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역(비교)

r25 vs r26
1 1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808080><width=65px><bgcolor=#808080> '''{{{#ffffff {{{-1 폐역}}}}}}''' || '''제천''' - ~~[[장락역|[ruby(장락, 1967~2013)]]]~~ - ~~[[송학역(태백선)|[ruby(송학, ruby=1949~2013)]]]~~ - [[입석리역|{{{#000,#fff 입석리}}}]] ||
2 2
{{{+1 '''堤川驛'''[br]'''Jecheon Station'''}}}
3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DH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제천역}}}}}}'''||
3
||<)><-6><tablealign=right><tablewidth=360px><bgcolor=#00ab84><tablebgcolor=#ffffff,#2d2f34> [[강원철도|[[파일:KANGWON_Wlogo.svg|height=50&align=left]]]][[강원철도|{{{#fff 강원철도}}}]][br]'''{{{#fff {{{+2 제천역}}}}}}'''||
4 4
||<width=120px><-2><:>[[서울역|{{{-2 {{{#000000,#fff 서울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width=120px><-2><bgcolor=#eb5c01><:>[[중앙 쾌속선|[[파일:DH-HC.png|width=20]][br]{{{-2 {{{#fff 중앙 쾌속선[br]HC25}}}}}}]]||<width=120px><:><-2>{{{#gray 시종착}}}||
5 5
||<width=120px><-2><:>[[서원주역|{{{-2 {{{#000000,#fff 서원주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width=120px><-2><bgcolor=#26b589><:>[[치악산선|{{{-2 {{{#fff 치악산선}}}}}}]]||<width=120px><:><-2>{{{#gray 시종착}}}||
6 6
||<width=120px><-2><:>{{{#gray 시종착}}}||<width=120px><-2><bgcolor=#00ab84> [[태백본선|{{{#fff {{{-2 태백선}}}}}}]] ||<width=120px><:><-2>[[동해역|{{{-2 {{{#000000,#fff 동해 방면}}}}}}]][br][[입석리역(충북)|입석리]][br]13.7 km →||
... ...
112 112
타는곳 5번 오른쪽으로 붙어있는 여러 유치선들은 충청지역의 여러 기관차와 객화차를 담당하는 [[제천차량사업소]]의 것이다.
113 113
114 114
== 인접 정차역 ==
115
||<-3><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rowbgcolor=#f5f5f5,#373a3c> [[중앙 쾌속선]] [[파일:DH-HC.png|height=20]] ◀||<-3>▶ {{{#eb5c01 ■}}} [[중앙본선]] ||
116
||<width=34%><-2><:>[[서울역|{{{-1 {{{#000,#fff 서울 방면}}}}}}]][br][[서원주역|서원주]][br]← 47.5 km[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width=32%><bgcolor=#003da5><-2><:>[[소백산(열차)|{{{-2 {{{#fff [특급] 소백산[br][特急] 小白山}}}}}}]]||<width=34%><-2><:>[[동대구역|{{{-1 {{{#000,#fff 동대구 방면}}}}}}]][br][[영주역|영 주]][br]56.2 ㎞ →||
117
||<width=34%><-2><:>[[청량리역|{{{-1 {{{#000,#fff 청량리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width=32%><bgcolor=#003da5><-2><:>[[소나기(열차)|{{{-2 {{{#fff [특급] 소나기[br][特急] 소나기}}}}}}]]||<width=34%><-2><:>[[부전역|{{{-1 {{{#000,#fff 부전 방면}}}}}}]][br][[단양역|단 양]][br]22.4 ㎞ →||
118
||<width=34%><-2><:>[[청량리역|{{{-1 {{{#000,#fff 청량리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2><bgcolor=#f55839><:>[[죽령(열차)|{{{-1 {{{#fff [특급] 죽령[br][特急] 竹嶺}}}}}}]]||<width=34%><-2><:>[[부전역|{{{-1 {{{#000,#fff 부전 방면}}}}}}]][br][[단양역|단 양]][br]22.4 ㎞ →||
119
||<:><-2>[[서울역|{{{-1 {{{#000,#fff 서울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2><bgcolor=#eb5c01><color=#fff> {{{-1 특별쾌속[br]特別快速}}} ||<-2><:>{{{#gray 시종착}}}||
