만강역|{{{-2 {{{#000,#fff 두만강 방면}}}}}}]][br][[서경주역|서경주]][br]8.2 ㎞ →||
18||<-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아화역|아 화]][br]← 11.2 ㎞||<bgcolor=#f5f5f5,#373a3c><-2><:>'''[[중앙본선]]'''[br]모 량||<-2><:>{{{#gray 종점}}}[* 동해본선 [[경주역|경주]] 방면으로 이어져있다.]||
19||<-2><:>{{{-2 {{{#000,#fff 신경주분기 방면}}}}}}[br]신경주분기[* 경부고속선 KPR 258k848 지점에 위치한 건천연결선의 실질적 분기지점이다. 신경주분기는 전산상의 명칭으로 국토교통부 고시에는 별도로 지정하지 않았다.][br]← 3.3 ㎞||<bgcolor=#f5f5f5,#373a3c><-2><:>'''[[동해본선|{{{-2 동해본선}}}[br]건천연결선]]'''[br]모 량||<-2><:>{{{#gray 종점}}}||
20
21[목차]
22[clearfix]
23== 개요 ==
24[[동해본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모량리 211-19 소재.
25
26== 역 정보 ==
271922년 12월 25일 경동선이 개통하면서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광명동 1370번지 일대에 광명역(光明驛)이라는 역명으로 역원배치간이역 등급으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28년 12월 10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28
291930년 4월 1일에 화물취급을 개시하였고 1939년 6월 1일 표준궤로 개궤하면서 현 위치로 이전하였고 모량(毛良)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30
311976년 7월 10일에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고 1977년 5월 16일부로 수·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32
331997년 6월 1일부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01년 6월 30일 [[https://www.gwanbo.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319599292848000&tocId=00000000000000001319599306184000&isTocOrder=N|철도청고시제2001-22호]]에 의거하여 기존 한자역명인 '毛良'에서 주민들 의견 및 고증을 토대로 하여 서라벌 6부 중 하나인 모량부에서 유래한 표기인 '牟梁'으로 바뀌었다.
34
352004년 12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2007년 6월 1일부로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다. 구 역사는 민간업체에 임대되어 사용 중이다.
36
372021년 12월 28일 [[중앙본선]]과 [[동해본선]] 이설로 중앙선 및 건천연결선과의 연계 목적으로 현 역사로 모든 업무가 이관되었으며 승강장 역시 2면 3선식으로 바뀌었다.
38
39== 역 및 승강장 ==
40||<-6> ↑ [[경주역|경주]]·[[아화역|아화]] ||
41|| ㅣ ||<bgcolor=#003d8c> {{{#ffffff 3}}} ||<bgcolor=#E61E2B> {{{#ffffff 2}}} || ㅣ || ㅣ ||<bgcolor=#003d8c> {{{#ffffff 1}}} ||
42||<-6> [[서경주역|서경주]] ↓ ||
43
44||<bgcolor=#003d8c> {{{#ffffff 1}}} ||{{{#003d8c ■}}} [[동해본선|동해선]][br][[파일:SD-GG.png|height=17]] [[대구선]]||<:>하행||[[포항역|포항]]·[[영덕역|영덕]]·[[후포역|후포]]·[[울진역|울진]] 방면 ||
45||<bgcolor=#E61E2B> {{{#ffffff 2}}} ||[[파일:SD-GG.png|height=17]] [[대구선]]||<|2><:>상행||[[영천역|영천]]·[[하양역|하양]]·[[동대구역|동대구]] 방면||
46||<bgcolor=#003d8c> {{{#ffffff 3}}} ||{{{#003d8c ■}}} [[동해본선|동해선]]||[[경주역|경주]]·[[북울산역|북울산]]·[[태화강역|태화강]] 방면 ||
47
48== 인접 정차역 ==
49||<-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003d8c ■}}} [[동해본선|동해선]] ||
50||<width=34%><-2><:>[[태화강역|{{{-2 {{{#000,#fff 태화강 방면}}}}}}]][br][[경주역|경 주]][br]← 4.4 ㎞||<width=32%><-2><bgcolor=#808080> {{{-1 {{{#fff 보통[br]普通}}}}}} ||<width=34%><-2><:>[[울진역|{{{-2 {{{#000,#fff 울진 방면}}}}}}]][br][[서경주역|서경주]][br]8.2 ㎞ →||
51||<-6><rowbgcolor=#f5f5f5,#373a3c> [[파일:SD-GG.png|height=17]] [[대구선]] ||
52||<width=34%><-2><:>[[동대구역|{{{-2 {{{#000,#fff 동대구 방면}}}}}}]][br][[아화역|아 화]][br]← 11.2 ㎞||<width=32%><-2><bgcolor=#808080> {{{-1 {{{#fff 보통[br]普通}}}}}} ||<width=34%><-2><:>[[포항역|{{{-2 {{{#000,#fff 포항 방면}}}}}}]][br][[서경주역|서경주]][br]8.2 ㎞ →||
53||<width=34%><-2>||<width=16%> ||<width=16%> ||<width=34%><-2> ||
54
55[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모량신호장, version=391)]
56[[분류:경상북도의 철도역]][[분류:동해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