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남서울판교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신분당선]]과 [[수도권 전철 경강선]], [[모란광주선]]의 환승역이다. 판교신도시 중에서도 동판교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중부내륙선]] [[KTX]]가 2023년 12월 28일 첫 차부터 운행을 시작했다. 외부 출입구[* 신분당선의 출입구 양식을 따르며, 신분당선과 경강선 노선의 스티커가 붙어 있다.]와 대합실을 신분당선과 경강선이 공유하는 통합역사이다. 역무실 역시 신분당선 시절 역무실의 일부를 쪼개어 [[남서울철도]]와 나누어 쓰고 있다.[* 이 역 뿐만 아니라 [[지축역]] (운영권은 승강장 기준 [[강원철도]]/[[서울교통공사]] 4:6 비율이지만 역무는 2013년부터 서울메트로(현 서울교통공사)가 통합 관할), [[강남구청역]] 등 사례는 많다.] 판교역은 경강선과 신분당선의 통합 역사로 쓰도록 계획되어 있었다. 신분당선과 경강선 모두 동일한 출입구와 대합실을 경유하므로 남서울판교역에 하차할 계획이라면 어느 게이트를 찍고 나와도 동일한 대합실로 나오게 된다. 다른 신분당선 환승역과 마찬가지로 신분당선 이용 여부를 떠나 단순히 환승 게이트만 통행하는 것은 지불할 운임 총액에 변화를 주지 않으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 다만 굳이 환승 게이트를 경유해서 다른 운영사의 게이트를 찾아갈 필요가 그다지 없다. 신분당선의 경우 내리자마자 [[바로타(역 구조)|바로타]] 구조로 환승 게이트가 보이기 때문에 오인할 소지가 있지만 어느 방향으로 가든 나가는데는 문제가 없다. 보통 지하역이 대로변을 끼고 역을 설계하는데 비해 판교역은 특이하게도 블럭 한가운데 떡하니 위치해 있다. 동서남북 4방향 출구가 있는데 각 출구에서 대로까지 나가려면 걸어서 1~2분 정도 소요된다. 이렇게 역을 설계한 이유는 LH가 판교신도시를 계획하면서 남서울판교역을 끼고 알파돔시티라는 거대한 주상복합단지를 예정하고 있는 부지였기 때문. 이 알파돔시티는 규모가 PF만 5조원대에 이르는 거대한 사업이다. 2022년 5월 현재 알파돔시티의 6-1 블록 (카카오아지트)과 6-2 블록 (테크원타워), 6-3 블록 (알파돔타워), 6-4 블록 (그레이츠 판교)이 모두 완공되어 여러 회사들과 상업 시설이 입점해 있는 상태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송도국제도시 구간처럼 신도시에 교통 인프라를 선 투자한 것으로, 처음에는 욕 얻어먹을 지 몰라도 나중에 신도시가 완성되면 급속도로 정착시킬 수 있는 방식이다. [[김포시]] 한강신도시, [[수원시]] 광교신도시와 대비되는 부분. 역세권은 출구 방향 순서대로 1번 북편 출구에는 판교테크노밸리, 2번 동편에는 백현마을 및 봇들마을 등 아파트 단지가 주욱 늘어서 있다. 3번 남편 출구로 나오면 2015년 8월 21일 정식 개장한 현대백화점 판교점이 있으며, 현재 백화점 식품관과 2번 출구 옆 지하 통로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현대백화점 외에 알파돔시티가 대부분 준공되어 카카오모빌리티와 크래프톤, 카카오페이 등의 기업이 입주해 있는 상태이다. 4번 서편 출구는 알파돔시티의 한 부분인 판교 알파리움 아파트와 일렉트로마트 판교점을 비롯한 "라 스트리트(La Street)"라는 상업 시설이 있다. 역 안에는 [[성남시]] [[분당구]] 관할 무인 민원 발급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름은 판교역이지만, 정작 역사는 판교동이 아닌 백현동에 소재하고 있다. 물론 모두 [[판교신도시]]에 속해 있기 때문에 틀린 역명은 아니다. [[장항선]]에도 '''[[판교역]]'''이 있으므로 내부 전산과 TIDS에서는 신판교역으로 표기되며 [[타고타고]]에서는 '''판교(경기)'''로 표출된다. [[강원도]] [[이천군]] 용포면 상두리에도 [[상두리역|동명의 역]]이 존재했다. [[신분당선]]이 민자로 만들어진 만큼 당연히 환승 게이트가 있다. 다만 일반 수도권 전철 운임 구역이 아니라 [[수도권 전철 경강선]] 운임 구역으로 들어가게 된다. 신분당선 판교역에는 판교테크노밸리라는 부역명이 있으나, 경강선 판교역에는 같은 노선의 역인 이매역과 마찬가지로 부역명이 없다.[* 수인·분당선은 '''성남아트센터''' 표기가 되어있다.] 2025년 2월 17일 [[판교역|장항선 판교역]]과의 역명 중복에 의한 혼동 방지를 위해 '''남서울판교역'''으로 역명을 변경하였다.[* 하지만 역명과 역 외부 안내판의 역명만 바뀌었을 뿐, 차내 안내방송 및 승강장 내 역명판은 그대로 판교역이라고 안내하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