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양리역(r4 Blame)

r4
r1

(새 문서)
1[[분류:강원도의 철도역]][[분류:경춘선]][[분류:경춘 완행선]]
2{{{+1 '''白楊里驛''' (엘리시안江村)[br]'''Baengyang-ri Station''' (ELYSIAN GANGCHON)}}}
3||<)><-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백양리역}}}[br](엘리시안강촌)}}}'''||
4||<width=120px><-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굴봉산역|굴봉산]][br]← 2.9 km||<width=120px><-2><bgcolor=#178c72><:>[[경춘 완행선|[[파일:DH-KL.png|width=20]][br]{{{-2 {{{#fff 경춘 완행선[br]KL66}}}}}}]]||<width=120px><-2><:>[[춘천역|{{{-2 {{{#000000,#fff 춘천 방면}}}}}}]][br][[강촌역|강 촌]][br]5.3 km →||
5||<-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6><:>[[강원도]] [[춘천시]] 남산면 북한강변길 690 (강촌리 680-7)||
7||<-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8||<-2><bgcolor=#178c72> [[경춘 완행선|{{{#ffffff 경춘 완행선}}}]] ||<-4>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 ||
9||<-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10||<-2><bgcolor=#178c72> [[경춘선|{{{#ffffff 경춘선}}}]] ||<-4> 1939년 7월 20일 ||
11||<-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12||<-2><:>[[망우역|{{{-2 {{{#000,#fff 망우 방면}}}}}}]][br][[굴봉산역|굴봉산]][br]← 2.9 km||<bgcolor=#f5f5f5,#373a3c><-2><:>'''[[경춘선]]'''[br]백양리||<-2><:>[[춘천역|{{{-2 {{{#000000,#fff 춘천 방면}}}}}}]][br][[강촌역|강 촌]][br]5.3 km →||
13
14[목차]
15[clearfix]
16== 개요 ==
17>'''푸른 강물에 비치는 세련된 하얀 집, 굴봉산 나무를 형상화한 Y자형 기둥'''
18>백양리역은 1939년 7월 25일 경춘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 2004년 역원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가 2010년 수도권 광역전철 개통으로 약 2.3km 정도 떨어진 위치로 신축, 이전하였다. 새로운 역사 신축으로 북한강과 멀어진 강촌역과는 달리, 오히려 북한강과 가까워지게 되었다. 새로운 역사는 타는 곳 지붕에는 북한강 물결을, Y자형 기둥에는 굴봉산 나무의 이미지를 적용하여 지역적 특성을 표현한 세련되고 현대적인 형태로, 멀리서 보면 로봇 태권브이의 두상을 닮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19>----
20>[[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21[[경춘 완행선]] KL66번. [[강원도]] [[춘천시]] [[남산면(춘천)|남산면]] 북한강변길 690 (강촌리 680-7) 소재.
22
23== 역 정보 ==
24[[경춘선]] 복선 전철화 공사로 인해서 역사가 원래 위치에서 2km 떨어진 엘리시안 강촌 리조트 인근으로 이설되었다. 경춘선 역사 중에서 [[춘천역]], [[대성리역]]과 함께 북한강변에 있는 역이다.
25
26이름은 '백양리'역이지만 실제 역이 있는 위치는 아이러니하게도 강촌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고, 정작 [[강촌역]]은 강촌리가 아닌 남산면 방곡리 쪽에 살짝 들어와있다. 강촌이 MT의 대명사로 명성을 얻고 나서 이 '강촌'이라는 명칭이 강촌리란 마을에 한정되어있는 것이 아니니까 여기까지는 그렇다 쳐도, 이웃해있는 [[굴봉산역]]은 오히려 남산면 백양리에 위치한다. 직선화로 역 위치가 크게 옮겨지면서 뒤죽박죽이 된 케이스인데, 사실 직선화 전에도 백양리역은 강촌리에 있었다. 오히려 직선화로 역이 옮겨지면서 백양리에 더 가까워진 것. 정작 서천리에 있던 경강역이 백양리로 들어가 굴봉산역이 되어버리고 강촌역이 산속으로 들어가서 그렇지...
