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수도권 전철 1호선
(r12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건설 목적 == * '''[[서울 전차|전차]] 폐지 후 과포화 상태가 된 [[사대문 안|서울 도심]]의 도로 교통 분산''' [[1기 지하철 계획|1기 지하철]] 및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의 건설 목적.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시절부터 서울 도심의 주된 대중교통 수단이었던 서울 전차가 1968년 차량 노후화와 누적되는 적자를 견디지 못하고 폐지되자 자연스레 버스를 비롯한 시내 도로교통이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러한 시내 교통 혼잡을 해결하고자 계획된 것이 서울 지하철 1호선이다. 실제로 1호선은 종로에서 동대문을 거쳐 청량리로 가는 서울 전차 본선의 선형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사실상 전차를 계승했다고 볼 수 있다. * '''서울 도심과 외곽 지역 연결 및 비효율적인 단거리 일반열차 대체'''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장항선]]의 전철화 목적. 서울 지하철 1호선을 기존 철도와 직결시키면서 서울시 외곽 베드타운과 인천시, 경기도, 충청남도 거주자들이 전철을 이용해 서울 도심으로 편리하게 통근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경인선의 경우 일반열차를 100% 광역전철로 대체함으로써 운영 비용과 소요시간을 절감하는 효과를 보았고, 경부선과 경원선의 경우 단거리 운행을 하던 [[비둘기호]]와 [[통일호]] 등 최하위 등급 열차들을 대체했다고 볼 수 있다. * '''[[광명역]], [[동탄신도시]]의 대중교통 접근성 개선''' 광명셔틀과 [[병점기지선]] 지선들의 신설 목적. 광명셔틀은 개통 초기 대중교통 접근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던 KTX 광명역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2006년 신설되었고, 병점기지선 [[서동탄역]]은 [[수서평택고속선]] [[동탄역]] 개통 전까지 근처를 지나는 철도가 하나도 없었던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신도시 서부 외곽에 2010년 건설되었다. 이후 [[동탄인덕원선]] 인입선을 활용해 병점기지선이 동탄역까지 연장되면서 신도시 중심부와의 연계도 강화되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광명역]]의 접근은 [[신안산선]] 및 [[경강선]]의 개통으로 인해 그 의미가 퇴색된 상태이며, 2023년 1월 1일을 끝으로 광명셔틀 열차는 폐지되었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