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경주역
(r9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 정보 == 2010년 11월 1일에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이 개통하면서 영업을 개시하였다. [[오송역]], [[신김천역]], [[울산역]]과 달리 [[광명역]], [[천안아산역]]과 함께 최초 계획부터 건설이 확정된 역[* 즉 2002년 한일 월드컵 보러 온 외국인들이 경주 관광을 [[KTX]]로 가능했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런데 결국 2002년 월드컵은 고사하고 월드컵이 두 번이나 더 열리고서야(2010년 월드컵 결승전 7월 11일) 개통했다. '''즉, 최초 계획한 시기보다 최소 8~9년이상 개통이 연기된 것이였다.''']이다. 개통 당시에는 경주 시내에서 아직 영업 중이었던 [[경주역(폐역)|구 경주역]]과 구분하기 위해 '''신경주역'''이라는 이름을 썼다. 원안은 [[형산강]] 일대를 경유하여 경주 시내를 통과할 예정이었지만,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6052700239101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6-05-27&officeId=00023&pageNo=1&printNo=23381&publishType=00010|문체부와 유네스코가 제시]]한 [[경주시]] 일대에 널려 있는 문화유산 훼손 논란 때문에[* 당시 계획됐던 역사 위치는 [[경주IC]] 인근 [[율동신호장|율동역, 서악동]] 북녘들 일대 중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199210150030517419|북녘들이 채택되었다가]] [[내남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945240?sid=103|근처로 수정 제안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동국대학교/WISE캠퍼스|동국대학교]] 근처로 통과할 계획이었다고 하는데 서악동 경유 시 예정 경로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경우 바로 인근에 [[무열왕릉]], [[경주 김유신묘|김유신장군묘]]가 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3754953|관련 기사]])] 1997년 1월 건설교통부에서 문체부의 건천안을 받아들여 현재의 위치로 최종 확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경주시내 경유를 주장한 건교부와 경주 외곽 우회를 주장한 문화체육부와의 대립 때문에 아예 '''고속철도 경주 제외 방안'''이 검토되기도 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5090400209102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5-09-04&officeId=00020&pageNo=2&printNo=22959&publishType=00010|#]] 지금도 국토교통부나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쪽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이때 경주 시내를 경유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하는 소리가 종종 나오지만, 결과적으로 [[중앙선]] 및 [[동해남부선]]이 복선전철화 과정에서 [[유네스코]]의 권고로 시외로 빠져나가게 된 점을 생각하면 [[전화위복]]인 셈이다.][* 당시 고고학계에선 시내 외곽만을 지나는 [[경부고속도로]]와 [[경주IC]] 건설 당시에도 고분 100개 이상이 파괴되었고 형산강 일대에도 많은 유물이 발견된다면서 건천안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울산에서는 울산시내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경주시]] [[내남면]] 혹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에 역을 건설해 달라고 요구했지만, [[남산(경주)|경주 남산]]의 훼손 가능성 때문에 반려되었다.[* 한편, 유적지로 인한 고속철도 경주 시내 통과 논쟁은 당시 [[청주시]]와 [[충청북도청]]의 주목을 받아 비슷한 논리로 [[호남고속철도]] [[공주역/문제점|공주시내 경유]], 즉 천안아산 분기를 반대하고 [[오송역/논란|오송분기를 옹호하는 데에]] 이용되였다.]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지어졌다. [[2022년]] [[11월 5일]] 기준 KTX·SRT 상행선은 토요일에 최대 38회, 하행선은 토요일에 최대 36회 정차한다. 금요일을 제외한 평일에는 상행 35회(월요일 36회), 하행 33회 정차한다. 