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신도시역(r3 Blame)
r3 | ||
---|---|---|
r1 (새 문서) | 1 | [[분류:경기도의 철도역]][[분류:경강선]][[분류:신분당선]][[분류:모란광주선]] |
r2 | 2 | [include(틀:다른 뜻, other1=장항선의 판교역, rd1=판교역(장항선))] |
r1 (새 문서) | 3 | {{{+1 '''板桥新都市驛'''[br]'''Pangyo New Town Station'''}}} |
4 |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856a0><tablebgcolor=#ffffff,#2d2f34>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50&align=left]]]][[남서울철도|{{{#fff 남서울철도}}}]][br]'''{{{#fff {{{+2 판교신도시역}}}}}}'''|| | |
5 | ||<width=120px><-2> [[송도역|{{{-2 {{{#000000,#fff 송도 방면}}}}}}]][br][[인덕원역|인덕원]][br]← 12.7 km ||<width=120px><bgcolor=#003DA5><-2> [[경강선|[[파일:KTX BI_White, Red.svg|height=15]][br]{{{#fff {{{-2 중부내륙선}}}}}}]] ||<width=120px><-2> [[거제역|{{{-2 {{{#000000,#fff 거제 방면}}}}}}]][br][[경기광주역|경기광주]][br]13.3 km → || | |
6 | ||<width=120px><-2> [[인천공항2터미널역|{{{-2 {{{#000000,#fff 인천공항2터미널 방면}}}}}}]][br][[인덕원역|인덕원]][br]← 12.7 km ||<width=120px><bgcolor=#003DA5><-2><|2> [[경강선|[[파일:KTX BI_White, Red.svg|height=15]][br]{{{#fff {{{-2 경강선}}}}}}]] ||<width=120px><|2><-2> [[강릉역|{{{-2 {{{#000000,#fff 강릉 방면}}}}}}]][br][[경기광주역|경기광주]][br]13.3 km → || | |
7 | ||<-2><bgcolor=#003DA5> [[광명역|{{{#ffffff {{{-3 ◀ 제2공항철도 직통}}}}}}]] || | |
8 | ||<width=120px><-2> [[연수역|{{{-2 {{{#000000,#fff 연수 방면}}}}}}]][br][[서판교역|서판교]][br]← 3.2 km ||<width=120px><-2><:><bgcolor=#003DA5>[[경강선|[[파일:NS-GK.png|height=20]][br]{{{#fff {{{-2 경강선[br]GK29}}}}}}]]||<width=120px><-2> [[강천역|{{{-2 {{{#000000,#fff 강천 방면}}}}}}]][br][[성남역|성 남]][br]0.7 km → || | |
9 | ||<width=120px><-2> [[모란역|{{{-2 {{{#000000,#fff 모란 방면}}}}}}]][br][[삼평역|삼 평]][br]← 1.8 km ||<|2><width=120px><-2><:><bgcolor=#E6186C>[[모란광주선|[[파일:NS-MK.png|height=20]][br]{{{#fff {{{-2 모란광주선[br]MK29}}}}}}]]||<width=120px><-2><|2> [[경기광주역|{{{-2 {{{#000000,#fff 경기광주 방면}}}}}}]][br][[서현역|서 현]][br]2.1 km → || | |
10 | ||<-2><bgcolor=#E6186C> [[모란역|{{{#ffffff {{{-3 ◀ 8호선 직통}}}}}}]] || | |
11 | ||<-6><bgcolor=#D31145> [[네오트랜스|[[파일:DXLine_Wlogo.svg|height=50&align=left]]]][[네오트랜스|{{{#fff 네오트랜스}}}]][br]'''{{{#fff {{{+2 판교신도시역}}}[br](판교테크노벨리)}}}'''|| | |
12 | ||<width=120><:><-2>[[용산역|{{{-2 {{{#000000,#fff 용산 방면}}}}}}]][br][[청계산입구역|청계산입구]][br]← 8.2 km||<-2><width=120><bgcolor=#D31145><:>[[파일:NS-D.png|height=20]][br][[신분당선|{{{-1 {{{#fff 신분당선[br]D11}}}}}}]]||<-2><width=120><:>[[향남역|{{{-2 {{{#000,#fff 향남}}}}}}]]·[[반월역|{{{-2 {{{#000,#fff 반월}}}}}}]] {{{-2 {{{#000,#fff 방면}}}}}}[br][[정자역|정 자]][br]3.1 km →|| | |
13 | ||<-6><bgcolor=#c0c0c0,#383b40> '''주소''' || | |
14 | ||<-6><:>[[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160 (백현동 19-2)|| | |
