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성남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경강선]] 성남역은 없고, [[운정동탄라인]] 성남역이 경강선 [[판교역(성남)|판교역]]과 환승된다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었다. 경강선 성남역은 가칭 신판교역으로 신설이 확정되었고, 2024년까지 신설하여 GTX 성남역과 환승하게 할 계획이었다.[[http://cafe.daum.net/kicha/8n0C/610|출처 1]], [[http://cafe.daum.net/kicha/ANo/23576|출처 2]], [[http://cafe.daum.net/kicha/ANj/41318|출처 3]], [[http://www.frdb.wo.to|미래철도DB 경강선]] 이 역과 [[이매역]](경강선·[[수인분당선]] 환승역)을 환승시키려고 하면, 역의 끝과 끝을 최단거리로 이어도 500m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막장환승|환승통로가 매우 길어진다.]]''' 접근성이 이매역(분당 교통의 중심축 중 하나인 성남대로에 있고, [[분당선]]과 환승이 가능)에 비해 나쁘다는 것과, 경강선이 500m 간격으로 3 번이나 정차하는 문제[* 물론 환승을 위해 짧은 간격으로 역을 배치하는 것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신분당선]] 강남 구간 중 [[강남역]] 이북 구간이나 [[수인분당선]] [[강남구청역]]~[[선릉역]] 구간, 도심의 빽빽한 지하철역들 등 선례도 있고. 무엇보다 수요도 없을 곳에 역을 세 개나 지어 놓은 강남리 마을 전철과 [[경강선]]의 사례는 다르다.]를 감내할 수밖에 없었다. 사실 구상 시 이매역 환승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경강선 시공 당시, 이매교 기초 때문에 기존 이매교를 철거하고 이매교와 [[경강선]] 탄천 횡단 BOX 구간을 한 구조물로 시공했고, 인접한 아파트 및 상가들이 많기 때문에, 환승구간을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그래서 환승통로가 아닌 판교역과 이매역 사이에 역을 설치하는 차선책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운정동탄라인 성남역은 수서평택고속선의 곡선 부분에서 분기하여 설치된다. 분기부에서 역사에 진입할 때도 상당한 커브를 그리며, 역 자체도 곡선역이다. 경강선 승강장은 심도 25m로, 운정동탄라인 승강장은 심도 46m로 건설되었다. 경강선 판교행 기준으로, 4호차에서 하차하면 운정동탄라인으로 쉽게 환승할 수 있다. 환승 거리는 그렇게 길지 않아, 사람에 따라서는 [[개념환승]]으로 느낄 수도 있다. 여유롭게 걸어가면 5분, 빠르게 걸어서 환승하면 2~3분에도 환승이 가능하다. 문제는 역시 배차간격. 수서-동탄 구간 선개통 시에 운정동탄라인은 '''평균 배차간격 17분, 최대 35분 배차간격'''이며 경강선 역시 '''최단 15분, 평시 20분''' 배차간격으로 운행하고 있다. 즉 최악의 경우 대기+환승 시간에만 '''50분'''을 허비할 수도 있다. 이 역에서 갈아탈지는 면밀한 검토와 실시간 도착 정보 숙지가 필수라고 볼 수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