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송탄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 정보 == 6.25 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10월 1일 송탄 주한미군부대에 물자보급의 일환이자 신호장 역할로 개업하였다. 역명은 '''적봉역'''(赤峯驛)이라는, 개업 당시 주소였던 서탄면 적봉리에서 유래되었다. 1970년 3월 1일에 송탄역으로 이름을 바꾸고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지만, 1984년 3월 1일에 다시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그때부터 각역정차 [[통일호]]만 다니다가 [[수도권 전철]] 공사 관계로 2001년 6월 1일부터 일반열차가 정차하지 않았고 이에 송탄역 - 서정리역 구간에 셔틀버스를 운행하다가, 수도권 전철 공사가 끝나면서 일반열차를 취급하지 않게 되었다. 구 송탄시 중심에 있고 이름도 '송탄'이다.[* 물론 행정구역상으로 현재 평택시 송탄동과는 거의 5km 떨어져 있다...만, 행정동 송탄동은 이름과는 달리 송탄 지역의 중심이 아니다(송탄 시가지의 외곽 지역에 있는 한적한 법정동들을 관할하는 행정동인데, 적당한 행정동명을 짓기 어려워 궁여지책으로 그냥 '송탄동'이라 붙인 것).] 다만 [[서정리역]]이 송탄 일대의 철도 중심지로서 더 많이 부각되었다. 물론 송탄역도 수요가 많으나, 두 역세권의 특징이 조금 다르다. 송탄역은 미군 부대가 생기며 시가지가 형성되고 열차가 선 반면, 서정리역은 [[경부선]] 개통 때(1905년)부터 있었으며 서정리역 일대는 평택군 송탄면 시절부터 송탄 지역의 중심지였다. 서정리역과 연결되는 마을버스 노선도 많고, 송탄 남부 아파트 단지의 접근성이 좋다. 수원-천안 구간 복복선화 전에는 [[지탄역|지탄]], [[각계역|각계]], [[신거역|신거]]와 같이 단순히 본선 옆에 다 쓰러져가는 플랫폼만 있던 간이역이어서 여객 취급을 중단하느니 마느니 했지만 복복선이 개통되면서 더불어 번듯한 역사까지 신축/준공되면서 환골탈태했다. [[신길역]]과 비슷하게 선로가 아래로 깔려 있다. 그러나 서정리역에 밀리는 것은 지금도 마찬가지로 급행은 정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송탄에는 주한미군의 제7공군과 제51전투비행단이 주둔하고 있는 오산 공군기지가 있기 때문에 전철을 이용하려는 외국인을 흔하게 접할 수 있다. 심지어 내부 화장실에는 낙서조차 영어로 되어 있다. 오산 공군기지 내부에는 미합중국 공군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공군의 공군작전사령부 및 공군방공관제사령부, 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본부와 그 예하부대들이 있을 뿐더러, 주한미육군 제35방공포병여단 예하 패트리어트 부대가 있기 때문에, 이곳에 근무하는 공군 및 카투사 장병 중 수도권 거주자라면 외박과 휴가시 집에 다녀오기가 매우 수월하다. 병사 수송도 송탄역과 [[송탄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한다. 이러한 편의성 때문에 군인들 수요가 꽤 있다. 오산 에어파워데이가 열리는 날에는 셔틀버스가 이 역과 [[송탄시외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