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기후동행카드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선불 ==== ||<-2><tablebordercolor=#5EC4AF><tablealign=center><colbgcolor=#5EC4AF><colcolor=#004098><rowbgcolor=#5EC4AF><rowcolor=#004098> 권종 || 충전금액 || 사용범위 || ||<-2><|4> '''30일권''' || 65,000원 ||<|2> 서울 내 [[서울 지하철|지하철]]·[[수도권 전철|전철]],[br]버스([[서울특별시 시내버스|시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마을]], [[심야버스(서울)|심야]]),[br][[따릉이]](2시간권) || || 58,000원[*청년할인 19~39세가 해당한다.] || || 62,000원 ||<|7> 서울 내 [[서울 지하철|지하철]]·[[수도권 전철|전철]],[br]버스([[서울특별시 시내버스|시내]], [[서울특별시 마을버스|마을]], [[심야버스(서울)|심야]]) || || 55,000원[*청년할인] || ||<|5> '''단기권''' ||<colbgcolor=#5EC4AF><colcolor=#004098> '''1일권''' || 5,000원 || || '''2일권''' || 8,000원 || || '''3일권''' || 10,000원 || || '''5일권''' || 15,000원 || || '''7일권''' || 20,000원 || * '''모바일 카드''' *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월 이용요금 '''계좌이체''' 충전[* 계좌 등록 시 오픈뱅킹 출금이체 동의 문자가 날라오며 보이스피싱 등의 사기 방지를 위해 은행에 따라 최대 3일간 카드 충전이 불가할 수 있다.] 및 '''신용·체크카드''' 충전 * '''실물카드''' * 충전은 서울 내 1호선(서울역~청량리역), 2~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충전기'''에서 가능 * 코레일, 공항철도, 신분당선 등에서는 충전 불가 * '''현금''', '''신용카드'''(IC/MS 결제), '''삼성페이'''로 결제 가능 * 현금 충전시 지폐 15매, 50원 15개, 100원 15개, 500원 10개로 최대 투입 수량 유의 * 결제 수단 선택 후 이전화면으로 되돌아가는 경우 사용 시작일이 충전하는 당일로 초기화 되므로 유의 따릉이 포함 권종을 발급받은경우,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카드번호 확인 → '[[티머니GO]]' 앱에서 카드번호 등록 → '티머니GO' 앱에서 따릉이 2시간권 발급을 누르면 된다. 카드 충전 시 30일권은 충전일을 포함한 5일 이내 사용개시일을 선택할 수 있다. 재충전은 만료일 4일 전[* 공식에서는 5일 전부터로 안내하나, 실물카드 기준으로 유효기간 만료 5일 전에 충전을 시도하면 충전 가능기간이 아니라는 오류메시지가 표출되며, 그 다음날인 만료 4일 전부터 충전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된다. 모바일 카드의 경우는 5일 전 재충전 가능여부 불명.]부터 당일까지 가능하며 재충전 시 사용기간이 30일 연장된다. 단, 권종 변경은 불가능하다. 단기권(1일권, 2일권, 3일권, 5일권, 7일권)은 카드 충전 시 바로 충전일부터 바로 사용 개시되며 사용개시일 선택은 불가능하다. 사용 기간은 사용개시일 포함 구매시 선택한 권종(1일, 2일, 3일, 5일, 7일, 30일)에 따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개시일 첫차(04시)부터 사용 종료일 막차(통상 사용종료일 익일 04시)까지 사용가능하다. 사용기간이 만료되었다면 최초 충전과 동일하게 사용개시일 및 권종 선택이 가능하다. 지하철과 버스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이 62,000원이고 [[따릉이]] 이용 시 3,000원이 추가된다. 기후동행카드의 따릉이 옵션이 기본 1시간이었을 땐 따릉이 정기권과 비교 시 1개월 기준으로는 따릉이 정기권 쪽이 5,000원으로 더 비싸지만, 6개월(15,000원) 이상부터는 더 쌌었다. 그러나 기후동행카드의 따릉이 옵션이 기본 2시간으로 확장되며 이런 비교가 무의미해지게 되었다. [[한강버스]]는 2025년 3월 부터 운행 예정이며, 1회 편도 요금이 3,000원이고 기후동행카드 68,000원권으로 무제한 탑승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따라서 1회 이상 탑승한다면 무조건 이득이다. 다만 현재 발표된 운행소요시간으로는 리버버스 자체를 이용해서 이득이 있는(효용이 있는) 경우는 흔치 않다. 낮은 접근성을 감수하고 굳이 어렵게 강가까지 나가야 되고, 소요시간은 비슷하거나 더 오래 걸리면서, 요금 비싼 9호선이라는 주장으로 요약된다.[* 실제로 마곡 - 합정 - 여의도 - 옥수 - 잠원 - 뚝섬유원지 - 잠실 루트 중에서 마곡 / 여의도 / 잠실은 9호선으로 오갈 수 있고, 급행 리버버스와 급행 지하철을 비교했을 시 지하철이 더 빠르다. 합정과 옥수, 잠원도 각각 당산 / 고속터미널에 내려서 2 / 3호선 환승으로 가는 것과 시간 차이가 없으며, 옥수-뚝섬 정도에나 시간적인 메리트가 약간 있지만, 3호선-고속터미널-7호선 루트랑 비교 시에 5분 남짓한 차이밖에 없다. [[환승저항]]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지만, 강가 선착장까지 접근하는 과정을 생각하면 오히려 리버버스쪽도 접근장벽은 만만치 않다. 예전에 대차게 말아먹었던 수상택시보단 요금이 저렴하다는 편에서 더 낫지만, 결국 접근성과 느린 속도라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해결하지 못했다.][* 솔직히 이런 한강을 이용한 수상 대중교통 시스템을 진지하게 생각했으면 적어도 시속 60~70km/h 이상으로 항해할 수 있는 급행선을 도입했어야 했다. 대낮의 [[강변북로]]와 [[올림픽대로]]를 쏘다니는 총알 택시보단 느리더라도 최소한 출퇴근시간대 한강변을 달리는 9호선과 경의중앙선보다는 빨라야 할 것이다.] 따릉이 권종 선택 시 따릉이는 이용 횟수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으나, 2시간 이용권이므로 2시간 이상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납 후 다시 빌려야 한다. 2시간을 초과하여 이용한다면, 따릉이 앱에 등록된 다른 결제수단에서 추가 요금이 자동결제된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갤럭시)을 이용한다면 실물카드보다 모바일 카드로 발급하는 게 편리하다. 실물카드는 발급비용 3천 원이 있고, 현금을 별도로 준비하여 충전해야 하며, 재고 소진 시 구매가 불가능하지만, 모바일 카드는 이러한 불편함 없이 발급비용이 무료이고, 계좌만 연동하면 쉽게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수로 서울 외 다른 지역에서 이용해도 잔액 또는 후불카드를 등록해 두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점이 있다. 그외에도 환불이 간편하고, 스마트폰 배터리가 모두 방전돼서 전원이 꺼진 상태에도 약 2시간은 이용할 수 있다. 자세한 이용 방법은 [[티머니]] 항목 "모바일 티머니" 참조.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