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기후동행카드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단점 및 불편사항 == *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결제 시스템(티머니 기반)이지만 스마트폰에 기본으로 탑재된 전자지갑 앱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특히 국내용 [[삼성 월렛]]은 [[K-패스]]를 지원하나, 기후동행카드는 지원하지 않아 삼성 월렛에 등록할 수 없다.[* 본래 정기권은 지원한 바 없다.] * [[한국철도공사]]의 시스템 개발이 지연되어 당초 시행 예정이던 2024년 1월 중 코레일 구간 이용이 불가능할 것으로 알려졌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274281?sid=102|#]] 이후 혼란을 줄이기 위해 시행일을 1월 27일로 연기하였다. 또한 인천, 김포등 일부 수도권 구간도 즉시 연동되지 않고 추후 연동 예정이다. * [[신분당선]] 등 요금 체계가 다른 일부 전철 노선들에서 이용이 불가능하다. * 코레일 구간은 승하차가 가능한 곳임에도 불구하고 역사내 무인충전기로 충전이 불가능하다. * 또한 비역세권 거주지역은 버스 기본요금을 내고 충전하러 가까운 역으로 가야하는듯 불편함이 있다. *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수도권 전철 경춘선]] [[굴봉산역]] ~ [[춘천역]] 구간.], 충청남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성환역]] ~ [[신창역]] 구간.]에서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 이 문제는 특히 서울시 관할 대중교통이 전무한 서울시 지역에서 도드라진다. 가령 [[광장동]] 일대는 서울버스나 도시철도 없이 오로지 [[경기도 시내버스]] 뿐인데, 이 곳 사람들이 기후동행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면 일단 걸어서 [[광나루역]], [[강변역]] 일대까지 가든지 해야한다. 눈 앞에 버스들을 보고도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이 펼쳐지면 해당 주민들에게는 세금만 세금대로 떼이고 혜택은 못누리는 역차별이 발생한 셈이다. 또한 경인로 구간과 같이 [[부천 버스 88|경기도 버스]]가 강세인 지역 역시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부천버스]] 노선들을 제외한 순수 서울버스 노선들은 [[서울 버스 160|160번]]과 [[서울 버스 6637|6637번]]을 제외하면 평균 배차가 10분을 넘어가며, 특히 [[오류동(구로구)|오류동]] 지역에서는 160번이 없으면 서울버스 노선 타기가 매우 불편한 상황이다. 그나마 [[고척 스카이돔]]부터는 [[서울 버스 600|600번]]도 합류한다지만 이미 [[고척동]]에서 거의 모든 손님들을 싹쓸이하고 온 상황이기에 수월하게 타기 어려운 노선이다.] * 하지만 서울동행버스를 시작으로 서울시 대중교통의 경기도 진입 노선에 대해서도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힌 뒤 일부 경기 지역[* [[파주시]], [[의정부시]], [[구리시]], [[성남시]], [[과천시]], [[의왕시]], [[광명시]], [[군포시]], [[안양시]], [[부천시]], [[고양시]], [[하남시]], [[양주시]], [[남양주시]] 등.]에서 운행 중인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는 경기도 내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군포시]]의 예를 들면, 서울 시내버스가 운행하는 [[수리산역]], [[산본역]]에서 [[남태령역]]이나 [[사당역]]까지 [[서울 버스 540|시내버스]]로 이동 후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다. * [[인천광역시]]와의 호환 문제는 [[유정복]] 시장과 합의가 되어 이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단, 2024년 5월 기준으로는 여전히 미지원 상태이며 인천에서도 이용할 수 있는 별도의 이용권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언론은 보고 있다. * [[경기도]]와의 호환 문제는 협의를 계속 진행해나가기로 하였으나, 결국 [[경기도청]]과 협의하는 대신[*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국민의힘]],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더불어민주당]]으로 둘이 소속 정당이 달라서 합의가 불발됐다. 오세훈 시장과 같은 당인 [[유정복]] [[인천광역시장]]([[국민의힘]])과는 기후동행카드 별도 요금제를 시행하기 위해 준비 중이다. 