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곡역(r1 Blame)

r1
r1

(새 문서)
1[[분류:충청북도의 철도역]][[분류:중앙본선]]
2{{{+1 '''三谷驛'''[br]'''Samgok Station'''}}}
3||<-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C9252B><tablebgcolor=#ffffff,#2d2f34> [[쌍도교통|[[파일:Ssangdo_Wlogo.svg|height=50&align=left]]]][[쌍도교통|{{{#fff 쌍도교통}}}]][br]'''{{{#fff {{{+2 삼곡역}}}}}}'''||
4||<width=120px><-2><:>[[제천역|{{{-2 {{{#000000,#fff 제천 방면}}}}}}]][br][[고명역|고 명]][br]← 5.2 ㎞||<width=120px><bgcolor=#00B1EB><:><-2>[[중앙본선|{{{#fff {{{-2 중앙본선}}}}}}]]||<width=120px><-2><:>[[영주역|{{{-2 {{{#000000,#fff 영주 방면}}}}}}]][br][[도담역|도 담]][br]7.3 km →||
5||<-6><bgcolor=#c0c0c0,#383b40> '''주소''' ||
6||<-6>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삼곡길 20-11 (삼곡리 6번지) ||
7||<-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8||<-2><bgcolor=#00B1EB><:>[[중앙본선|{{{#fff 중앙본선}}}]]||<-4> [[쌍도교통|[[파일:쌍도교통 로고.png|width=180&theme=light]][[파일:쌍도교통 로고_White.png|width=180&theme=dark]]]] ||
9||<-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10||<-2><bgcolor=#00B1EB><:>[[중앙본선|{{{#fff 중앙본선}}}]]||<-4> 1942년 4월 1일 ||
11||<-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12||<width=120px><-2><:>[[청량리역|{{{-2 {{{#000000,#fff 청량리 방면}}}}}}]][br][[고명역|고 명]][br]← 5.2 ㎞||<bgcolor=#f5f5f5,#373a3c><-2><:>'''[[중앙본선]]'''[br]단 양||<width=120px><-2><:>[[모량신호장|{{{-2 {{{#000000,#fff 모량 방면}}}}}}]][br][[도담역|도 담]][br]7.3 km →||
13[목차]
14[clearfix]
15== 개요 ==
16[[중앙본선]]의 철도역,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삼곡길 20-11 (삼곡리 6번지) 소재.
17
182014년 8월 1일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에 따라 1명 근무지정역으로 지정되어 역장 1인이 근무한다.
19
20== 역 정보 ==
21[[고명역]]과 마찬가지로 역세권이라는 개념이 없어서[* 그래도 [[역세권]]은 [[고명역]] 주변보다는 낫다.] 주로 운전취급 및 화물 취급용으로 쓰인다. 2005년 11월부터 구내 배선 개량공사를 위해 여객취급을 일시적으로 중단했는데, 어찌 된 일인지 2007년 말에 여객취급 일시 중단 기간이 만료된 지 3년이 넘도록 여객취급 재개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결국 2011년 3월 31일부로 서류상으로도 여객 취급이 무기한 중단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22
23[[제천역]]부터 내려가는 코스는 어느 방향으로 꺾던지 산간지방을 거쳐가는지라 인근에 꽤 산이 많은데, 덕분에 2004년 산사태로 이 근방의 철로가 막힌 적이 있었다.
24
252015년 7월 25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에 따라 운전취급은 도담역의 제어를 받는다. 다만 운전취급 형태가 매우 특이한데, 직원이 일근근무를 하는 관계로 '''평일 주간에만 이 역에서 자체적으로 운전취급을 하고, 야간(18:00~09:00)·주말·공휴일에는 도담역에서 운전취급을 받는다.''' 이런 특이한 형태로 운영하는 역은 이 역이 유일하다
26
27고명역 방향으로 현대시멘트 단양공장을 향해 가는 현대시멘트수송선이 분기한다.[* 단양시멘트 공장 준공은 1964년에 있었다. ]
28
29== 역 주변 정보 ==
30삼곡역은 역 주변이 삼곡리보다는 고양리[* [[고양시]]와 한자까지 똑같다.]와 가평리인데, 고양리와 가평리 쪽으로 마을이 발달해 있다. 역 동쪽으로 가평리 보건진료소가 있는 등 마을이 꽤 크게 들어서 있다. 이 때문에 고명역보다 여객 수요가 많은 편이다.
31
32== 승강장 ==
33||<-9> ↑ [[고명역|고명]] ||
34|| | ||<width=10><bgcolor=#00B1EB> {{{#ffffff 1}}} ||<width=10><bgcolor=#00B1EB> {{{#ffffff 2}}} ||<width=10> | ||||<width=10> | ||<width=10><bgcolor=#00B1EB> {{{#ffffff 3}}} ||<width=10><bgcolor=#00B1EB> {{{#ffffff 4}}} ||<width=10> | ||
35||<-9> [[도담역|도담]] ↓ ||
36
37||<bgcolor=#00B1EB> {{{#ffffff 1·2}}} ||<|2> {{{#00B1EB ■}}} [[중앙본선]] || 상행 ||[[고명역|고명]]·[[제천역|제천]] 방면 ||
38||<bgcolor=#00B1EB> {{{#ffffff 3·4}}} || 하행 ||[[단양역|단양]]·[[풍기역|풍기]]·[[영주역|영주]] 방면 ||
39
40== 인접 정차역 ==
41||<-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00B1EB ■}}} [[중앙본선]] ||
42||<width=34%><-2><:>[[제천역|{{{-2 {{{#000000,#fff 제천 방면}}}}}}]][br][[고명역|고 명]][br]← 5.2 ㎞||<width=32%><bgcolor=#808080><-2><:>{{{-2 {{{#fff 보통[br]普通}}}}}}||<width=34%><-2><:>[[영주역|{{{-2 {{{#000,#fff 영주 방면}}}}}}]][br][[죽령역|죽 령]][br]10.4 k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