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6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도봉산역
(r23 문단 편집)
[오류!]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 개요 == >'''1986년 경원선 누원역으로 출발, 매해 1,000만 등산객이 찾는 역''' >도봉산역은 1986년 9월 2일 경원선 창동-의정부 구간 개통과 함께 누원역(樓院驛)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86년 9월 30일 신축된 역사는 254.35㎡ 규모의 철근 콘크리트 슬라브 양식 건물로 준공되었으며 1988년 1월 1일 국철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인근 도봉산 이름을 따서 도봉산역으로 변경되었다. 1996년 10월 지하철 7호선이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특히 산을 찾는 등산객들이 연간 1,000만 명 이상 이용하는 역으로 이용객들 편의를 위한 광장이 특징이다. 이 광장과 서울 창포원을 연결하는 보도육교가 설치되어있다. 자연친화적인 형태의 디자인과 아름다운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의 전경이 일품이다. >---- >[[강원철도]] 공식 소개 문구[* 여기서 누원역이 도봉산역으로 변경됐다는 잘못된 내용이 기록되었으며 경원선 개통시기 역시 1988년이 아니라 1986년이다.] * [[경원선]] KK13번.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서울)|도봉로]] 964-33 ([[도봉동]] 301-5) 소재. * [[서울 지하철 7호선]] 710번, [[도봉산포천선]] HD10번.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서울)|도봉로]] 964-40 ([[도봉동]] 38-3) 소재. 기후동행카드, 서울전용 정기권, 강원철도 서울 프리 티켓 등 서울시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승차권의 북쪽 경계역이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최북단 역이다. 7호선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경원선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경원고속선은 이 역 직전에서 분기한다.
사용자
216.73.216.6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