또한 소속 정당을 떠나서 경기도 산하 기초자치단체마다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각 기초자치단체와 개별적으로 협의할 수 밖에 없다.] [[서울특별시]]가 각 [[기초자치단체]]와의 개별협상을 진행하게 되었으며 우선적으로 [[김포시]], [[군포시]], [[과천시]], [[고양시]], [[남양주시]], [[구리시]]가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하게 됐다. 이를 비추어 볼 때 [[서울특별시]]와 인접한 [[성남시]][* [[서울 지하철 8호선]] 성남시 구간에서도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가능하다. 사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광주대단지 사건]]이라는 역사적 비극이 있다. 오래 전에 서울시가 성남시민들에게 대죄를 지은 적이 있어서 시외 구간임에도 8호선 성남시 구간을 서울시 자본으로 건설됨 점을 토대로 기후동행카드도 출범 초기부터 바로 쓸 수 있도록 해준 것으로 풀이된다.], [[광명시]], [[하남시]] 등에서 경기도를 거치지 않고 서울특별시청과 개별적으로 기후동행카드 참여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단, 광명시는 광명시장 [[박승원]]의 당적이 [[오세훈]]과 다른 [[더불어민주당]]이기 때문에 협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잘보면 서울시에서 기후동행카드 시행에 이르는 경기도 [[기초자치단체]]들은 전부 '''국민의힘 단체장'''([[고양시장]]: [[이동환(1966)|이동환]], [[과천시장]]: [[신계용]], [[김포시장]]: [[김병수(1970)|김병수]], [[군포시]]장: [[하은호]], [[남양주시장]]: [[주광덕]], [[구리시장]]: [[백경현]]. 모두 [[국민의힘]] 소속. [[인천광역시장]] [[유정복]]도 국민의힘 소속이다.)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 [[광주대단지 사건]]의 아픔이 있는 [[성남시]] [[성남 본시가지|본시가지]] 주민들은 이번에도 기후동행카드의 간접적 혜택을 보게 되었다. [[수도권 전철 8호선]]과 [[서울 버스 303]] 등 서울 면허 버스가 원도심 곳곳을 돌아다니기 때문이다. 또한 [[서울 버스 422]](9403번의 형간전환 노선)가 개통되어서 [[분당신도시]] 및 [[판교신도시]] 주민들도 기후동행카드의 간접적 수혜가 가능하다. 이를 테면, [[분당구]] [[구미동(성남)|구미동]]([[미금역]])이나 [[백현동]]([[성남역]])에서 422번을 탑승 후 [[모란역]]에서 [[수도권 전철 8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 이후 서울 광역버스의 간선버스 전환으로 새로이 혜택을 받은 지역(고양시 일부(9701>[[서울 버스 707|707]]), 분당(9403>[[서울 버스 422|422]]) 등)도 있으나, 반대로 2024년 8월부터는 [[서울 버스 106|106번]], [[서울 버스 542|542번]], [[서울 버스 704|704번]], [[서울 버스 773|773번]] 등 다수의 경기도 유출입노선을 폐선하거나 단축하면서 기존에 기후동행카드로 접근 가능했던 지역이 줄어들고 있다. 만약 경기도에서 서울시의 시계외노선에 의존해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자신이 이용하는 노선의 폐선/단축 계획을 확인하고 서비스 범위에서 벗어나기 전에 K-패스(The 경기패스) 등으로 전환할 준비를 해야 한다. * [[모바일티머니]]의 기후동행카드는 안드로이드 12 버전을 요구하여, 그 이전 기종에선 기존 모바일 교통카드는 사용이 가능하더라도 기후동행카드는 발급·사용할 수 없다.[* 게다가 모바일티머니는 인식이 잘 안되는 오류가 있기 때문에, 여러 번 태그해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서울 버스는 티머니 정식 지역이라 오류가 적다는 것 정도.] * 심지어 '''해외용 삼성전자 단말기'''나 타사 Android 단말기는 위 조건을 모두 만족한다고 해도 화이트리스트에 단말기가 등록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SIM SE를 지원해도 사용할수가 없다. 추가로 티머니 앱은 신규가입도 SIM SE 지원 단말중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단말만 가능한 것도 문제이다.[* 이때문에 모델명을 변경하여 신규가입을 해야한다.] * 티머니 카드를 갤럭시 워치에 등록할 수 있으나 기후동행카드는 등록이 안된다. K-패스는 후불형 티머니를 등록하여 이용할 수 있다. * 서울대공원에 있는 서울동물원, 테마가든, 스카이리프트는 기후동행카드 할인 및 사용이 가능하나 [[서울랜드]] 등 그 이외의 공간에서는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불가'''하다. * 서울랜드 - 민영(한일시멘트) * 국립현대미술관 - [[문화체육관광부]] 관할 국영 * 코끼리열차 - 민자(동원) 현재 서울대공원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사용 및 할인되는 곳은 서울동물원, 테마가든, 스카이리프트 뿐이다. 코끼리열차는 현재 동원 계열에서 민자로 운영중이라 불가하며 서울랜드는 한일시멘트 민자 운영으로 역시 불가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