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운포역
(r3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역 주변 정보 == 개운포역 앞을 지나는 [[산업로(울산)|산업로]]는 구 [[31번 국도]]였다. 구 31번 국도는 [[태화강역]]을 거쳐서 [[북구청(울산광역시)|울산 북구청]] 앞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그러나 31번 국도가 [[두왕로]]로 변경 지정돼 구 31번 국도에 대한 [[국도]] 지정이 해제되었다. 그러나 이 역의 가장 큰 문제점은 주변에 이상할 정도로 시설이라 할 게 없다는 것이다. 공단과 주거지 사이의 완충녹지를 가로지르는 [[산업로(울산)|산업로]] 연선에 위치한 탓인데 있는 것이라고 해봐야 넓디넓은 도로와 근처에 있는 화물차휴게소, 장례식장, 골프연습장, 민가 몇 채, [[도살장|도축장]]과 석유화학공단 '''입구''' 정도다. 그나마 가까운 주거단지라 할 수 있는 [[상개동]]은 [[덕하역]]이 거리 면에서든 연계교통 면에서든 훨씬 가깝고,[* 상개동 주택단지에 정차하는 버스들은 많은데, 이들 전부 개운포역으로 꺾지 않고 덕하역으로 직진한다.] [[수암동]] 아파트 단지들은 함월산과 선암호수공원으로 막혀 있으며, 어느 정도 출퇴근 수요를 끌어올 수 있는 울산테크노파크도 연계교통이 덕하역에만 편중되어 있다. [[선암동(울산)|선암동]], [[야음동]] 주택가들도 직선거리로만 최소 1.5km 밖에 있다. 주변이 워낙 개발이 되지 않아서인지 후술할 [[덕하공영차고지]] 완공 전까지 이곳을 지나는 버스 노선 또한 [[울산 버스 235|235번]] 하나에 불과할 정도였다. 때문에 차라리 개운포역이 주거지와 가깝고 연계 버스가 충실한 선암동 행정복지센터 인근, 또는 야음장생포동 변전소사거리에 건설되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시에서는 이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다가 2020년 [[덕하공영차고지]] 완공을 기점으로 조금씩 개운포역 접근성 개선에 들어갔다. 2020년 7월 11일자로 [[덕하공영차고지]] 운영이 시작되며 원래 야음동 변전소종점에서 시종착하던 [[울산 버스 126|126번]], [[울산 버스 206|206번]], [[울산 버스 216|216번]]의 노선이 연장되어 개운포역을 경유하게 되었다. 이후 2021년 7월 31일부로 개운포역 버스정류장도 신설되어 환승거리가 짧아졌고 9월 4일자로 지선버스 [[울산 버스 926|926]]번이 추가로 경유하고 12월 11일자로 [[울산 버스 728|728번]], [[울산 버스 754|754번]]까지 경유하는 등 접근성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다만 같은 날부터 오래 전부터 경유하던 [[울산 버스 235|235번]]이 경유를 하지 않게 되었다. 다만 덕하차고지행 노선은 같은 이유로 [[덕하역]]도 경유하는데, 실제 이용 패턴이 어떻게 되는지는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을 듯. --그래도 [[달월역]]보다는 이용객이 많겠지.--] 현재 주 이용 패턴은 야음동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이 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주이다. 현재 이 역과 연계되는 모든 시내버스는 야음동을 지나가게 되어 있어 적긴 하지만 일부 야음동 주민들이 동해선을 이용할 때 위의 방법으로 많이 접근한다. 역 근처 마을이나 공장 등에 재개발이 일어나지 않는 이상 시내버스 환승 없이 오는 승객은 거의 없을 전망이다.[* 개운포역이 가지는 가장 큰 단점이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곳에서 환승없이 오기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역 주변 개발이 요원한 상황에서 이용객의 증원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인데 이를 해결할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환승없이 개운포역으로 올 수 있는 버스노선을 신설하는 것이다. 다행히 이용이 가능한 거리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와 상권이 꽤 분포되어 있어 전망은 나쁘지 않다. 현재 마을버스 923,923-1의 종점을 개운포 역으로 바꾸는 것이 손쉬운 방법이고 롯데마트-대명루첸-신정홈타운-대현초등학교-홈플러스-동부아파트-수암롯데캐슬-수변공원-야음초등학교-선암동행정복지센터-개운포역 정도의 신노선도 충분히 검토해 볼 만하다.] 그 외에도 타이밍 좋게 [[남부순환도로]] 미건설 구간인 상개 ~ 매암 구간이 2021년 1월에 개통하기도 했지만 구조상 개운포역 교통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을 전망이다. 다만 함월산에 터널을 뚫어서 선암IC와 연계한다면 선암동 수요를 조금은 끌어모을 수도 있다.[* 이를 염두에 둔 것인지는 불명확하지만, 개운포역 서쪽으로 지하차도가 하나 있는데 이 도로를 연장하면 선암IC와의 연계가 가능해진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