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기후동행카드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인천 1호선은 모든 역이 인천광역시에 있어서, 인천 1호선 연선 통근통학을 목적으로 기후동행카드를 쓸 수는 없다. 다만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여 인천 1호선을 경유할 만한 경우가 있다. 우선 [[부평구청역]]은 7호선 게이트로 하차가 가능하므로 [[부평구청역]]에서 내리거나, 7호선으로 환승하여 인근 7호선 역에서 내리는 경우이다. 또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 하차가 가능해지면서 서울 서남권 1호선/7호선 구역(혹은 7호선 광명시 구역)에서 1호선/7호선→부평/부평구청→계양→인천공항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가능하다.[*인천공항 7호선 권역 ~ 인천공항 이동은 서해선을 경유하여 부천종합운동장 - 김포공항 경로를 이용해도 되지만 부천종합운동장역과 김포공항역은 서해선 승강장이 깊이 있어 환승 고저차가 심하고 환승 거리도 긴 막장환승이며 김포공항역은 환승 인원도 많다. 또한 서해선은 배차 간격도 길다. 반면 부평구청역과 계양역은 개념환승에 속한다.] 인천 1호선을 정기적으로 이용할 만한 경우는 매우 제한적인데, 서울 서남권 1호선/7호선 구역(혹은 7호선 광명시 구역)에 거주하며 인천국제공항이나 공항 근처 시설에 직장이 있어서 정기적으로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역]]까지 이동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인천국제공항 구간은 하차만 가능하므로 서울/광명시→인천공항 경로에서만 이용할 수 있고 반대는 불가능하다. 하지만 인천국제공항까지 이동할 경우 공항철도 요금제 특성상 운임이 높기 때문에, 편도 요금만 아끼더라도 정기적으로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쓰는 것이 이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역]]에서 [[인천공항2터미널역]]으로 출퇴근할 경우, 편도 운임은 4,850원이며, 중간에 [[영종역]]에서 하차 태그 후 승차 태그하는 꼼수를 쓴다면 요금이 250원 저렴해져서 4,600원이다. 이 경우는 한 달에 14번만 출퇴근하더라도 편도 요금이 64,400원이 나오므로 월 62,000원인 기후동행카드를 쓰면 이득이 될 수 있다.] 이 때 1호선→부평→계양→인천공항 혹은 7호선→부평구청→계양→인천공항 경로로 간다면 기후동행카드를 쓰고도 인천 1호선을 경유해서 갈 수 있다.[*인천공항] 그러나 이 경우, K-패스를 쓰는 것이 더 유리한 경우도 있으므로 한 달 총 요금을 계산해 보고 기후동행카드를 쓸지 K-패스를 쓸지 결정해야 할 것이다. 위 경우가 아닌데 인천 1호선을 정기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사람은 인천전용 [[정기권]]이나 K-패스를 쓰는 것이 낫다. 노선이 서울시 경계에 근접해 있어 정기적으로 이용할 만한 사례가 있는 서해선과는 달리, 기후동행카드를 써서 인천 1호선을 경유했을 때 시간적/동선적으로 이득이 되는 경로는 상술한 공항 직원이 아니라면 마곡나루/디지털미디어시티→부평구청 등처럼 극히 제한적이며, 그나마도 대부분 환승 게이트를 피하기 위해 편의점을 통과해야 한다는 편법을 사용해야 하는 데다가, 한 방향으로만 하차가 가능하다. 따라서 아래의 내용은 상술한 인천공항 직원이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기후동행카드를 주로 쓰는 사람이 어쩌다 부평구청역이나 근처 7호선 하차 가능 역, 혹은 인천국제공항 등에 가야 하는데 편도 요금이라도 아끼고 싶을 때, 혹은 특정 목적지에서 내리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철도 동호인|열차를 타는 것 그 자체가 목적인]] 때처럼 극히 제한적인 상황에서 참고하는 것이 좋다. 단, 계양역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써서 편의점으로 우회 환승하는 것은 부정승차에 해당한다. 따라서 위 서술에서 기후동행카드로 계양역에서 환승하는 경로는 부정승차이며, 서해선 등으로 우회해야 한다. 단 실질적으로 단속이 잘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현재 인천 1호선에서 기후동행카드의 사용 조건은 다음과 같다. * 기후동행카드로 인천 1호선 자체의 {{{#FF0000 승하차는 불가능}}}하다. * 모든 환승역은 환승 게이트가 없거나, 있더라도 우회 경로가 있어서 물리적으로는 {{{#008000 환승이 가능}}}하다. * [[부평구청역]]은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구간에서는 하차만 가능한 구간에 속하며 환승 게이트가 없으므로,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구간으로 넘어가서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게이트를 통해서 하차할 수 있다. 승차나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게이트를 통한 하차는 불가능하다. * [[계양역]]에는 통과가 불가능한 환승 게이트가 있고, 인천 1호선과 공항철도 구역에 모두 출구가 나 있는 편의점(2024년 10월 현재 GS25)이 있으므로 해당 편의점을 통해 가면 게이트 통과 없이 환승이 가능하나, 이는 부정승차에 해당한다. 너무 이르거나 늦은 시간이면 편의점이 문을 닫아서 환승이 불가능하다. 또, 물건을 구매하지 않고 환승만을 목적으로 업장에 반복적으로 출입하는 것은 엄밀히 말해 영업 방해이므로 유의해야 한다. * 인천공항 하차가 가능해지면서 서울 서남권~부평역/부평구청역~계양역~인천공항을 통한 이동도 가능해졌으며 이는 계양역 편의점을 경유하면 이용이 가능하다.[*인천공항] 단 이 경우도 부정승차에 해당한다. 이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예시가 나온다. * 기후동행카드로 물리적으로는 {{{#008000 이용 가능한}}} 인천 1호선 경유 경로의 예시 * 용산역 1호선 경인선 급행/특급 탑승 - 부평역 인천 1호선 환승 - 부평구청역 인천 1호선에서 내린 후 7호선 게이트를 통한 하차[* 1호선 완행으로도 가능하지만, 완행은 온수역에서 7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더 빠르다.] * 마곡나루역 공항철도 탑승 - 계양역 인천 1호선 환승^^(환승 게이트 통과하지 않고 편의점 통과해서 환승)^^ - 부평구청역 인천 1호선에서 내린 후 7호선 게이트를 통한 하차 * 철산~온수역 7호선 탑승 - 부평구청역 인천 1호선 환승 - 계양역 공항철도 환승^^(환승 게이트 통과하지 않고 편의점 통과해서 환승)^^ -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역 하차[*인천공항]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