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도계역
(r5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여담 == 얼핏 봤을 때 도계읍에서 볼 것은 위 [[급수탑]]과 도계역 하나밖에 없어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알고 보면 도계역 주변은 나름대로 볼 것이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과거 탄광촌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고, 지금도 탄광촌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도계역 바로 뒤에 가행중인 탄광인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가 위치해 있다. 또한 도계역 뒷편 저탄장에는 폐석 운반용 [[강삭철도]]가 있다. 읍내 반대방향인 남쪽으로 가다 보면 도계전두시장 및 오십천변 까치발 건물들이 있고, 더 올라가면 비교적 최근에 폐광된 [[https://zomzom.tistory.com/5798|흥전갱 입구]]까지 갈 수 있다. 반대로 읍내쪽으로 가면 과거 광부사택이었던 [[https://zomzom.tistory.com/5674|장미사택]] 등과 천연기념물 95호 긴잎느티나무가 있다. 도계역은 강원도 남부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삼척시]]가 공동으로 조성한 트래킹 코스인 운탄고도1330 중 7길 종점이자 8길 시작점이다. [[내일로]] 예전에는 내일로 플러스를 끊은 사람들은 도계역 역사 직원 숙소에서 숙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숙소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숙박은 근처 모텔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 역에서 [[하이원추추파크]]로 가는 [[스위치백]]트레인이 운행이 2016년 1월 9일부터 시작되어 한동안 운행하였으나, 현재는 안전문제로 운행을 중단하고 있다. 현재는 스위치백 열차를 경험하려면 [[하이원추추파크]]에서만 가능하다. 혹시 경험하고 싶다면 [[하이원추추파크]]쪽으로 문의해보기 바란다. 도계역에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도계역, [[나한정역]], [[흥전역]] 스탬프가 매표소 앞에 비치되어 있다. 나한정역과 흥전역 스탬프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중 크기가 가장 큰 스탬프로, 가로 10cm, 세로 6.5cm이다. 나한정역과 흥전역 스탬프를 [[https://zomzom.tistory.com/5937|우편엽서에 찍은 사진]]을 보면 우편엽서의 절반에 육박하는 크기를 자랑한다.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 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일요일 기차를 타면 20대 청년들이 우르르 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