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48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모래위키
:영종대교
(편집 요청)
[알림]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로그인된 사용자(이)여야 합니다. 해당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구조 및 문제점 == 자정식 현수교로 앵커블록이 없는것이 특징이다. 즉, 교량 자체가 하나의 앵커인 셈이다. 메인 케이블은 3차원 형상으로 바람에 의한 비틀림 공진으로부터 비틀림 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주탑의 기초는 뉴메틱 케이슨공법[* 관련 자료: 영문 위키피디아 [[http://en.wikipedia.org/wiki/Pneumatic_caisson|Pneumatic caisson]] 문서]으로 건설되었다. 뉴메틱 케이슨은 [[브루클린 다리]]에서 사용된 공법으로 과거에는 인부들이 빈번히 [[잠수병]]에 걸리는 공법이었다. 영종대교의 경우 인부대신 로봇들이 들어가서 작업하였다. 영종대교는 보이는 것과 같이 2층 구조를 하고 있다. [[광안대교]]는 차량만 다니는 2층 교량이지만, 영종대교는 [[서울 지하철 7호선]] & [[동부간선도로]]의 [[청담대교]]처럼 열차와 자동차가 같이 다니는 2층 구조를 하고 있다. 정확히 말하면 [[청담대교]]와 [[동호대교]]와 [[동작대교]]를 합친 복층과 복합의 조합이다. 이러한 특징 덕에 영종대교 상판의 폭은 41m에 달하며, 단면적당 통행 용량이 세계 모든 특수교량 중 가장 크다. 윗층에는 도로가 있으며 하층부를 달리다 보면 중앙에 선로가 나 있고, 그리로 [[인천국제공항철도]] 열차가 달리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좌우로 2차선 도로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와 하부도로의 제한속도는 각각 100km/h와 80km/h로 나뉘어져 있는데, 하부도로의 제한속도가 낮은 이유는 공항철도 선로 때문에 차로폭이 좁아졌기 때문으로, 이 구간은 고속도로 규격이 아닌 고속화도로 규격의 차로폭을 가지고 있다. 해풍이 하부도로에 몰리는 것도 제한속도가 줄어든 이유이다. (주)유신에서 일본의 현수교 전문 설계회사인 (주)쵸우다이의 도움을 받아 설계하였고 [[삼성물산 건설부문]]에서 시공하였다. [[인천대교]]가 준공되기 전까지는 삼성물산의 주된 홍보자료이기도 했다. 보강형(보)의 강성이 너무 커서 현수교 케이블이 없어도 무너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일본의 도움을 받기는 했지만 한국 기술로 설계하고 시공한 최초의 현수교로써 교량 공학상 상당한 의미가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21세기 들어 새로 지어진 무도상 철교이다. 동절기 [[영종대교]] ~ [[금산IC(인천)|금산 나들목]] 구간에는 '''서해 바닷바람이 정말 강력하게 몰아친다'''. 해당 구간을 달려보면 알 수 있겠지만 '''바람으로부터 달리는 차량을 보호해줄 어떠한 시설물도 없기 때문. 탁 트인 바다(영종대교) + 영종도 [[갯벌]] 평야에 고속도로 하나만 달랑 놓여있는 꼴이라 강력한 바닷바람이 달리는 차량들에 직격한다'''. 그 흔한 방풍벽조차 없기 때문에 주행 시 주의해야 하는 부분이며 추가로 동절기가 되면 지독한 안개가 자주 끼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특히 야간에 서해 해안선 부근이 악명높은데 상대적으로 고온다습한 서해바다의 공기가 밤이 되어 차갑게 식은 육지랑 만나 수증기가 응결되기 때문이다. 심지어 [[해무]]까지 끼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심지어 정속으로 달려도 강풍에 의해 '''차가 흔들리는''' 경험을 겪은 운전자들도 존재한다. 그만큼 [[서해대교]]와 더불어 위험한 구간 중 하나이니, 이 구간을 지나는 운전자들은 안전운행이 필수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4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48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