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역(비교)

r30 vs r31
... ...
31 31
>1962년 11월 6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강릉역은 서울에서 영동과 태백의 험준한 산자락을 따라 6시간을 넘게 달려야 도착할 수 있던 곳이었다. 그러던 2017년 12월, 강릉역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서울역을 1시간 54분 만에 연결하는 강릉선이 건설되면서 첨단역사로 다시 태어난다. 아득히 높은 천장 아래 경포대의 해돋이, 50년 만에 핀 경포호 가시연이 그대로 재현되는 명품 갤러리로 돌아온 것이다. 새로운 강릉역은 야경의 아름다움이 더욱 특별하다. 어두운 밤하늘 아래 떠오르는 해돋이를 형상화한 역사는 강릉을 다녀간 여행객들에게 오랫동안 남을 추억이 될 것이다.
32 32
>----
33 33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34
[[경강선]],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강릉시]] 용지로 176 ([[교동(강릉)|교동]] 118) 소재.
34
[[경강선]],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강릉시]] 용지로 176 ([[교동(강릉)|교동]] 95-10) 소재.
35 35
36 36
[[강릉선]] 개업 이래 강원도내에서 이용실적이 두번째로 좋은 역이다.[* 첫번째는 [[남춘천역]]이다.][* 강릉역의 이용객은 연선인구가 더 많은 [[순천역(전남)|순천역]], [[목포역]]보다 많은 수치이다.]
37 37
38
사내에서도 [[청량리역]]과 더불어 가장 많이 밀어주는 역 중 하나이다. 수도권은 물론이고 저 멀리 [[경의고속선]]이 있는 신의주에서도 볼 수 있다.
39
40 40
동해선 열차는 속초발이나 울진발이나 대부분 이 역에서 시종착하나, [[동해역|동해]]발 열차는 [[주문진역|주문진]]까지 운행한다.
41 41
42
현재의 역사는 강릉선 개업과 함께 2017년 신축된 것으로, 이전에는 지역을 대표하는 역 치고는 매우 작고 열악한 모습을 보여줬다. 강릉역의 모습은 강릉선 이전과 강릉선 이후의 강원철도를 투영한다는 의견이 많다. 다른 강원도 주요 도시들과는 달리 보통열차는 2량으로 단편성 열차만 운행하지만 그럼에도 강릉선 이후 강원철도에서는 공을 들이는 역 중 하나이다.
43
44 44
== 승강장 ==
45 45
=== [[강릉선]]·[[치악산선]] ===
46 46
||<-8> 종착역[* [[동해본선]]과 연결되어 있다.] ||<-8> ↑ [[초당역|초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