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분류:과천선]][[분류:안산선]][[분류:과천안산선]][[분류:수도권 전철 4호선]] |
---|
2 | 2 | ||<-2><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856a0>{{{#!wiki style="margin: 0px -5px" |
---|
3 | | [[남서울철도|[[파일:NS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
---|
4 | | [[남서울철도|{{{#ffffff 남서울철도}}}]]}}}|| |
---|
| 3 | [[서해철도|[[파일:SR_Wlogo.pn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
---|
| 4 | [[서해철도|{{{#ffffff 서해철도}}}]]}}}|| |
---|
5 | 5 | ||<-2><bgcolor=#293896>{{{#!wiki style="margin: 0px -5px" |
---|
6 | 6 | [[서울교통공사|[[파일:SeoulMetro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
---|
7 | 7 | [[서울교통공사|{{{#ffffff 서울교통공사}}}]]}}}|| |
---|
... | ... | |
---|
15 | 15 | || '''역 수''' ||25개|| |
---|
16 | 16 | || '''개통일''' ||1993년 1월 15일 || |
---|
17 | 17 | || '''노선기호''' ||'''{{{#00A4E3 GA}}}''' || |
---|
18 | | ||<|2> '''소유자'''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0856a0 남서울철도}}}]][*구간1 [[선바위역|선바위]] - [[오이도역|오이도]]] || |
---|
| 18 | ||<|2> '''소유자''' ||[[서해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0856a0 서해철도}}}]][*구간1 [[선바위역|선바위]] - [[오이도역|오이도]]] || |
---|
19 | 19 |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br][[서울교통공사]][*구간2 [[남태령역]]] || |
---|
20 | | ||<|2> '''운영자''' ||[[남서울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0856a0 남서울철도}}}]][*구간1] || |
---|
| 20 | ||<|2> '''운영자''' ||[[서해철도|[[파일:NS_logo.png|width=180&theme=light]][[파일:NS_logo_black.png|width=180&theme=dark]][br]{{{#0856a0 서해철도}}}]][*구간1] || |
---|
21 | 21 | ||[[서울교통공사|[[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theme=light]][[파일:서울교통공사 로고_White.svg|width=180&theme=dark]]]][br][[서울교통공사]][*구간2] || |
---|
22 | | || '''운용차량'''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br]남서울철도 341000호대 전동차[br]강원철도 341000호대 전동차[br][[남서울철도 6000계 전동차]] || |
---|
| 22 | || '''운용차량'''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전동차]][br]서해철도 341000호대 전동차[br]강원철도 341000호대 전동차[br][[서해철도 6000계 전동차]] || |
---|
23 | 23 | || '''차량기지''' ||[[시흥차량사업소]][br][[안산차량사업소]] || |
---|
24 | 24 | ||<-2><bgcolor=#00A4E3> {{{#fff '''노선 제원'''}}} || |
---|
25 | 25 | || '''노선연장''' ||40.4㎞|| |
---|
... | ... | |
---|
28 | 28 | || '''사용전류''' ||[[남태령역|남태령]]: 직류 1,500V [[가공전차선]]{{{-3 (T-bar식 [[가공강체가선]])}}}[br]{{{#!wiki style="letter-spacing: -1.5px" |
---|
29 | 29 | [[선바위역|선바위]] ↔ [[오이도역|오이도]]: 교류 25,000V [[가공전차선]]}}}{{{-3 (지상: 카테너리가선, 지하: R-bar식 [[가공강체가선]])}}}|| |
---|
30 | 30 | || '''신호방식''' ||US&S[* 현 히타치 레일 STS] [[열차자동제어장치|ATC]]{{{-2 (남태령역 ↔ 금정역)}}}[br] [[열차자동정지장치|ATS-S2]]{{{-2 (금정역 ↔ 오이도역)}}}[* 특이하게도 남태령역은 ATC 직류방식이고 선바위-금정 구간은 ATC 교류방식이다. 같은 ATC 신호장비이기는하지만 직류와 교류 두개로 나누어진다. ] || |
---|
31 | | || '''선로최고속도''' ||[[철도청 341000호대 전동차|철도청 전동차]], [[남서울철도 6000계 전동차]]: 110㎞/h[br][[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교통공사 전동차]]: 100㎞/h[* ATC 구간(남태령) 80㎞/h]|| |
---|
