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문래역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 정보 == [[1980년]] 문래역 공사 당시의 명칭은 '''문래3가역'''(文來3街驛)이었으며, 현재의 [[신도림역]]이 문래역이 될 예정이었으나 개통 전 신도림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http://www2.seoul.go.kr/snews/data/CN_MST/1983-972.pdf#page=7&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서울특별시고시 제326호]]][* [[http://www2.seoul.go.kr/snews/data/CN_MST/1983-989.pdf#page=8&view=FitV&scrollbar=1&toolbar=1&statusbar=1&messages=1&navpanes=1|서울특별시고시 제541호]]] 2호선이 들어오고 1980년대 중후반 ~ 1990년대 초반까지는 아파트 두어 동을 제외하면 공장 지대였다. 출입구는 총 7개로 1, 5, 6, 7번 출입구와 2, 3, 4번 출입구가 역사 양 끝에 자리해 있다. 4번 출입구가 [[홈플러스 영등포점]]과 연결되어 있고, 서울시립 문래청소년센터(구 YMCA)가 3번 출입구 쪽에 위치해 있다. 동네와 역 자체는 2호선치고는 그다지 인지도 있는 곳이 아니지만, 1호선 [[신도림역]], 5호선 [[영등포구청역]], 6호선 [[합정역]], 7호선 [[대림역]], 9호선 [[당산역]], 공항철도와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까지, 문래역 양 옆으로 환승객이 많은 환승역이 6개에 이어서 환승역이 끝난 지점들의 다음 역들인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과 [[구로디지털단지역]]은 비환승역이지만 이용객이 최상위권에 들어갈 정도로 많아서 러시 아워 때는 내리기 어렵다. 향후 신촌역은 [[서울 경전철 서부선]]과 구로디지털단지역은 [[신안산선]]과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강남역]], [[서울대입구역]], 영등포구청역과 더불어 원형 모자이크 타일 디자인이 들어간 역이었지만 리모델링으로 사라졌다. 외선 신도림행 열차를 타면 이 역 안내방송에서 대림 방면으로 가는 경우 이 역에서 후속 열차로 환승하라고 권유한다. 신도림행 열차는 신도림역에서는 중앙 순환선 승강장이 아닌 양 끝 종착 전용 승강장에 정차하기 때문에 대림 방면으로 가는 외선순환 열차로 환승하려면 승강장을 건너야 해서 문래역보다 불편하기 때문이다. 반대 방향 차량을 잘못 탔다고 내려서 게이트를 통과하려는 승객이 많은 편인데, 이럴 때에는 신도림역이든 영등포구청역이든 한 역만 더 가서 내리면 차량을 바꿔 타기 매우 수월해진다. 신도림역 본선 승강장이 [[섬식 승강장]]이기 때문에 영등포구청역보다는 신도림역이 반대 방향 열차로 갈아타기 수월하지만 러시 아워 때는 승강장이 매우 혼잡하다. [[서울 지하철 5호선]] 계획 당시 2호선과의 환승역을 문래역으로 하는 것도 검토했으나, 최종적으로는 [[영등포구청역]]으로 선정되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9031100239113007|「지하철 3-5호 路線확정」]], 조선일보, 1989-03-11] 자음동화를 반영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로마자 표기]](Mullae)에서 알 수 있듯이 [문래](Munrae)가 아닌 [물래](Mullae)로 발음한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