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대구권 광역환승제
(r3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사 == * 2006년 2월 19일 : [[2006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과 동시에 대구 시내버스 - 대구 도시철도 무료 환승 실시(단독) * 2006년 10월 28일 : 대구-경산 [[공동 배차]] 시내버스 4개 노선([[대구, 경산 버스 509|509]], [[대구 버스 708|708]], [[대구, 경산 버스 814|814]], [[대구, 경산 버스 840|840]]) 대구 요금제 편입 : 당시(2004년 경) 경산의 시내버스 회사인 [[경산버스]]와의 마찰로 공동 배차 협약이 일방적으로 파기되어 두 지자체 간 관계가 험악해진 적도 있었다. * 2008년 11월 1일 : 구미 시내버스 환승할인 실시(단독) * 2009년 1월 17일 : [[2009년 경산 시내버스 개편]]과 동시에 대구 도시철도 - 대구 시내버스 - 경산 시내버스 환승할인 실시 * 2011년 2월 1일 : 환승제 조정 (승차 한 시간 무제한 → 첫 하차 30분 3회 → 첫 하차 30분 무제한) * 2011년 3월 1일 : 영천 시내버스 환승할인 실시(단독) * 2012년 3월 1일 : 김천 시내버스 환승할인 실시(단독) * 2015년 12월 1일 :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실시 * 2019년 8월 13일 : 대구-경산-영천 광역환승할인 실시 * 2021년 :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가 광역환승할인 공동 추진을 위한 용역 발주 * 2023년 7월 1일 : [[군위군의 대구광역시 편입]]으로 군위 버스 교통카드 제도 시행 및 대구 버스 요금제와 통합. * 2024년 4월 17일 : 9개 지자체가 △환승 시스템 구축 비용 △환승 요금 재정 지원 분담 기준 △교통카드 종류 △[[버스정보시스템]] 구축 등 세부 사항 및 실행 방안을 최종 합의.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240417010002547|#]] * 2024년 11월 22일: [[고령군 농어촌버스]]의 기본 운임이 대구권 광역환승제에 맞게 조정됨. * 2024년 11월 29일 : '''대구권 광역환승제 시범 실시'''[* [[구미시]], [[김천시]] 등 기존 광역환승 지역이 아니었던 지자체의 대중교통 요금이 기존 광역환승 지역과 동일하게 단일화됨. 정식 실시 전까지는 환승되지 않았음.] * 2024년 12월 9일 : [[청도군 농어촌버스]] 요금이 대구권광역환승제 요금으로 조정되어 동대구-풍각 5600원 동대구-석주사 3400원 가창중-청도 2900원이 전부 1500원으로 조정 * 2024년 12월 14일 : [[대경선]] 개통과 함께 '''대구권 광역환승제 정식 실시''' * 2025년 7월 1일 : 김천, 구미, 영천, 칠곡, 성주, 고령, 청도에서 70세 이상 무료화를 전면 실시한다. 경산은 대구와 같이 2024년 75세부터 연 1세씩 조정하여 2028년에 기준을 70세로 맞추기로 했기 때문에 빠졌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