| 31 | || '''선로최고속도''' ||[[철도청 341000호대 전동차|철도청 전동차]], [[서해철도 6000계 전동차]]: 110㎞/h[br][[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서울교통공사 전동차]]: 100㎞/h[* ATC 구간(남태령) 80㎞/h]|| |
---|
32 | 32 | || '''지상구간''' ||[[금정역|금정]] ↔ [[오이도역|오이도]] || |
---|
33 | 33 | || '''지하구간''' ||[[남태령역|남태령]] ↔ [[범계역|범계]] || |
---|
34 | 34 | || '''통행방향''' ||[[우측통행]] ([[남태령역|남태령]])[br][[좌측통행]] ([[선바위역|선바위]] ↔ [[오이도역|오이도]]) || |
---|
... | ... | |
---|
41 | 41 | |
---|
42 | 42 | 1994년 4월 1일 기존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서울시내 구간]], [[과천선]], [[안산선]] 3개 노선이 당고개 ↔ 안산 직결 운행을 시작함으로서 현재의 수도권 4호선 통합 운행 계통이 확립됐다. 기존에는 과천선은 1994년 3월 31일까지, 안산선은 2003년 4월 30일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차량이 운행했으나 그 후로는 이들 구간에는 4호선 차량만 운행되고 있다. |
---|
43 | 43 | |
---|
44 | | 사용열차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철도청 341000호대 전동차]], [[남서울철도 6000계 전동차]]이다. |
---|
| 44 | 사용열차는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철도청 341000호대 전동차]], [[서해철도 6000계 전동차]]이다. |
---|
45 | 45 | |
---|
46 | 46 | == 건설 목적 == |
---|
47 | 47 | * '''경기 서남부와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 확충''' |
---|
... | ... | |
---|
64 | 64 | |
---|
65 | 65 | == 운행 환경 == |
---|
66 | 66 | === 안내방송 === |
---|
67 | | ||<colbgcolor=#d8bfd8,#3f263f> 운영사 || [[서울교통공사]] || [[남서울철도]] || |
---|
| 67 | ||<colbgcolor=#d8bfd8,#3f263f> 운영사 || [[서울교통공사]] || [[서해철도]] || |
---|
68 | 68 | || 한국어 || [[강희선]] || [[은영선]] || |
---|
69 | 69 | || 영어 ||<-2> [[제니퍼 클라이드]] || |
---|
70 | 70 | || 중국어 || 조홍매 || 연홍 || |
---|
71 | 71 | || 일본어 ||<-2> 도이 미호 || |
---|
72 | 72 | || 출발 BGM ||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일부) ||<|3> 비프음[* 삐- 삐- 거리는 2옥타브 도의 음높이로 송출한다.] || |
---|
73 | 73 | || 환승 BGM || [[풍년(음악)|풍년]] || |
---|
74 | 74 | || 종착 BGM || 서울교통공사 로고송 || |
---|
75 | | 한국어 안내방송 담당 성우는 2010년부터 2019년 중순까지 [[서울교통공사]]와 [[남서울철도]] 모두 [[강희선]]이었다. 같은 기간, 영어 안내방송 담당은 [[제니퍼 클라이드]]였다. 그 후 남서울철도는 안내방송을 은영선으로 교체했다.[* 남서울철도는 1호선을 제외한 서울교통공사와 직통하는 노선([[하남선]], [[송파하남선]] 등)에는 은영선 성우의 목소리가 송출된다.] 서울교통공사는 계속 강희선-제니퍼 클라이드의 목소리가 송출된다. 따라서 사당행과 사당발 불암산/진접행 직류전용 열차는 반드시 강희선, 제니퍼 클라이드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반면에 오이도 준쾌속, 불암산 준쾌속 열차는 반드시 은영선으로 송출된다. |
---|
| 75 | 한국어 안내방송 담당 성우는 2010년부터 2019년 중순까지 [[서울교통공사]]와 [[서해철도]] 모두 [[강희선]]이었다. 같은 기간, 영어 안내방송 담당은 [[제니퍼 클라이드]]였다. 그 후 서해철도는 안내방송을 은영선으로 교체했다.[* 서해철도는 1호선을 제외한 서울교통공사와 직통하는 노선([[하남선]], [[송파하남선]] 등)에는 은영선 성우의 목소리가 송출된다.] 서울교통공사는 계속 강희선-제니퍼 클라이드의 목소리가 송출된다. 따라서 사당행과 사당발 불암산/진접행 직류전용 열차는 반드시 강희선, 제니퍼 클라이드의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반면에 오이도 준쾌속, 불암산 준쾌속 열차는 반드시 은영선으로 송출된다. |
---|
76 | 76 | |
---|
77 | | [[남서울철도]] 전동열차 ([[철도청 341000호대 전동차]], [[남서울철도 6000계 전동차]])의 출입문 안내방송은 [[강희선]] 성우 안내방송을 계속 사용했으나 2020년 5월부터는 출입문 안내방송도 은영선으로 교체됐다. |
---|
| 77 | [[서해철도]] 전동열차 ([[철도청 341000호대 전동차]], [[서해철도 6000계 전동차]])의 출입문 안내방송은 [[강희선]] 성우 안내방송을 계속 사용했으나 2020년 5월부터는 출입문 안내방송도 은영선으로 교체됐다. |
---|
78 | 78 | |
---|
79 | 79 | 서울교통공사 1차분에서는 [[오이도역]] 종착은 서울교통공사 로고송이 하이라이트버전으로 송출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