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철도(비교)

r30 vs r31
......
3737인력 감축을 상당히 많이 행했다. [[왕십리역]]에 본사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 업무위탁역으로 격하된 것이 대표적 사례.
3838
3939그래도 교통비 인상을 거의 하지 않았다는 점이 있다. 정기권 제도와 특급열차 티켓리스 할인을 이용하면 철도청 시절 운임요금과 별 차이 없는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는 [[강릉선]]이 저렴한 요금으로도 흑자가 가능할 정도로 수요가 많기 때문이기도 하다.[* 사실 [[강릉선]] 개업 이전에는 지속적인 적자로 살인적인 운임요금을 받던 시절이 있으나 강릉선의 성공으로 정상화되었다.]
40
41== 특징 ==
42=== [[강원도]]내 유일 철도 회사 ===
43이 회사의 가장 큰 특징은 [[강원도]]라는 광역자치단체를 거의 사실상 독점한다는 것에 있다.
44
45그러나 강원도를 독점한다고 좋을 것이 없는게 강원도는 연선인구가 적고, 그마저도 감소 중에 있는 연선 사정이 열악한 동네이기 때문이다.
46이러한 점 때문에 [[남서울철도]]의 계열분리 이후 사세가 급격하게 약화되어 이용자의 만족도가 매우 낮았으나, [[강릉선]]이 개업하면서 숨통을 트이기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서 강원철도는 평창올림픽이 살린 회사라고 평가받는다.] [[동국철도]] 해산 사태로 수도권 서북부 통근 노선까지 운영하게 되어 더이상 열악한 회사라고 보기엔 어려워졌다.
47
48'강원'철도임에도 수도권 전철 노선의 꽤 많은 수를 운영하는데, 이는 강원도만으로는 회사 유지가 어려워 회사 유지 차원에서 수도권 통근 노선 일부를 배분받았다는 설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