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호역(r4 Blame)
r4 | ||
---|---|---|
r1 (새 문서) | 1 | [[분류:강원도의 철도역]][[분류:동해본선]] |
2 | {{{+1 '''侍中湖驛''' (松田)[br]'''Sijungho Station''' (Songjeon)}}} | |
3 |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시중호역}}}[br](송전)}}}'''|| | |
r3 | 4 | ||<width=120px><-2><:>[[통천역|{{{-2 {{{#000,#fff 통천 방면}}}}}}]][br][[고저역|고 저]][br]← 6.9 km||<-2><width=120px><:><bgcolor=#003d8c>[[동해본선|{{{#fff {{{-2 동해선}}}}}}]]||<width=120px><-2><:>[[원산역|{{{-2 {{{#000,#fff 원산 방면}}}}}}]][br][[패천역|패 천]][br]9.4 ㎞ →|| |
r1 (새 문서) | 5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
6 | ||<-6><:>[[강원도]] [[통천군]] 송전면 송전리|| | |
7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 |
8 | ||<-2><bgcolor=#003d8c> [[동해본선|{{{#ffffff 동해선}}}]] ||<-4> [[강원철도|[[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png|width=180&theme=light]][[파일:강원철도주식회사_White.png|width=180&theme=dark]]]] || | |
9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 |
10 | ||<-2><bgcolor=#003d8c> [[동해본선|{{{#ffffff 동해본선}}}]] ||<-4> 1931년 7월 21일 || | |
11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 |
r3 | 12 | ||<-2><:>[[부산진역|{{{-2 {{{#000,#fff 부산진 방면}}}}}}]][br][[고저역|고 저]][br]← 6.9 km||<bgcolor=#f5f5f5,#373a3c><-2><:>'''[[동해본선]]'''[br]시중호||<-2><:>[[두만강역|{{{-2 {{{#000,#fff 두만강 방면}}}}}}]][br][[패천역|패 천]][br]9.4 ㎞ →|| |
r1 (새 문서) | 13 | |
14 | [목차] | |
15 | [clearfix] | |
16 | == 개요 == | |
17 |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통천군]] 송전면 송전리 소재. | |
18 | ||
19 | == 승강장 == | |
20 | === [[동해본선|동해선]] === | |
21 | ||<-8> ↑ [[고저역|고저]] || | |
22 |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3d8c> {{{#fff 1}}} ||<width=10px><bgcolor=#003d8c> {{{#fff 2}}} ||<width=10px> ㅣ ||<width=10px> ㅣ ||<width=10px><bgcolor=#003d8c> {{{#fff 3}}} ||<width=10px><bgcolor=#003d8c> {{{#fff 4}}} ||<width=10px> ㅣ || | |
r4 | 23 | ||<-8> [[패천역|패천]] ↓ || |
r1 (새 문서) | 24 | |
25 | ||<bgcolor=#003d8c> {{{#ffffff 1}}} ||<|4>{{{#003d8c ■}}} [[동해본선|동해선]] ||<|2><:>상행||<|2>[[고저역|고저]]·[[통천역|통천]] 방면 || | |
26 | ||<bgcolor=#003d8c> {{{#ffffff 2}}} || | |
27 | ||<bgcolor=#003d8c> {{{#ffffff 3}}} ||<|2><:>하행||<|2>[[안변역|안변]]·[[원산역|원산]] 방면 || | |
28 | ||<bgcolor=#003d8c> {{{#ffffff 4}}} || | |
29 | ||
30 | == 인접 정차역 == | |
31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 {{{#003d8c ■}}} [[동해본선|동해선]] || | |
r3 | 32 | ||<width=34%><-2><:>[[통천역|{{{-2 {{{#000,#fff 통천}}}}}}]] {{{-2 {{{#000,#fff 방면}}}}}}[br][[고저역|고 저]][br]← 6.9 km||<width=32%><-2><bgcolor=#808080> {{{-1 {{{#fff 보통[br]普通}}}}}} ||<width=34%><-2><:>[[원산역|{{{-2 {{{#000,#fff 원산 방면}}}}}}]][br][[패천역|패 천]][br]9.4 ㎞ →|| |
r1 (새 문서) | 33 | |
34 | == 여담 == | |
35 | [[정주영]]의 고향에 있던 역이다. 실제로 [[정주영]]은 [[일제강점기]] 아버지가 [[소]]를 팔고 받은 돈을 훔쳐서 [[경성부]]로 가출한 적이 있는데 이 역에서 기차를 타고 서울로 도망쳤다. [[6.25 전쟁]] 이후 [[시중호역]]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 |
36 | ||
r3 | 37 | 정주영의 고향에 있던 점 때문에 이 역이 [[동국철도]] 산하에 있을 시절에는 역명을 '정주영역'으로 개명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동국철도가 해산되고 강원철도가 해당 구간을 운영하게 되면서 정주영역으로 개명될 가능성은 사라졌다.[* 이는 오랜 기간 현대자동차의 경쟁사인 대우자동차가 강원철도 자회사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상 강원철도의 버스회사 관동여객은 현대버스를 운용하지 않는다.] |
r1 (새 문서) | 38 | |
39 | 이처럼 범 현대가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는 지역이지만 정작 지역내 대중교통 회사가 현대차의 경쟁사인 특성상 현대자동차가 힘을 쓰지 못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