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62 | 62 | == 특징 == |
---|
63 | 63 | 강원철도 시절 전통적인 주 수요처는 수도권 북부 통근수요와 동해안권 관광 수요였으며, 지금도 꽤 비중이 큰 편이다. 동부 지역 상수도 규제로 남서울철도가 있는 남부에 비해 발전이 더디었지만 수도권 서부 지역으로 사세 확장과 남양주 지역 신도시 개발로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다. |
---|
64 | 64 | |
---|
65 | | 쌍도교통의 영남권 구간을 인수합병 하면서 동해철도로 재편되었다. |
---|
| 65 | 쌍도교통의 영남권 구간을 인수합병 하면서 동해철도로 재편되었다. 역명판 등 안내판 디자인은 기존 강원철도 스타일로 바뀌었으나 노선기호 표시는 현상 유지되었다. |
---|
66 | 66 | |
---|
67 | 67 | 의외로 [[서해철도]]가 이 회사의 자회사였다.[* 기존 강원철도 시절 강원본부와의 극심한 갈등, 주도권 문제를 이유로 2004년 7월 30일 강원본부가 수도권지사, 대전충청지사의 출자를 단행하였다. 이 두 지사가 통합하여 [[남서울철도]]가 되었다.] 현재도 10% 정도의 지분을 가지고 있어 자회사였던 흔적을 보여준다. |
---|
68 | 68 | |
---|
69 | 69 | 외국어 안내가 상당히 부실하여 비판이 된다[* 인천공항선 인수 이후에도 크게 개선된 것이 없어 더더욱 비판받는 중이다.]. 대부분의 승차권 발권기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만 구색맞추기로 지원하는 경우가 많고, 일본어나 중국어는 안내는 거의 존재하지도 않는다. |
---|
70 | 70 | |
---|
71 | 71 | [[대한민국 철도청]] 출신 철도 회사 중에서는 본사 건물이 가장 작다. |
---|
72 | | |
---|
73 | | 철도청 민영화 당시 법인을 유지하고 있는 유일한 회사이다. |
---|
74 | 72 | |
---|
75 | 73 | === [[서울특별시]]와의 관계 === |
---|
76 | 74 | 서울특별시와의 관계가 매우 좋지 않기로 유명하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