건천연결선 완공 및 2015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흥해읍]] 이인리로 이전한 [[동해선]] [[포항역]]에 KTX가 운행되면서, 경주역은 [[경주시]] 주민들 만의 KTX 역사가 되어 수요가 상당히 줄어들게 됐다. 2016년 12월 9일부터 [[SRT]]가 운행을 시작하면서 경주역을 경유하는 [[서울역|서울]]행 열차가 대거 감축되었으나, 대신 [[수서역|수서]]행 열차가 신설되었다. 어차피 [[서울역]]이나 [[수서역]] 중 어디로 가더라도 [[천안아산역]] 이남까지는 운행 노선이 같다. 2021년 12월 28일부로 원래 [[경주역(폐역)|옛 경주역]]을 지나던 [[중앙선]]과 [[동해선]]이 복선 전철화 및 선로 개량과 더불어 이 역을 경유하도록 이설되었다. 정확히 말하면, 중앙선과 동해선의 분기점은 [[모량신호장]]으로 바뀌었고, [[청량리역]]에서 모량까지 내려온 중앙선 계통 열차가 경주역을 경유해 부전까지 운행하게 된다. 기존 동해선 및 중앙선이 지나치게 문화재와 가까워서, [[유네스코]]의 권고에 따라 문화재 보호 차원에서 이설한 것[* 실제로 경주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고도(도시)|고도]]로 [[이탈리아]] [[로마]] 못지않게 땅만 팠다 하면 문화재가 많이 나올 정도라 인프라 확충이 쉽지 않다.]이며, 이를 위해 일반열차 승강장도 미리 건설해 두었다. 역명은 경주역이라는 역명을 이어받지 않고 일단 신경주역으로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경주역으로 바꾸었을 때 역명판이나 팻말 같은 건 맨 앞에 신 자 하나만 없애면 되긴 하는데, 전산 상에서는 조금 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국가철도공단]] 외의 다른 지역이나 시내 교통 인프라들의 팻말에서도 또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당분간 '경주역'이라는 역명은 사용하지 않는다. [[KTX]]를 타면 동대구 ↔ 경주 사이에 걸리는 시간이 [[경주역(폐역)|옛 경주역]]이나 [[서경주역]]의 [[무궁화호]]와 비교해 1시간 10분에서 '''17분'''으로 단축되기 때문에 이용 고객이 상당히 많다. 이 경이로운 시간 단축은 KTX 자체의 속도 역시 이유 중 하나지만, 기존 [[무궁화호]] 열차가 [[중앙선]]과 [[대구선]]을 따라 돌아서 가는 바람에 이동 거리가 70km 이상 나왔던 것도 있다. 다만 경주 시내에서 경주역까지 차나 시내버스로 15 ~ 20분 걸린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자가용을 끌고 다니거나 택시를 타지 않는다면 버스와 비교해 시간적 이점이 많이 경감되는 것이 현실이다. 여담이지만, 시내까지 택시이용은 절대로 권장할 수 없다고 말할 수준이다. 경주역 앞 택시는 기형적인 복합할증으로 인한 과도한 추가요금이 발생한다. 이로인한 경주시민들과 이용객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심지어 비교적 이용요금이 비싼 보문단지행 아닌 시내권인 황리단길행이나 충효등 가까운 동네로 가는 손님을 태울때 발생하는 택시기사의 불친절 사례도 지속적으로 문제제기가 되고 있는 상황. 역 개통 직후엔 편의시설이라고는 그 흔한 공동망CD기가 하나도 없이 [[편의점]] 하나가 유일했다. 2010년 12월 말부터 패스트푸드점, 특산물 파는 곳, 커피 전문점 등이 차례로 생길 예정이라는 이야기가 있었고[* 2010년 12월 3일 뉴스데스크 [[포항문화방송|포항MBC]] 보도], 다행히 2011년 3월 기준으로 음료수 [[자동판매기|자판기]],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공중전화]]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음식점, 특산물 판매점도 영업하고 있다. 2025년 기준 역사내 롯데리아, 기소야, 별채반, 카페베네, 마성떡볶이 경주역점이 운영중에 있다. 2021년 12월 28일부터 [[경주역(폐역)|舊 경주역]]이 폐역되면서 이제는 경주역에서 [[무궁화호]] 등 일반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다. 2022년 11월 5일부터 [[동해선]] [[누리로]]가 운행을 시작하였고[* 1일 7회 운행한다.] 기존 [[무궁화호]]를 대체하여 [[동대구역]]-[[태화강역]]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2023년 12월 18일부터 [[동대구역]]-[[부전역(동해선)|부전역]] 간을 운행하는 [[ITX-마음]] 열차가 1왕복 정차를 시작했다. 2024년 12월 20일부터 [[청량리역]]-[[부전역(동해선)|부전역]] [[ITX-마음]] 2왕복 및 [[KTX-이음]] 열차가 3왕복 정차를 시작했다. 이로써 경주역은 KTX 청룡을 제외한 모든 고속열차, 준고속열차, 일반열차를 볼 수 있는 역이 되었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