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역(비교)

r20 vs r21
... ...
99 99
100 100
== 승강장 ==
101 101
||<-12> ↑ [[고명역|고명]]/[[입석리역|입석리]] ||
102
||<width=10><bgcolor=#70AD47> {{{#ffffff 1}}} || │ || │ || │ ||<width=10><bgcolor=#B074D6> {{{#ffffff 2}}} ||<width=10><bgcolor=#808080> {{{#ffffff 3}}} || │ || │ || │ ||<width=10><bgcolor=#eb5c01> {{{#ffffff 4}}} ||<width=10><bgcolor=#B074D6> {{{#ffffff 5}}} || │ ||
102
||<width=10><bgcolor=#70AD47> {{{#ffffff 1}}} || │ || │ || │ ||<width=10><bgcolor=#00ab84> {{{#ffffff 2}}} ||<width=10><bgcolor=#808080> {{{#ffffff 3}}} || │ || │ || │ ||<width=10><bgcolor=#eb5c01> {{{#ffffff 4}}} ||<width=10><bgcolor=#00ab84> {{{#ffffff 5}}} || │ ||
103 103
||<-12> [[제천조차장역|제천조차장]] ↓ ||
104 104
105
||<bgcolor=#70AD47> {{{#ffffff 1}}} || [[충북선]] ||[[충주역|충주]]·[[청주역|청주]]·[[조치원역|조치원]] 방면 ||
106
||<bgcolor=#B074D6> {{{#ffffff 2}}} || [[태백선]] ||[[사북역|사북]]·[[태백역|태백]]·[[동해역|동해]] 방면[br]{{{-2 (직통 [[영월역|영월]]·[[정선역|정선]]·[[아우라지역|아우라지]] 방면)}}} ||
107
||<bgcolor=#808080> {{{#ffffff 3}}} ||<|2> [[중앙선]] ||[[단양역|단양]]·[[풍기역|풍기]]·[[영주역|영주]] 방면 ||
108
||<bgcolor=#eb5c01> {{{#ffffff 4}}} ||[[서원주역|서원주]]·[[양평역|양평]]·[[청량리역|청량리]] 방면 ||
109
||<bgcolor=#B074D6> {{{#ffffff 5}}} || [[태백선]]·[[정선선]] ||[[서원주역|서원주]]·[[양평역|양평]]·[[청량리역|청량리]] 방면 (특급 한정)[br]당역종착 ||
105
||<bgcolor=#70AD47> {{{#ffffff 1}}} ||[[충북선]] ||[[충주역|충주]]·[[청주역|청주]]·[[조치원역|조치원]] 방면 ||
106
||<bgcolor=#B074D6> {{{#ffffff 2}}} ||[[태백선]] ||[[사북역|사북]]·[[태백역|태백]]·[[동해역|동해]] 방면[br]{{{-2 (직통 [[영월역|영월]]·[[정선역|정선]]·[[아우라지역|아우라지]] 방면)}}} ||
107
||<bgcolor=#808080> {{{#ffffff 3}}} ||[[중앙선]] ||[[단양역|단양]]·[[풍기역|풍기]]·[[영주역|영주]] 방면 ||
108
||<|2><bgcolor=#eb5c01> {{{#ffffff 4}}} ||[[파일:DH-HC.png|width=17px]] [[중앙 쾌속선]] ||[[서원주역|서원주]]·[[양평역|양평]]·[[청량리역|청량리]] 방면 ||
109
||[[치악산선]] ||[[반곡역|반곡]]·[[원주역|원주]]·[[서원주역|서원주]] 방면 ||
110
||<bgcolor=#B074D6> {{{#ffffff 5}}} || [[태백선]] ||[[서원주역|서원주]]·[[양평역|양평]]·[[청량리역|청량리]] 방면 (특급 한정)[br]당역종착 ||
110 111
111 112
타는곳 5번 오른쪽으로 붙어있는 여러 유치선들은 충청지역의 여러 기관차와 객화차를 담당하는 [[제천차량사업소]]의 것이다.
112 113
113
1번 승강장을 제외한 나머지 승강장은 저상홈과 고상홈이 붙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고상홈이 상행 방면으로, 저상홈이 하행 방면으로 붙어 있다. 3, 4번 고상홈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114
== 인접 정차역 ==
114 115
115 116
== 대중매체에서 ==
116 117
[[1박 2일]] 2007년 초창기에 유명세를 탔다. '''1기 일원 [[김종민]], [[이명한(PD)|이명한 PD]]가 이 역에서 [[가락국수]]를 2분 동안 먹다가 [[1박 2일/2007년#s-5|낙오된 사건]] 때문.'''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본격화되기 전만 해도, 덕소역까지 복선화되었던 2005년 기준으로 무궁화호의 소요시간은 빨라도 2시간 반이었고 정차역이 많다 싶으면 3시간도 있었다. 덧붙여서 제천역에서의 정차시간도 긴 편이어서 대부분이 3분 이상 정차였다. 실제로 통일호 운행 당시에만 하더라도 제천역에 서 있는 동안 [[가락국수]] 먹고 오는 게 가능하도록(!?) 시각표가 짜져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다만 이견도 있는데 가락국수는 3분내로 먹기는 힘들며, 당시 태백선과 중앙선이 단선인 특성상 지연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여기서 지연을 회복하고 가라는 의도도 있다. 예를 들어 원래 10분에 도착, 13분에 출발하는 시간표인데 실제로는 2분 지연되어 12분에 도착했는데 승하차를 1분 내로하고 13분에 출발하면 그만큼 지연시간을 회복한다.] 그러다가 해당 방송분이 방송되던 때는 어느 정도 중앙선 복선화공사가 탄력을 받아서 진행되고 있었고 소요시간도 많이 단축되고 하던 때라 무궁화호의 제천역 정차시간은 2분이 대다수. 결국 김종민은 제한시간 압박을 극복하지 못하고 국수 먹다가 몇몇 스탭들과 같이 무궁화호가 떠나는 모습을 승강장에서 보게 되었다.[* 그 와중에 김종민 曰 "기차는 후진 안 되죠?"...이후에 목적지인 정선까지 [[택시]]를 타고 오긴 했다. 택시비는 [[강호동]]이 내는 거로 해서...] 참고로 여기에 나온 [[가락국수]]집은 이후 플랫폼에서 역 앞으로 그 위치를 옮겼으나, 판매가 부진하여 문을 닫았고, 뒤이어 '''그 자리에 있었던 [[가락국수]]집 건물 자체도 철거되고 공원과 주차장이 조성'''되면서 이런 광경은 옛 추억으로 남게 되었다. 다행히 역 앞 시장 쪽에 가락국수 집이 하나 생겨서 운영 중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