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신당역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서울 지하철 10호선|10호선]] 관련 시설 및 활용 ===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114280?sid=001|「서울 ‘지하철 유령역’ 4개 더 있다」]], 동아일보, 2017년 12월 12일 * [[https://www.youtube.com/watch?v=o5JwY4CnWMA|「서울 지하철 방치된 역 5곳…“활용방안 필요”」]], TBS, 2017년 12월 20일 * [[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4407294|「신설·신당·영등포역 '지하철 유령공간' 아시나요?」]], 뉴스1, 2020년 1월 14일 *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362747|「엑소 뮤비 속 그곳 ‘유령역’…문화·예술 공간으로」]], KBS, 2020년 1월 15일 위 기사를 통해 지하 3층에 [[3기 지하철 계획]]이 취소되면서 사용되지 않은 [[서울 지하철 10호선|10호선]] 환승통로 구조물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동아일보]] 기사의 비밀 환승통로 사진을 보았을 때 원형 기둥이 2열로 배열되어 있고, 청구역 방면에는 2호선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막고 있다는 것까지 미루어보면 10호선은 6호선의 북쪽 흥인사거리 근처에 지어져 'τ(타우)' 내지 'ㄷ'자형 환승역이 되도록 설계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네이버 지도]]의 로드뷰를 보면 6호선 승강장 북쪽 끝에 '환승예비통로'라고 적힌 문이 있다.[* [[https://map.naver.com/v5/search/%EC%8B%A0%EB%8B%B9%EC%97%AD?c=14139397.0105889,4518266.5572712,18.6,0,0,2,dha&p=7X6Nvha8krzq8Sdf8bWjMg,12.03,-0.37,25,Float|네이버 지도]]] [[KBS]]와 [[뉴스1|news1]]도 신당역을 취재하였는데, [[동아일보]]에서 공개한 유령 통로(양옆으로 기둥이 박혀있는 사진들)는 지하 3층이 아닌 지하 1층 대합실 북쪽에 붙어있는 공간인 것으로 밝혀졌다.[* [[파일:신당.jpg]]][* [[https://map.kakao.com/?panoid=6751929&pan=355.8&tilt=7.5&zoom=0&map_type=TYPE_MAP&map_attribute=ROADVIEW&q=%EC%8B%A0%EB%8B%B9%EC%97%AD&urlX=503570&urlY=1129850&urlLevel=3|Daum 지도 로드뷰(2009년 촬영)]]] 2009년까지만 해도 출입금지 팻말만 놓인 채 방치되어 있었다가 2010년 곤충파충류 생태체험장을 조성하면서 가벽으로 막았다.[* [[https://map.naver.com/v5/search/%EC%8B%A0%EB%8B%B9%EC%97%AD?p=ziF6XdEiAQJfrJHL-HSdaQ,1.32,-7.91,Float&c=,,16,0,0,0,dha|네이버 지도(2015년 촬영)]]] 그 외에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가 추가로 제공한 통로 사진은 지금까지 공개된 것들과 달리 양 옆에 기둥도 없고 너비도 좁아 보이는데, 그것이 지하 3층 6호선 승강장 북쪽 끝 환승예비통로 문을 지나면 나오는 공간인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지하 1층은 운임구역 밖 대합실이며, 지하 3층이 환승통로인 것으로 볼 수 있다. 2-6호선 간 환승과 달리 6-10호선은 환승 대비를 해 놓았지만 그마저도 쉬워 보이지 않는 게, 서울교통공사(당시 서울도시철도공사)에서 제공한 사진(지하 3층 6호선 승강장에 붙어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부분)을 보아도 통로 길이가 짧지는 않아 보인다. 토지이음 서비스 중 이음지도를 이용하여 도시철도 실제 선형을 확인할 수 있는데, 6호선 신당역 종점으로부터 흥인사거리까지 환승통로로 추정되는 박스 구조물 토지이용구획을 볼 수 있다. 길이는 약 110m에 달한다. 문제는 그 뒤에 또 긴 통로가 숨어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2호선 구역에서 10호선 구역으로 가려면 2-6호선간 환승통로를 지나고, 6호선 승강장 전체를 횡단한 후에 또 짧지 않은 환승통로를 거쳐야 도달할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직선거리가 최소 490m에 달한다. 10호선 구역의 위치를 추정해 보면 [[광희초등학교]]와 [[성동공업고등학교]] 사이의 흥인사거리로 추측해볼 수 있다. 또한 행정구역상 흥인동과 황학동에 걸치게 되는데, 6호선 구역도 일부분이나마 신당동에 걸치는 것과는 달리 10호선은 이름만 신당역이 된다. 그리고 만약 10호선이 개통되었을 경우를 가정한다면 북쪽에 출입구가 추가로 뚫렸을 것이며, 지하 1층 통로 양옆에는 상가가 입점했을 것으로 보인다. 신당역의 10호선 관련 시설은 건설지에 일절의 언급도 없으며, 10호선 도심 구간의 선형이 제대로 표기된 자료도 없어서 [[서울역]]과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청량리역]]에서 환승한다는 정보만 있었을 뿐이다. [[미래철도 DB]]의 자료에 따르면 10호선의 도심 구간은 을지로부터 신당역까지 2호선과 병주하면서 연속으로 환승이 되도록 계획되어 있었다. 그런데 정작 10호선은 백지화되었고, 10호선을 계승한 신안산선은 서울역에서 끊어졌다. 6호선 건설이 제대로 진행되었을 때쯤이면 이미 3기 지하철 계획도 취소된 시점인데도 환승통로를 만들어 놓은 것은 이미 해놓은 설계를 환승통로를 없애는 것으로 변경하려면 그만한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며,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신안산선은 당시 10호선 선형 그대로 청량리역까지 가려고 했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신안산선 환승대비를 해 놓은 셈이다. 11호선 건설 계획 폐지가 확정되고도 [[녹사평역]]과 [[마포구청역]]도 11호선 대비 설계를 그대로 적용하였다. 2011년에 신안산선이 서울역 시종착을 결정하면서 서울역 - 청량리 구간은 장기과제로 남겨두었다. 신안산선도 청량리역까지 가는 계획을 그대로 두고 있어 [[기획재정부]]의 [[광역철도]] 지정을 청량리역까지로 받았다. 2026년에 [[신안산선]]을 서울역까지 개통하고 이 역의 유휴시설 사용을 검토해보겠다고 한다. 가장 큰 문제는 10호선 계획이 철회되기 전까지 공덕역 동쪽 구간의 노선이 아직 미확정 상태였다는 점이다. 일단 공덕역 서쪽 구간만 최종 확정되고 서울 강북 구간은 5호선과 노선 중복 문제 관계로 인해 한동안 노선 계획이 계속 출렁거렸다. 그러나 상술했듯 3기 지하철 계획이 폐기되는 와중에도 공사비가 많이 추가되는 환승 구조물 건설을 강행한 것을 보면 최종적으로는 도심 경유안이 자리를 잡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서울시 측은 이 공간을 활용한 여러 행사를 하곤 한다. 2009~2015년 곤충 파충류 테마체험관을 운영하였고 2023년 10월 서울시와 [[반스]]가 협력해 거리문화 행사를 진행했다. [[https://www.welfarehello.com/hometown-news/33b09376-ccbb-47b8-8f03-d5ee2a46582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