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스크린도어
(r1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개요 == [[도시철도]]나 [[광역철도]] [[승강장]]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닫혀 있지만, 열차가 오면 열차 출입문과 함께 자동으로 열리고 닫히는 문이다. 최근에는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등 버스 승강장에도 설치된다. 대표적으로는 [[바로타(BRT)]] 세종 구간에서 볼 수 있다. [[미국]]이나 [[중국]]이나 [[유럽]] 등지에서 찾아볼 수 있고, [[한국]]의 [[광교중앙역 환승센터]]와 [[잠실광역환승센터]]에도 버스 승강장 안전문이 있다. 일반 철도역에도 스크린도어가 적용된 사례가 있는데, 그 역은 바로 [[동탄역]]이다. 출입문 끼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문과 철도 사이의 길이가 넉넉하다. 전철과 일반 철도가 같이 정차하는 역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경우, 경의중앙선 왕십리역처럼 일반 철도가 정차할 때에는 일부 스크린도어만 열리거나, 서해선 김포공항역처럼 한쪽 방향으로만 열리는 슬라이드형 스크린도어도 있다.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에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면서 대부분의 사고는 예방하고 있다. 스크린도어가 없던 시절에는 경고목적으로 소리가 크고 시끄러운 열차 진입 멜로디를 사용했다.[* 현재는 대부분의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면서 일반적인 진입 멜로디로 바뀌었다.] 검지장치와 여닫는 문이 주요 구성 요소라, [[엘리베이터|승강기]] 회사에서 많이 손을 댄 분야이다. 한국에서 스크린도어 업체 중에 제일 잘 나가는 데가 현대무벡스로, 현대엘리베이터 SoC 사업부였으나 2017년 7월에 분사하여 독립 법인이 된 곳이다. 어느새 스크린도어가 [[엘리베이터]] 회사의 주력 제품으로까지 지위가 상승했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