15 | ||<-6><bgcolor=#c0c0c0,#383b40> '''역 운영기관''' || | |
16 | ||<-2><bgcolor=#003DA5> [[경강선|{{{#ffffff 경강선}}}]] ||<-4><|2>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 || | |
17 | ||<-2><bgcolor=#E6186C> [[모란광주선|{{{#ffffff 모란광주선}}}]] || | |
18 | ||<-2><bgcolor=#D31145> {{{#ffffff 신분당선}}} ||<-4> [[네오트랜스|[[파일:DXLine_logo.svg|width=180&theme=light]][[파일:DXLine_logo_black.svg|width=180&theme=dark]]]] || | |
19 | ||<-6><bgcolor=#c0c0c0,#383b40> '''개업일''' || | |
20 | ||<-2><bgcolor=#D31145> [[신분당선|{{{#ffffff 신분당선}}}]] ||<-4> 2011년 10월 28일 || | |
21 | ||<-2><bgcolor=#003DA5> [[경강선|{{{#ffffff 경강선}}}]] ||<-4> 2016년 9월 24일 || | |
22 | ||<-2><bgcolor=#E6186C> [[모란광주선|{{{#ffffff 모란광주선}}}]] ||<-4> 2024년 8월 10일 || | |
23 | ||<-6><bgcolor=#c0c0c0,#383b40> '''철도거리표''' || | |
24 | ||<-2><:>[[용산역|{{{-2 {{{#000000,#fff 용산 방면}}}}}}]][br][[청계산입구역|청계산입구]][br]← 8.2 km||<colbgcolor=#f5f5f5,#373a3c><-2><:>'''[[신분당선]]'''[br]판교신도시||<-2><:>[[향남역|{{{-2 {{{#000,#fff 향남}}}}}}]]·[[반월역|{{{-2 {{{#000,#fff 반월}}}}}}]] {{{-2 {{{#000,#fff 방면}}}}}}[br][[정자역|정 자]][br]3.1 km →|| | |
25 | ||<-2><:>[[월곶역|{{{-2 {{{#000000,#fff 월곶 방면}}}}}}]][br][[서판교역|서판교]][br]← 3.2 km ||<colbgcolor=#f5f5f5,#373a3c><-2><:>'''[[경강선]]'''[br]판교신도시||<-2><:>[[강릉역|{{{-2 {{{#000000,#fff 강릉 방면}}}}}}]][br][[이매역|이 매]][br]0.8 km → || | |
26 | ||<-2><:>[[모란역|{{{-2 {{{#000000,#fff 모란 방면}}}}}}]][br][[삼평역|삼 평]][br]← 1.8 km ||<colbgcolor=#f5f5f5,#373a3c><-2><:>'''[[모란광주선]]'''[br]판교신도시||<-2><:>[[경기광주역|{{{-2 {{{#000000,#fff 경기광주 방면}}}}}}]][br][[서현역|서 현]][br]2.1 km →|| | |
27 | ||
28 | ||
29 | [목차] | |
30 | [clearfix] | |
31 | == 개요 == | |
32 | >'''판교테크노밸리 IT인재들의 출퇴근길''' | |
33 | >판교신도시역은 2011년 신분당선이 개통하면서 처음 영업을 시작, 2016년 경강선이 개통하며 환승역이 되었다. 지하 4층 규모의 지하역으로 신분당선과 경강선이 십자 모양으로 이어져 있어 편리하며 인근 판교테크노밸리에 유명기업들이 자리하고 있어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이 인산인해를 이룬다. 판교테크노밸리는 신분당선 판교신도시역의 부역명이기도 하다. | |
34 | >---- | |
35 | >[[남서울철도]]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 |
36 | ||
37 | * [[신분당선]] D11번.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160 (백현동 19-2) 소재. | |
38 | * [[수도권 전철 경강선]] GK29번.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160 (백현동 19-2) 인근 소재. | |
39 | * [[모란광주선]] MK29번.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지하160 (백현동 19-2) 인근 소재. | |
40 | ||
41 | == 역 정보 == | |
42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신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 [[모란광주선]]의 환승역이다. 판교신도시 중에서도 동판교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부내륙선]] [[KTX]]가 2023년 12월 28일 첫 차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 |
