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신이문역
(r5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 정보 == 개통 당시에는 현재의 북부 역사 역할을 하는, 승강장 북쪽 끝에만 선상역 형태로 맞이방이 있었고 출구도 1번과 2번밖에 없었다. 2004년 즈음에 이문차량기지의 시설을 활용해 대우아파트 쪽으로 통하는 3번 출구를 만들었고, 2007년 4월 15일 승강장 남쪽 끝에 남부 역사로써 새 맞이방과 출구(4번, 5번)를 만들었다. 새 역사를 크게 짓기에는 주변 땅이 부족해 선로 양쪽으로 난 4번과 5번 출구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즉, 4번 출구로는 동두천 방향, 5번 출구로는 서울역/인천 방향 승강장으로만 갈 수 있다. 4번 출구와 5번 출구 사이에 지하차도가 있어 왕래가 쉽다. 다른 역의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이 역의 스크린도어 개폐음이 특이하다. 이 개폐음은 과거 옛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의 스크린도어 설치 초기의 개폐음이다. 하행 막차가 일찍 끊긴다. 평일에는 23시 38분에, 주말에는 23시 37분에 구로행 막차가 이 역을 출발한다. 경사가 있어서 승강장 틈새가 매우 넓다. 그래서 2010년에는 [[서울지하철공사]] 시절의 구형 승강장 안내방송[* 1996년 부터 사용했었다.]인 "딩동댕~ 우리역은 전동차와 승강장 사이가 넓습니다. 타실 때 발이 빠질 염려가 있사오니 조심하시기 바랍니다."를 잠시 인용하였다.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에는 승강장 하부에 발빠짐 주의용 경보버저를 설치했었다.[* 한남역, 구 옥수역, 과천역, 삼송역 등 에도 설치했었다.] 이 역부터 청량리역까지 모든 역의 주역명이나 부역명은 대학 이름이거나 한때 대학 이름이었다: 신이문역 옛 부역명([[한국예술종합학교]]), 외대앞역([[한국외국어대학교]]), 회기역 옛 부역명([[경희대학교]]), 청량리역 부역명([[서울시립대학교]]) 등이다. 석계역을 건너뛰면 [[광운대역]]과 월계역 부역명([[인덕대학]])도 대학 이름이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