27
28인근에 [[엘리시안 강촌]]이 있어 겨울 스키 시즌에는 쾌속열차가 일부 추가 정차한다. 예전에는 해당 시즌에 주말마다 [[용산역]], [[왕십리역]], [[청량리역]]에서 탈 수 있는 전용 광역전철을 운영한 적도 있으나 현재는 운영하지 않는다. 2013/14년 시즌에는 아예 주말에 청춘 한 편성을 전세 내서 [[동인천역]]에서 백양리역까지 운행했다. 2014/15년 시즌에는 왕복 평일 10회, 토요일 28회, 일요일 24회 정차하기도 했다.
29
30=== 구 역사 ===
31백양리역 구 역사는 [[팔당역]] 구 역사처럼 승강장 위에 역사가 들어선 형태다. 현재 선로는 철거되었다가 플랫폼 부분에만 다시 놓았다. 공원화되어 주민들의 쉼터 및 출사지로 사용되고 있다. 북한강을 볼 수 있는 망원경, 백양리역과 구 경춘선에서 과거에 쓰던 물건들, 구 백양리역 스탬프, 그 외 여러 가지 물건들이 있다. 구 백양리역은 도로화된 구 경춘선 노반을 따라 강촌역 방면으로 약 2km 걸어 가면 나온다. 원래는 시내버스를 타고 갈 수도 있었지만 춘천 시내버스가 개편되면서 정류장이 없어졌다.
32
33참고로 승강장 위에 있는 이러한 형태의 역사는 현재 [[일본]]에서도 거의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으며, 한국에서도 경춘선 [[평내역]]과 [[상천역]], [[영동선]] [[마차리역]], [[동해남부선]] [[거제해맞이역|거제역]], [[대구선]] [[청천역]] 등에 있었으나 현재 남아있는 곳은 구 팔당역과 이곳 두 군데 뿐이다.
34
35[[김고은]]이 출연하는 올레 kt Y24 요금제 3시간 무제한편 광고에 나오는데, [[https://www.youtube.com/watch?v=lwfQV9Ij-Xk|#]] 구 [[굴봉산역|경강역]]도 초반에 잠깐 나온다.
36
37== 역 주변 정보 ==
38역에서 나오면 [[엘리시안 강촌]] 리조트와 도로로 연결된다. 붙어있다고 보기는 애매한게, 1번 출구에서 강촌 리조트의 가장 북쪽 지점까지 약 500m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 그래도 경춘선의 복선전철화로 인해서 엘리시안 강촌은 수도권 전철 연계 혜택을 보게 되었다.
39
40또한 남동쪽으로 1.8km, 도보 약 30분 정도 거리에 [[서울시립대학교]] 강촌수련원이 있다. 시립대 구성원들은 이용요금 할인이 어느 정도 되기 때문에 시립대 재학생들의 동아리 MT 장소로 자주 이용되는 곳이다.
41
42역 반경 1km 안에 거주지가 없다. [[북한강]] 남쪽의 역이 있는 자리가 온통 산과 계곡으로 둘러싸인 곳이라 마을이 형성되지 않았고, 북한강 건너편에는 1km 안에 안보1리 마을 회관 일대에 마을이 있는데 이곳 주민들은 집에서 역이 뻔히 보이는데도 근처 교량이 없어 이용을 제대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행정구역 상으로는 [[서면(춘천)|서면]] 당림리, 안보리인데, 현재로서는 하루 7번 다니는 [[춘천 버스 서면1|서면 1번]] 마을버스를 타고 시내까지 나오든가 해야 하며, 그나마 동서울~춘천~화천/양구 완행 시외버스가 이 마을들에 정차한다.
