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경주역
(r9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택시 === [[경주시]]의 택시는 '''복합할증'''이 적용되어 요금이 매우 비싸므로, 이용에 신중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택시의 복합할증은 시내를 벗어난 읍면 지역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기 마련인데, 이는 [[경주시]]가 그런 거 없이 [[황성동(경주)|황성동]] 경주 예술의 전당 반경 5km 내에서 벗어나면, 동 지역이라도 무조건 복합 할증이 적용된다.[* 2019년 5월까지는 동부동 [[신한은행]] 경주지점 반경 4km였다. 택시 요금 인상으로 인해 바뀐 것.]. [[경주시]]의 택시 복합할증률은 '''55%'''인데, 이는 경주역에서 경주 시내로 출발하면 충효동 아파트단지가 보일 때쯤까지 할증이 붙어서 달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성동시장,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경주역(폐역)|옛 경주역]]까지 택시를 이용할 경우 평균 2만 원이 든다. 반면 경주역에서 10분 떨어진 동네인 [[충효동(경주)|충효동]]에서 성동동 [[경주역(폐역)|옛 경주역]]까지 택시를 탈 경우 할증 미적용 구간이니, 멀리 가 봐야 5,000원 정도다. 참고로 인근의 [[포항시]]도 복합할증률이 50%나 되며[* 다만 [[포항역]]은 할증 미적용 구간인 [[북구(포항)|북구]] [[흥해읍]]에 있어서 경주역마냥 택시비가 폭증하거나 하지는 않는 편이다.(포항시의 할증구간은 흥해읍, 연일읍, 오천읍을 제외한 읍면지역이다.)], [[울산광역시]]는 복합할증이라는 개념이 없다. 오히려 [[청주시]]가 비슷한 입장인지라, [[오송역]]도 복합할증 구간에 있다. 최종 목적지가 외곽지인 감포읍, 문무대왕면, 양남면, 외동읍, 안강읍, 강동면, 천북면 지역이라면 [[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시외버스터미널]]까지 버스로 이동한 후 해당 지역 방면 노선으로 환승하는 게 경제적이다. 경주시의 면적이 매우 넓으므로, 건천읍 화천리의 경주역에서 택시를 타고 위 지역으로 이동했다가는 '''택시 요금이 고속철도(수도권~경주) 요금과 맞먹거나 그 이상으로 치솟을 수 있다.'''[* 경주시의 면적은 1,324.95㎢로, 경상북도 내 시 단위 지역 중 [[안동시|안동]] 다음으로 크다. 걸어서도 얼마든지 다닐 수 있는 것은 옛 경주역 근처 시내 및 근처 유적지가 그렇고, 화천리의 현 경주역과 성동동의 옛 경주역, 그리고 보문관광단지같은 주요 관광지와의 거리는 각기 "차를 타도 30분은 잡아야 하는" 먼 거리다. 실제로 경주 시내와 감포는 차를 타도 40분은 족히 걸리는 먼 거리다. [[문무대왕릉]]은 39분, 주상절리는 50분 정도 걸린다.] 특히 외지 관광객들이 숙소에다 짐을 풀기 위해 [[보문관광단지]] 쪽으로 먼저 가는 경우가 많은데, 버스가 잘 오지 않는다는 이유로 현 경주역에서 택시를 탈 생각이라면 3만 원 정도 깨질 각오를 해야 한다. 보문단지 방면으로는 보문단지입구 삼거리에서부터 다시 할증이 붙는다. 일명 '''더블할증'''. 결과적으로 보문관광단지에서 내리면서 깨지는 돈은 '''최소 5만 원'''이다. '''얌전히 시내방면 일반버스를 타고 [[경주고속버스터미널|고속터미널]]에서 하차한 후, [[경주 버스 10, 11|10/11번]]을 기다려 보자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니다.''' 지금은 [[경주 버스 710|710번]]도 있으니 710번의 시간이 맞으면 가급적 타야 한다. 이제는 700번 막차가 2시 50분이라 경주역에선 어지간하면 710번을 타야 한다. 서면(아화), 건천읍 일대의 경우 2022년 8월 22일부터 [[경주 버스 302|302번]]이 들어오긴 하지만 1일 4회만 운행하므로 시간이 맞지 않으면 일단 터미널까지 간 뒤 [[경주 버스 300|300번]]을 타는 것이 낫다. 보통 23시 50분(월~목 50번, 금~일 51번 23시 30분)까지 터미널행 버스를 운행한다. 물론 터미널까지 간다 해도 시내버스는 이미 끊긴 지 오래지만, 터미널 하차 후 택시를 타서 목적지까지 이동한다면 적어도 2만 원 가량 절약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고속버스 서울경부-경주|서울 ↔ 경주]] 노선을 필두로 한 경주의 장거리 고속, 시외버스 노선이 울산만큼 타격을 받지 않은 이유 중 하나가 경주의 택시이기도 하다.[* 울산의 고속, 시외버스계는 [[울산역]]의 개업 후 매우 심하게 타격을 받았다. [[고속버스 서울경부-울산|서울 ↔ 울산]] 노선은 대거 감차당했고, [[고속버스 대전복합-울산|대전 ↔ 울산]] 노선은 심야우등 폐지에 코로나19라는 더블 펀치를 맞으며 운행이 중단됐다. 그 사이 대전 ↔ 울산 구간은 고속철도와 우등고속버스의 요금 격차가 크게 좁혀졌다.] 다만 대전방면은 선택지가 크게 줄었는데, 대전 ↔ 경주 고속버스 노선이 2015년 6월 1일에 폐지되어 현재 대전과 경주 시내를 한 번에 오갈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게다가 고속철도의 여파로 [[고속버스 대전복합-동대구|대전 ↔ 대구]] 노선과 [[고속버스 대전복합-울산|대전 ↔ 울산]] 노선도 폐지되거나 운행이 중단되어 타 고속/시외버스와도 환승할 수 없기 때문에, 대전 ↔ 경주 구간은 철도 외에는 선택지가 없다.[* 전 열차편 매진, 여러 이유로 인한 철도 마비같은 상황이 생기면 경주-대구서부-거창-대전이나 경주-동대구-청주-대전 식으로 버스로 갈 수도 있지만 두번이상 환승을 해야해 번거로우므로 철도가 마비되면 경주 ↔ 대전 이동은 거의 불가능해지게 된다.] 사실 복합할증의 취지는 [[도농복합시]]에서 도심에서 읍면 지역으로 택시를 타고 나가게 되면 높은 확률로 공차로 되돌아와야 하므로, 이에 따른 손실을 보전해주기 위함에 있다. 타 지자체는 읍면지역에서 도심으로 돌아오는 경우나 외곽의 기차역 등의 유동인구가 많은 곳으로 갈 때는 복합할증을 면제해주기도 하는데, 경주시는 반경 5km를 넘으면 무조건 할증을 부과하므로 현재의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