120
||<:><-2>[[서울역|{{{-1 {{{#000,#fff 서울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2><bgcolor=#eb5c01><color=#fff> {{{-1 통근쾌속[br]通勤快速}}} ||<-2><:>{{{#gray 시종착}}}||
121
||<:><-2>[[서울역|{{{-1 {{{#000,#fff 서울 방면}}}}}}]][br][[봉양역|봉 양]][br]← 6.9 km||<-2><bgcolor=#eb5c01><color=#fff> {{{-1 쾌속[br]快速}}} ||<-2><:>{{{#gray 시종착}}}||
122
||<width=34%><-2><:>{{{#gray 시종착}}}||<width=32%><bgcolor=#808080><-2><:>{{{-2 {{{#fff 보통[br]普通}}}}}}||<width=34%><-2><:>[[안동역|{{{-1 {{{#000,#fff 안동 방면}}}}}}]][br][[고명역|고 명]][br]3.9 ㎞ →||
123
||<-3><tablewidth=750px><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2d2f34><rowbgcolor=#f5f5f5,#373a3c><rowbgcolor=#f5f5f5,#373a3c> [[중앙 쾌속선]] [[파일:DH-HC.png|height=20]] ◀||<-3>▶ {{{#00ab84 ■}}} [[태백본선]] ||
124
||<width=34%><-2><:>[[청량리역|{{{-1 {{{#000,#fff 청량리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2><bgcolor=#0b6e3f><height=75> [[정선아리랑(열차)|{{{-1 {{{#fff [특급] 정선아리랑[br][特急] 旌善아리랑}}}}}}]] ||<width=34%><-2> [[강릉역|{{{-1 {{{#000,#fff 강릉 방면}}}}}}]][br][[제천역|제 천]][br]37.4 ㎞ → ||
125
||<width=34%><-2><:>[[청량리역|{{{-1 {{{#000,#fff 청량리 방면}}}}}}]][br][[남원주역|남원주]][br]← 37.4 km||<width=32%><-2><bgcolor=#3d99c2><:>[[태백산(열차)|{{{-1 {{{#fff [특급] 태백산[br][特急] 太白山}}}}}}]]||<width=34%><-2><:>[[강릉역|{{{-1 {{{#000,#fff 강릉 방면}}}}}}]][br][[제천역|제 천]][br]37.4 ㎞ →||
126
||<width=34%><-2>||<width=16%> ||<width=16%> ||<width=34%><-2> ||
127 127
128 128
== 대중매체에서 ==
129 129
[[1박 2일]] 2007년 초창기에 유명세를 탔다. '''1기 일원 [[김종민]], [[이명한(PD)|이명한 PD]]가 이 역에서 [[가락국수]]를 2분 동안 먹다가 [[1박 2일/2007년#s-5|낙오된 사건]] 때문.'''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가 본격화되기 전만 해도, 덕소역까지 복선화되었던 2005년 기준으로 무궁화호의 소요시간은 빨라도 2시간 반이었고 정차역이 많다 싶으면 3시간도 있었다. 덧붙여서 제천역에서의 정차시간도 긴 편이어서 대부분이 3분 이상 정차였다. 실제로 통일호 운행 당시에만 하더라도 제천역에 서 있는 동안 [[가락국수]] 먹고 오는 게 가능하도록(!?) 시각표가 짜져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다만 이견도 있는데 가락국수는 3분내로 먹기는 힘들며, 당시 태백선과 중앙선이 단선인 특성상 지연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여기서 지연을 회복하고 가라는 의도도 있다. 예를 들어 원래 10분에 도착, 13분에 출발하는 시간표인데 실제로는 2분 지연되어 12분에 도착했는데 승하차를 1분 내로하고 13분에 출발하면 그만큼 지연시간을 회복한다.] 그러다가 해당 방송분이 방송되던 때는 어느 정도 중앙선 복선화공사가 탄력을 받아서 진행되고 있었고 소요시간도 많이 단축되고 하던 때라 무궁화호의 제천역 정차시간은 2분이 대다수. 결국 김종민은 제한시간 압박을 극복하지 못하고 국수 먹다가 몇몇 스탭들과 같이 무궁화호가 떠나는 모습을 승강장에서 보게 되었다.[* 그 와중에 김종민 曰 "기차는 후진 안 되죠?"...이후에 목적지인 정선까지 [[택시]]를 타고 오긴 했다. 택시비는 [[강호동]]이 내는 거로 해서...] 참고로 여기에 나온 [[가락국수]]집은 이후 플랫폼에서 역 앞으로 그 위치를 옮겼으나, 판매가 부진하여 문을 닫았고, 뒤이어 '''그 자리에 있었던 [[가락국수]]집 건물 자체도 철거되고 공원과 주차장이 조성'''되면서 이런 광경은 옛 추억으로 남게 되었다. 다행히 역 앞 시장 쪽에 가락국수 집이 하나 생겨서 운영 중이다. 이후 승강장에도 강원철도에서 가락국수 판매점을 설치하였다. 제천역에서 중앙선-태백선 보통열차간 환승대기시간을 15분으로 꽤 길게 설정해두었는데 이는 보통열차로 장거리를 여행하는 여행객들이 중간에 가락국수를 먹고가라는 배려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