43
44자전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자전거를 타고 [[강촌역]]이나 [[굴봉산역]]까지 한참을 가야 하며, 이 때문에 복선전철 개통 직후 한동안 '우리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없는가'란 분노에 찬 내용의 현수막을 걸어놓았다.[* 이와 비슷한 사례가 [[용인시]]에도 있었다. 차량기지 내부에 지상으로 있던 [[보정역]]을 지하로 이전하면서 수지구 일부 지역에서는 [[경부고속도로]]와 차량기지를 넘어가야 보정역으로 갈 수 있게 됐는데 해당 지역은 경부고속도로, 차량기지를 통과할 방법이 없어서 지하 보정역이 생기자 해당 마을이 교통오지로 고립되었다. 계속된 민원에 새로 뽑힌 용인시장인 [[정찬민]]이 나서서 경부고속도로를 통과하는 왕복 4차로 다리를 놓아서 해결했다. 문제의 다리는 2019년 완공.]
45
46
47
48== 승강장 ==
49||<-6> ↑ [[굴봉산역|굴봉산]] ||
50||<width=10px> ||<width=10px><bgcolor=#178C72> {{{#ffffff 3}}}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178C72> {{{#ffffff 2}}} ||<width=10px> ||
51||<-6> [[강촌역|강촌]] ↓ ||
52
53||<width=10px><bgcolor=#178C72> {{{#ffffff 2}}} ||<|2> [[파일:DH-KL.png|width=17]] [[경춘 완행선]] ||[[강촌역|강촌]]·[[남춘천역|남춘천]]·[[춘천역|춘천]] 방면||
54||<width=10px><bgcolor=#178C72> {{{#ffffff 3}}} ||[[평내호평역|평내호평]]·[[상봉역|상봉]]·[[청량리역|청량리]] 방면||
552월 기준,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56
57== 연계 교통 ==
58||<-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78C72><bgcolor=#178C72> {{{#ffffff '''백양리역 연계 버스 정보'''}}} ||
59||<width=20%> '''정류소''' ||<width=10%> '''구분''' ||<width=70%> '''노선''' ||
60|| '''백양리역''' (2297) ||<colcolor=#ffffff><bgcolor=#8899DD>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99DD; font-size: .95em"
61[[춘천 버스 남산5|{{{#fff 남산5(중앙시장)}}}]]}}} ||
62|| '''백양리역''' (2296) ||<bgcolor=#8899DD>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899DD; font-size: .95em"
63[[춘천 버스 남산5|{{{#fff 남산5(백양2리)}}}]]}}} ||
64
65== 인접 정차역 ==
66||<-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DH-KG.png|width=20]] [[경춘 쾌속선]] ||
r4
67||<-2><:>[[인천대입구역|{{{-2 {{{#000,#fff 인천대입구 방면}}}}}}]][br][[가평역|가 평]][br]← 7.6 km||<-2><bgcolor=#234699><color=#fff> {{{-1 쾌속[br]快速[br](동절기 휴일, 방학평일 임시정차)}}} ||<-2> [[춘천역|{{{-2 {{{#000,#fff 춘천 방면}}}}}}]][br][[강촌역|강 촌]][br]5.3 km → ||
r1

(새 문서)
68||<-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파일:DH-KL.png|width=20]] [[경춘 완행선]] ||
69||<width=34%><-2><:>[[청량리역|{{{-1 {{{#000,#fff 청량리 방면}}}}}}]][br][[굴봉산역|굴봉산]][br]← 2.9 km||<width=32%><:><-2><bgcolor=#178c72><color=#fff>{{{-1 각역정차[br]各驛停車}}}||<width=34%><-2><:>[[춘천역|{{{-1 {{{#000,#fff 춘천 방면}}}}}}]][br][[강촌역|강 촌]][br]5.3 km →||
70||<-2>|| || ||<-2> ||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