43 | ||
44 | 외부 출입구[* 신분당선의 출입구 양식을 따르며, 신분당선과 경강선 노선의 스티커가 붙어 있다.]와 대합실을 신분당선과 경강선이 공유하는 통합역사이다. 역무실 역시 신분당선 시절 역무실의 일부를 쪼개어 [[남서울철도]]와 나누어 쓰고 있다.[* 이 역 뿐만 아니라 [[지축역]] (운영권은 승강장 기준 [[강원철도]]/[[서울교통공사]] 4:6 비율이지만 역무는 2013년부터 서울메트로(현 서울교통공사)가 통합 관할), [[강남구청역]] 등 사례는 많다.] 판교역은 경강선과 신분당선의 통합 역사로 쓰도록 계획되어 있었다. | |
45 | ||
46 | 신분당선과 경강선 모두 동일한 출입구와 대합실을 경유하므로 판교신도시역에 하차할 계획이라면 어느 게이트를 찍고 나와도 동일한 대합실로 나오게 된다. 다른 신분당선 환승역과 마찬가지로 신분당선 이용 여부를 떠나 단순히 환승 게이트만 통행하는 것은 지불할 운임 총액에 변화를 주지 않으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 다만 굳이 환승 게이트를 경유해서 다른 운영사의 게이트를 찾아갈 필요가 그다지 없다. 신분당선의 경우 내리자마자 [[바로타(역 구조)|바로타]] 구조로 환승 게이트가 보이기 때문에 오인할 소지가 있지만 어느 방향으로 가든 나가는데는 문제가 없다. | |
47 | ||
48 | 보통 지하역이 대로변을 끼고 역을 설계하는데 비해 판교역은 특이하게도 블럭 한가운데 떡하니 위치해 있다. 동서남북 4방향 출구가 있는데 각 출구에서 대로까지 나가려면 걸어서 1~2분 정도 소요된다. | |
49 | ||
50 | 이렇게 역을 설계한 이유는 LH가 판교신도시를 계획하면서 판교역을 끼고 알파돔시티라는 거대한 주상복합단지를 예정하고 있는 부지였기 때문. 이 알파돔시티는 규모가 PF만 5조원대에 이르는 거대한 사업이다. 2022년 5월 현재 알파돔시티의 6-1 블록 (카카오아지트)과 6-2 블록 (테크원타워), 6-3 블록 (알파돔타워), 6-4 블록 (그레이츠 판교)이 모두 완공되어 여러 회사들과 상업 시설이 입점해 있는 상태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송도국제도시 구간처럼 신도시에 교통 인프라를 선 투자한 것으로, 처음에는 욕 얻어먹을 지 몰라도 나중에 신도시가 완성되면 급속도로 정착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김포시]] 한강신도시, [[수원시]] 광교신도시와 대비되는 부분. | |
51 | ||
52 | 역세권은 출구 방향 순서대로 1번 북편 출구에는 판교테크노밸리, 2번 동편에는 백현마을 및 봇들마을 등 아파트 단지가 주욱 늘어서 있다. 3번 남편 출구로 나오면 2015년 8월 21일 정식 개장한 현대백화점 판교점이 있으며, 현재 백화점 식품관과 2번 출구 옆 지하 통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 |
53 | ||
54 | 현대백화점 외에 알파돔시티가 대부분 준공되어 카카오모빌리티와 크래프톤, 카카오페이 등의 기업이 입주해 있는 상태이다. 4번 서편 출구는 알파돔시티의 한 부분인 판교 알파리움 아파트와 일렉트로마트 판교점을 비롯한 "라 스트리트(La Street)"라는 상업 시설이 있다. | |
55 | ||
56 | 역 안에는 [[성남시]] [[분당구]] 관할 무인 민원 발급기가 설치되어 있다. | |
57 | ||
58 | 이름은 판교역이지만, 정작 역사는 판교동이 아닌 백현동에 소재하고 있다. 물론 모두 [[판교신도시]]에 속해 있기 때문에 틀린 역명은 아니다. [[장항선]]에도 '''[[판교역(장항선)|판교역]]'''이 있으므로 내부 전산과 TIDS에서는 신판교역으로 표기되며 [[타고타고]]에서는 '''판교(경기)'''로 표출된다. [[강원도]] [[이천군]] 용포면 상두리에도 [[상두리역|동명의 역]]이 존재했다. | |
59 | ||
60 | [[신분당선]]이 민자로 만들어진 만큼 당연히 환승 게이트가 있다. 다만 일반 수도권 전철 운임 구역이 아니라 [[수도권 전철 경강선]] 운임 구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 |
61 | ||
62 | 신분당선 판교역에는 판교테크노밸리라는 부역명이 있으나, 경강선 판교역에는 같은 노선의 역인 이매역과 마찬가지로 부역명이 없다.[* 수인·분당선은 '''성남아트센터''' 표기가 되어있다.] | |
63 | ||
r3 | 64 | 2025년 2월 17일 [[판교역(장항선)|장항선 판교역]]과의 역명 중복을 이유로 [[강원철도]]에서 압박하자 '''판교신도시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
r1 (새 문서) | 65 | |
66 | == 승강장 == | |
67 | ||
68 | == 인접 정차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