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호역(비교)

r5 vs r6
......
3434== 여담 ==
3535[[정주영]]의 고향에 있던 역이다. 실제로 [[정주영]]은 [[일제강점기]] 아버지가 [[소]]를 팔고 받은 돈을 훔쳐서 [[경성부]]로 가출한 적이 있는데 이 역에서 기차를 타고 서울로 도망쳤다. [[6.25 전쟁]] 이후 [[시중호역]]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3636
37정주영의 고향에 있던 점 때문에 이 역이 [[동국철도]] 산하에 있을 시절에는 역명을 '정주영역'으로 개명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국철도가 해산되고 강원철도가 해당 구간을 운영하게 되면서 정주영역으로 개명될 가능성은 사라졌다.[* 이는 오랜 기간 현대자동차의 경쟁사인 대우자동차가 강원철도 자회사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상 강원철도의 버스회사 관동여객은 현대버스를 거의 운용하지 않으며, 대부분 신성교통 인수분이다.]
37정주영의 고향에 있던 점 때문에 이 역이 [[동국철도]] 산하에 있을 시절에는 역명을 '정주영역'으로 개명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이 때 자사의 모든 버스와 철도차량을 현대자동차, 현대로템 및 중국기업에서 전량 도입하고, 대우자차나 강원차량제조에서는 발주하지 않았기 때문에 갈등이 컸다.], 동국철도가 해산되고 강원철도가 해당 구간을 운영하게 되면서 정주영역으로 개명될 가능성은 사라졌다.[* 이는 오랜 기간 현대자동차의 경쟁사인 대우자동차가 강원철도 자회사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상 강원철도의 버스회사 관동여객은 현대버스를 거의 운용하지 않으며, 대부분 신성교통 인수분이다.]
3838
39이처럼 범 현대가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는 지역이지만 정작 지역내 대중교통 회사가 현대차의 경쟁사였던 특성상[* 현대는 [[쌍도교통]]에 대우자동차 지분을 전량 매각하였으며, 이러한 이유로 관동여객 시내부는 중국산 전기버스를 혼용한다.]현대자동차가 힘을 쓰지 못한다.
39이처럼 범 현대가에 있어서 큰 의미가 있는 지역이지만 정작 지역내 대중교통 회사가 현대차의 경쟁사였던 특성상[* 현대는 [[쌍도교통]]에 대우자동차 지분을 전량 매각하였으며, 이러한 이유로 관동여객 시내부는 대우버스와 중국산 전기버스를 혼용한다.]현대자동차가 힘을 쓰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