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역(비교)
r10 vs r11 | ||
---|---|---|
... | ... | |
30 | 30 | >'''자연과 예술의 도시를 담은 갤러리''' |
31 | 31 | >1962년 11월 6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강릉역은 서울에서 영동과 태백의 험준한 산자락을 따라 6시간을 넘게 달려야 도착할 수 있던 곳이었다. 그러던 2017년 12월, 강릉역은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서울역을 1시간 54분 만에 연결하는 강릉선이 건설되면서 첨단역사로 다시 태어난다. 아득히 높은 천장 아래 경포대의 해돋이, 50년 만에 핀 경포호 가시연이 그대로 재현되는 명품 갤러리로 돌아온 것이다. 새로운 강릉역은 야경의 아름다움이 더욱 특별하다. 어두운 밤하늘 아래 떠오르는 해돋이를 형상화한 역사는 강릉을 다녀간 여행객들에게 오랫동안 남을 추억이 될 것이다. |
32 | 32 | >---- |
33 | >[[ |
|
34 | [[경강선]],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 |
|
33 |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
|
34 | [[경강선]], [[동해본선]]의 철도역, [[강원도]] [[강릉시]] 용지로 176 ([[교동(강릉)|교동]] 118) 소재. |
|
35 | 35 | |
36 | [[강릉선]] 개업 이래 강원도내에서 이용실적이 두번째로 좋은 역이며[* 첫번째는 [[남춘천역]]][* 강릉역의 이용객은 연선인구가 더 많은 [[순천역(전남)|순천역]], [[목포역]]보다 많은 수치이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역 등급이 직영역 1급으로 격상되었다.[* 인력 감축을 이유로 관리역을 대거 축소한 강원철도의 평소 행보와 반대되는 사례이다.] |
|
36 | [[강릉선]] 개업 이래 강원도내에서 이용실적이 두번째로 좋은 역이며[* 첫번째는 [[남춘천역]]이다.][* 강릉역의 이용객은 연선인구가 더 많은 [[순천역(전남)|순천역]], [[목포역]]보다 많은 수치이다.] 이러한 점으로 인해 역 등급이 직영역 1급으로 격상되었다.[* 인력 감축을 이유로 관리역을 대거 축소한 강원철도의 평소 행보와 반대되는 사례이다.] |
|
37 | 37 | |
38 | 사내에서도 [[청량리역]]과 더불어 가장 많이 밀어주는 역 중 하나이다. 수도권은 물론이고 저 멀리 [[경의고속선]]이 있는 신의주에서도 볼 수 있다. |
|
39 | ||
40 | 40 | == 승강장 == |
41 | 41 | === [[강릉선]]·[[치악산선]] === |
42 | 42 | ||<-8> 종착역[* [[동해본선]]과 연결되어 있다.] ||<-8> ↑ [[경포역|경포]] || |
... | ... | |
56 | 56 | ||<-6><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rowbgcolor=#f5f5f5,#373a3c> {{{#003da5 ■}}} [[강릉선]] || |
57 | 57 | ||<width=34%><-2><:>[[서울역|{{{-2 {{{#000,#fff 서울 방면}}}}}}]][br][[서원주역|서원주]][br]← 122.1 km[br][[만종역|만 종]][br]← 115.5 km||<width=32%><bgcolor=#003da5><-2><:>[[단오(열차)|{{{-2 {{{#fff [준고속] 단오[br][準高速] 端午}}}}}}]]||<width=34%><-2><:>{{{#gray 시종착}}}|| |
58 | 58 | ||<width=34%><-2><:>[[수서역|{{{-2 {{{#000,#fff 수서 방면}}}}}}]][br][[평창역|평 창]][br]← 56.6 km[br][[진부역|진 부]][br]← 40.3 km||<width=32%><bgcolor=#4d2e47><-2><:>[[메밀(열차)|{{{-2 {{{#fff [준고속] 메밀[br][準高速] 메밀}}}}}}]]||<width=34%><-2><:>{{{#gray 시종착}}}|| |
59 | ||<width=34%><-2><:>[[청량리역|{{{- |
|
59 | ||<width=34%><-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진부역|진 부]][br]← 40.3 km||<width=32%><bgcolor=#003da5><-2><:>[[오대산(열차)|{{{-2 {{{#fff [준고속] 오대산[br][準高速] 五臺山}}}}}}]]||<width=34%><-2><:>{{{#gray 시종착}}}|| |
|
60 | 60 | ||<-6><rowbgcolor=#f5f5f5,#373a3c> {{{#003d8c ■}}} [[동해본선]] || |
61 | ||<-2><:>[[ |
|
62 | ||<-2><:>[[ |
|
61 | ||<width=34%><-2><:>[[분천역|{{{-2 {{{#000,#fff 분천 방면}}}}}}]][br][[정동진역|정동진]][br]← 16.2 km||<-2><bgcolor=#00a495><color=#fff> [[동해산타열차|{{{-2 {{{#fff [특급] 동해산타열차[br][特急] 東海산타列車}}}}}}]] ||<|3><-2> {{{#gray 시종착}}} || |
|
62 | ||<width=34%><-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정동진역|정동진]][br]← 16.2 km||<-2><bgcolor=#3d99c2><color=#fff> [[태백산(열차)|{{{-2 {{{#fff [특급] 태백산[br][特急] 太白山}}}}}}]] || |
|
63 | ||<width=34%><-2><:>[[청량리역|{{{-2 {{{#000,#fff 청량리 방면}}}}}}]][br][[정동진역|정동진]][br]← 16.2 km||<-2><bgcolor=#f55839><color=#fff> [[모래시계(열차)|{{{-2 {{{#fff [임시특급] 모래시계[br][臨時特急] 모래時計}}}}}}]] || |
|
64 | ||<-2><:>[[옥원역|{{{-2 {{{#000,#fff 옥원}}}}}}]]{{{-2 {{{#000,#fff ·}}}}}}[[철암역|{{{-2 {{{#000,#fff 철암}}}}}}]] {{{-2 {{{#000,#fff 방면}}}}}}[br][[시동역|시 동]][br]← 6.4 km||<-2><bgcolor=#808080> {{{-1 {{{#fff 보통[br]普通}}}}}} ||<-2><:>[[속초역|{{{-2 {{{#000,#fff 속초 방면}}}}}}]][br][[경포역|경 포]][br]5.5 ㎞ →|| |
|
63 | 65 | ||<width=34%><-2>||<width=16%> ||<width=16%> ||<width=34%><-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