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안강역
(r4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구 역사 === 안강역 일대는 농촌 분위기를 풍기지만 [[포항시]]의 베드타운인지라[* 포항시에서 시내버스타고 가도 30분 이면 안강이 나오며 포항터미널 기준으로는 빠르면 20~25분이면 간다.] 아파트 단지라든가 거주 인구는 읍 치고는 많은 편이며, 공장도 꽤 많다 보니 수요가 꽤 되는 편이라 읍 단위 역들 중에는 유일하게 [[동해선]]을 운행하는 모든 열차가 정차한다.[* 똑같이 읍내에 있는 [[건천역]]의 경우 주변에 베드타운이 될 만한 곳이 없는 데다가(영천에서는 좀 멀고 경주에서도 아무리 빠르게 가도 15~20분은 잡아야 한다.) 인구도 좀 적어 1일 4회 운행하는 [[동대구역]] ~ [[포항역]]간 열차가 전부였다.] 더군다나 [[2015년]] 개통한 [[포항시]] [[북구(포항)|북구]] [[흥해읍]]의 [[포항역|신 포항역]]이 포항시 [[남구(포항)|남구]]에선 좀 거리가 있어서, 안강역이 이전하기 전까지는 남구 일대에서 [[포항 버스 600]]이나 직행버스를 타고 여기로 와서 일반 열차를 이용하는 수요도 조금은 있었다. 더 옛날에는 기계면 성계리에서 걸어서 오기도 했다.[* 실제로 안강과 기계는 [[68번 지방도]]로 바로 연결되어 있다.] 지금은 당연히 [[기계면]] 입장에서는 [[포항역]]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편하기 때문에 잘 이용하지 않는다. 그래도 가끔 영천이나 대구 방면으로 갈 때 이용하기도 했다. 2010년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양동마을]]에 갈 경우 철도 교통으로는 이 역이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다.[* 양동마을 바로 입구에 [[양자동역]]이 있으나, 폐역된지라 예외하며 관광객은 물론 경주시민들이나 포항시민들도 모르는 듣보잡 역이었다.] 역에서 양동마을까지 택시를 이용할 경우 약 5~10분 가량 소요되며, 버스를 탈 경우 [[경주 버스 203|경주 버스 203번]] 및 252번을 제외한 나머지는 마을까지는 대략 500m 가까이 떨어진 입구 쪽 정류장에 내려야 해서 걷는 시간을 합치면 약 15~25분 소요된다. 203번이나 252번을 타는 게 아니라면 택시를 이용하는 게 더 편하게 갈 수는 있으나, 안강읍 전 지역의 택시 바가지 요금이 심각한 점이 문제.[* 택시 요금 부분은 안강읍내 외에도 시내 복합할증제로 인해 경주시 전체에 해당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경주시/교통]] 문서의 택시 문단을 참조.] 이로 인해 경주시에 수많은 민원이 들어갔으나, 처리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